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 Our love of pets [BBC 6분 영어]

728x90

 

 

 

BBC Learning English 6 Minute English 문법공부(softca.tistory.com)

Why do we keep, and love, pets? Neil and Georgie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useful vocabulary.
(우리는 왜 애완동물을 키우고 사랑하는가? Neil과 Georgie는 이에 대해 토론하고 유용한 어휘를 가르칩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10), 동명사(3), 동사(2), it(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동사의 시제·모습(tense-aspect), 명사, 법조동사, 부정사, 종속접속사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Our love of pets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바탕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1-1] 목적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므로 타동사의 목적어(object)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1] In the 1800s, people started using the word 'pet' to describe the emotional connection they felt to a special animal, and gradually it became normal to keep pets indoors.
[설명] 『started using the word 'pet'』은 동사+V-ing 구문으로 'using ~'은 동명사(구)입니다. 동명사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1-2] 전치사 목적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가 되기도 하므로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4] But I think in British culture, in the 19th century in particular, home and family are increasingly celebrated, and keeping a pet becomes a way of bringing animals into your home life, and also really expressing what it means to be part of the family - animals become part of that.
[설명] 『bringing animals ~』와 『expressing what ~』이 and로 이어진 동명사(구)로 전치사 〈of〉의 목적어입니다.


[1-1-3] 주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의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4] But I think in British culture, in the 19th century in particular, home and family are increasingly celebrated, and keeping a pet becomes a way of bringing animals into your home life, and also really expressing what it means to be part of the family - animals become part of that.
[설명] 『keeping a pet』는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2.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홀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 다루어집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스스로는 노릇(=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몫을 맡아 합니다.

(2-1) 부사적 쓰임새[用法]  부정사
to 부정사의 부사적 쓰임·법에는 목적(~하기 위해서, 하려고), 원인, 이유(~해서, ~때문에), 결과(결국 ~ 했다. ~해서 ~하다), 판단의 근거(~하는 것을 보니, ~한다면), 조건(; ~한다면, ~해 본다면), 형용사 한정(~하는데, ~하기에) 따위가 있습니다.

[2-1-1] 목적  부사적 쓰임새[用法]  부정사
「∼하기 위하여」, to 부정사 부사적 쓰임새 가운데 목적에 해당되는 쓰임·법으로 「∼하기 위하여」라는 뜻을 갖습니다.

<본문예제>
[21] In the 1800s, people started using the word 'pet' to describe the emotional connection they felt to a special animal, and gradually it became normal to keep pets indoors.
[설명] 『to describe the ~』는 to부정사의 부사적용법(목적)입니다. '~하기 위하여'의 뜻을 나타냅니다.


3. 동사의 시제·모습(tense-aspect)
영어 동사의 시간 표현은 시제(tense)와 모습(aspect, 相)으로 나타납니다. 시제는 현재, 과거 및 미래의 3가지가 있고 모습(aspect, 相)은 단순-모습(simple aspect), 진행-모습(continuous aspect), 완료-모습(perfect aspect), 완료진행-모습(perfect continuous aspect) 따위의 4가지가 있습니다. 흔히 영어의 12시제는 이 세가지 시제와 4가지 모습을 곱한 것을 일컫습니다.

(3-1) 현재-완료형  동사의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완료형은 현재 시제의 완료 모습(aspect, 相)을 말합니다. 과거의 어느 때에서부터 비롯된 움직임이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쓰이는 시간·형입니다. 보통 `완료`, `경험`, `결과`, `계속` 따위 네 가지 속내로 해석합니다. 현재-완료형은 손쉽게 과거의 일로 표시하는 단순-과거형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완료형은 ago가 들어간 부사구나 의문부사 when과는 함께 쓰지 못합니다.

[3-1-1] 계속  현재-완료형  동사의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까지 상태나 동작이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주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쓰이며, 흔히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구) 즉, how long, for, since, during 등과 함께 쓰입니다.

<본문예제>
[35] Britain's relationship with pets really has changed over the years - from the manly British Bulldog to funny cat videos on YouTube, it's been quite a journey!
[설명] 『has changed』는 현재-완료 시제-모습[현재 시제+완료 애스펙트(相)]입니다. 현재까지의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4. 동사
동사는 문장의 뼈대가 되는 요소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되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 등 5개의 활용형(活用形, conjugation)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또는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어)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이나 행위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4-1) 연결동사  동사
연결동사는 주어를 다시 뜻매김하거나 속판으로 말하려고 할 떼 골라 쓰는 동사입니다. 연결 동사는 주어를 주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에 이어주기 때문에 연결동사라고 합니다. 연결동사는 “주어가 무엇을 하려는 지(=3형식 문장)”가 아니라, “주어가 무엇인지(=2형식 문장)를” 말합니다.

