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영어 문법 강좌(항목별) - The stories behind our names BBC Learning English BBC 6분 영어

728x90

 

 

 

BBC Learning English 6 Minute English 문법공부(softca.tistory.com)

Everyone has a name. It's an important part of our identity. But names can also have meanings that reveal our culture and history. Neil and Beth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useful vocabulary.
(모든 사람에게는 이름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이름은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드러내는 의미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Neil과 Beth는 이에 대해 토론하고 유용한 어휘를 가르칩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4), 관계부사(2), 부정사(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분사, 전치사 글짜임, 대명사, 동명사, 문장형식: 4형식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The stories behind our names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성질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1-1] 주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의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3] As every parent knows, choosing your child's name isn't easy.
[설명] 『choosing your child's name』은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2.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홀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 사용됩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스스로는 역할(=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몫을 맡아 합니다.

(2-1) 문장성분  부정사
(to) 부정사는 문장에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주격 보어, 목적격 보어, 수식어 등의 문장 성분을 갖습니다.

[2-1-1] 목적어  문장성분  부정사
to부정사가 글귀에서 목적어 쓸모를 합니다.

<본문예제>
[26] Wanting to find out more about her culture, Sheela started to pull the threads behind her family story.
[설명] 『started to pull ~』은 「동사+to부정사」 글짜임으로 (to)부정사는 명사의 쓸모로 쓰여 목적어가 됩니다.


[2-1-2]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문장성분  부정사
5형식 글귀에서 (to)부정사가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쓰입니다. 「동사+목적어+to부정사」 꼴의 글귀에서 많이 보입니다.

<본문예제>
[23] Her parents wanted their daughter to feel safe in London so they gave her a typical English name, Sheela.
[설명] 『~ wanted their daughter to feel ~』은 「동사+목적어+to부정사」 글짜임입니다. 이 글짜임은 (to) 부정사 {to feel}이 목적어 {their daughter}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되는 5형식 글귀를 만듭니다.

 

 



3.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불규칙적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3-1)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은 분사가 뼈가 되어 주절 모두를 부사적으로 꾸며주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주절 모두를 꾸민다는 것이 대수로운데, 여기에서 분사구와 나뉩니다. 분사 구문은 《현재분사 구문》과 《과거분사 구문》으로 나뉘며, 또 다른 꼴로.는 《독립 분사구문》과 《부대상황 구문》이 있습니다. 분사구문은 보통 《이유, 양보, 조건, 시간, 부대상황》 따위의 뜻을 갖습니다

[3-1-1] 원인/이유 as, because  분사구문  분사
'~해서, ~ 때문에'의 뜻. as, because 마디[節, clause]가 분사구문 꼴로 바뀐 판

<본문예제>
[26] Wanting to find out more about her culture, Sheela started to pull the threads behind her family story.
[설명] 「Wanting to find ~」은 분사구문으로 '~듯이'와 같이 이유를 나타내는 분사구문입니다. 주로 as 마디[節, clause]를 분사구문으로 만든 판입니다.


4. 전치사 글짜임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상당어구)를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릅니다. 그런데 전치사는 뒤에 오는 명사 말구 뿐 아니라 앞에 오는 동사, 형용사, 명사 및 관사 따위와 하나가 되어 관용적인 글짜임을 만들기도 합니다.

(4-1) 전치사 관용 구문  전치사 글짜임
전치사가 포함된 일반적인 구문 또는 관용화된 구문

[4-1-1] from A to B 글짜임  전치사 관용 구문  전치사 글짜임
「fram A to B」 꼴로 쓰이며 《A에서 B까지》란 뜻입니다.

<본문예제>
[28] What Sheela discovered was a story of mass migration - periods in history when large groups of people move from one geographical area to another.
[설명] 『from one geographical area to another』는 「from A to B」의 글짜임입니다. A는 'one geographical area'이고, B는 'another' 입니다.


5. 대명사
대명사는 명사·말을 갈음하는 말로 더 맞는 표현을 쓸 필요가 없거나 쓸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대명사는 대체로 ⑴인칭대명사, ⑵ 지시대명사, ⑶ 부정 대명사, ⑷의문 대명사, ⑸ 관계 대명사 따위의 5개로 나눕니다. 이렇게 나누면, 재귀대명사와 소유대명사는 인칭대명사의 테두리에 들어