[4-1-1] become 유형(상태의 변화)  연결동사  동사
주어(행위자)의 모양이 바뀌는 모습을 보여주는 연결동사입니다. become, grow, turn, get 따위가 여기에 들어맞습니다.

<본문예제>
[28] In other words, as people got richer, they had more money to spend on luxury items, including pets.
[설명] 「got richer」의 get은 2형식 글짜임을 만드는 연결동사입니다.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become 갈래의 이어주기를 합니다.


[14] Nowadays thanks to the internet, modern pets are getting online.
[설명] 「get online」의 get은 2형식 글짜임을 만드는 연결동사입니다.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become 갈래의 이어주기를 합니다. '인터넷에 접속하다'의 뜻

 

 


5. 법조동사
《사실》이 아니라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목적, 의무, 필요》 따위로 말하는-이의 마음 속의 태도를 나타내기 위해 쓰는 조동사를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odal Auxiliary Verbs) 또는 법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would, shall, should, can, could, ought, may, might, must 따위도 여기에 들어갑니다.

(5-1) used to  법조동사
used+to부정사는 과거의 어느 항 때를 밝힙니다 즉, 지금은 더 이상 이어지고 있지 않는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Used+to부정사는 ⑴과거와 현재를 잡도리하려고, ⑵과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⑶과거의 습관적 동작 따위를 보여주려 씁니다.

[5-1-1] 과거의 습관·상태  used to  법조동사
「used to」는 과거의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친 늘 하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에 비해 would는 가끔 하는 습관적 동작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 둘은 거의 나뉨없이 쓰이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31] It was also the Victorians who first described Britain as a nation of dog lovers, a phrase they used to reflect the idea they had of themselves, as Professor Jane Hamlett explained to BBC Radio 4 programme, Thinking Allowed:
[설명] 『used to reflect the idea ~』의 (서)법조동사 「used to」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과거의 상습적인 동작을 표현합니다.


6. 명사
명사(名詞, noun)는 흔히 보통, 고유, 집합, 물질, 추상 따위의 5가지로 나누며, 이 가운데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를 셀수 있는 명사(可算名詞, Countable, countable noun), 나머지 셋을 셀수 없는 명사(不可算名詞, Uncountable, uncoutable noun)로 나눕니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명사 또는 명사말이 이어주는 말뭉치없이 풀이하고, 덧붙여지면 이 둘을 동격이라 합니다.

(6-1)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따로 이어주는 것 없이 병렬로 다루어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풀이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

[6-1-1] 동격의 명사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아무런 잇는 연모없이 병렬로 마무리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설명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사이에 있다고 합니다. .

<본문예제>
[21] In the 1800s, people started using the word 'pet' to describe the emotional connection they felt to a special animal, and gradually it became normal to keep pets indoors.
[설명] 「the word」와 「'pet'」는 동격입니다.


7.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 쓰임·법에 여러가지 다른 문법적 쓰임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손꼽히는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주어 it(it to, it that글짜임), 가목적어 it(it to, it that 글짜임), 분열문(it be that 강조 글짜임) 따위가 있습니다.

(7-1) 가짜-주어 it  it
주어가 길 때 주어 자리에 형식적인 주어 it를 놓고 내용상 주어를 문장 뒤로 뺍니다. 흔히 [it+be+형용사] 글짜임으로 쓰입니다.

[7-1-1] it to 구문 (to 부정사 구문)  가짜-주어 it  it
문장의 주어가 (to)부정사일 경우 대체로 가짜주어 it를 써서 문장을 꾸립니다.

<본문예제>
[21] In the 1800s, people started using the word 'pet' to describe the emotional connection they felt to a special animal, and gradually it became normal to keep pets indoors.
[설명] 『it became normal to ~』는 「it to 진(眞)·주어」 글짜임입니다. it는 가짜(假)·주어, 진(眞)·주어는 「to keep pets ~」 부정사(구)입니다.


[23] First of all, on a very practical level, living standards are gradually increasing across that period, and it becomes more possible to keep pets if you have more disposable income.
[설명] 『it becomes more possible to ~』는 「it to 진(眞)·주어」 글짜임입니다. it는 가짜(假)·주어, 진(眞)·주어는 「to keep pets~」 부정사(구)입니다.

 

 


8.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8-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꾸밈말이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고릅니다.

[8-1-1] 목적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른 낱말[單語]의 변화는 없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목적어이면 목적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문장에서 that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문예제>
[05] It's said that your personality is reflected in your pet - an animal that you keep in your home as a companion and treat kindly.
[설명] 『that you keep in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격은 목적격이고, 선행(명)사는 {an animal}입니다. 한정용법입니다.


[8-1-2]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09] I want a pet that's friendly and loves me, not a lazy cat that sits around all day waiting for food.
[설명] 『that's friendly』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a pet'입니다. 『that sits around ~』의 that도 같은 쓰임법이면 선행명사는 cat입니다.


(8-2)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가 be동사와 함께 쓰이거나,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 있는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려 뺼 수 있습니다.

[8-2-1] 목적격 which/that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빼고 써도 됩니다. 명사 뒤에 접속사 없이 《주어 + 동사》가 왔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빠져 있는 판이 많습니다.

<본문예제>
[21] In the 1800s, people started using the word 'pet' to describe the emotional connection they felt to a special animal, and gradually it became normal to keep pets indoors.
[설명] 선행(명)사 'the emotional connection'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26] Living standards, which are also known as 'the standard of living', refer to the level of material comfort people live in.
[설명] 선행사 'material comfort'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27] It's connected to their disposable income, the money left over to spend on things you want, after paying tax and other living expenses.
[설명] 선행(명)사 things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31] It was also the Victorians who first described Britain as a nation of dog lovers, a phrase they used to reflect the idea they had of themselves, as Professor Jane Hamlett explained to BBC Radio 4 programme, Thinking Allowed:
[설명] 선행(명)사 'the idea'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40] Anyway, let's recap the vocabulary we've learned in this programme about the love the British have for their pets - animals you keep in your home as a companion and treat kindly.
[설명] 선행(명)사 'the love'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선행(명)사 'animals' 뒤에도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8-3)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8-3-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9] And by the Victorian era, this included new and exotic pets such as tigers, lions, monkeys and elephants which were shipped back from around the British empire.
[설명] 『which were shipped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tigers, lions, monkeys and elephant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용법입니다.


(8-4)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반드시 사람을 선행(명)사로 합니다. 목적격은 whom이고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wh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o는 한정용법(제한용법) 계속 용법 모두 있습니다.

[8-4-1] 제한적 용법  who  관계대명사
who가 계속용법이면 and(또는but)+he/she/they 따위의 주격의 인칭대명사와 똑같은 몫을 합니다. who는 주격의 꼴이지만 흔히 whom을 갈음하기도 합니다. whom 갈음으로 쓰였다면 인칭대명사는 him, her, them 따위와 같이 목적격이어야 합니다.

<본문예제>
[31] It was also the Victorians who first described Britain as a nation of dog lovers, a phrase they used to reflect the idea they had of themselves, as Professor Jane Hamlett explained to BBC Radio 4 programme, Thinking Allowed:
[설명] 『who first described ~』의 who는 한정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the Victorians'입니다.


(8-5)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걸려있는 명사(구)로 두 개의 월(=文章)을 이어준 월입니다. 이 때 명사(구)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선행명사라고 하고 이를 받아 월을 이어주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연결 쓰임법에는 한정사 종속절을 만드는 한정용법, 명사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 쓰임법, 등위절을 만드는 계속용법, 삽입절을 만드는 비제한용법, 앞의 문장의 일부를 받는 접속 대명사적인 쓰임법 따위가 있습니다.

[8-5-1] 비제한용법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비(非)제한 쓰임법은 선행명사에 덧붙이는 정보를 주는 관계대명사 쓰임새로 마치 삽입절과 같이 콤마로 둘러싼 틀을 갖습니다. 선행명사를 꾸민다는 점에서는 한정용법과 비슷하지만 한정용법처럼 선행명사의 뜻을 좁히기 보다는 속내를 보태는 것에 더 무게를 두려 합니다.

<본문예제>
[26] Living standards, which are also known as 'the standard of living', refer to the level of material comfort people live in.
[설명] 『which are also known ~』의 which는 주격의 비제한적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Living standards'입니다. 콤마롤 둘러싼 삽입절의 꼴을 갖고, 선행(명)사에 정보를 보탭니다.

 

 


9. 종속접속사
종속접속사란 문장 안에 들어가 명사, 형용사, 부사 따위의 품사적 노릇을 하는 종속절을 이끄는 접속사를 말합니다.

(9-1) while  종속접속사
while은 부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입니다.

[9-1-1] 대조  while  종속접속사
~이긴 하지만, ~하는 반면에 따위와 같이 비교 대조할 때, whereas와 같은 뜻으로 쓰입니다.

<본문예제>
[34] While dogs were considered strong and manly, cats were feminine and weak, so for the Victorians, dogs really fitted the bill, an idiom meaning they were suitable for a particular purpose.
[설명] 『While dogs were considered ~』의 while은 주절과 비교 또는 대조를 이루는 종속절을 이끕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2611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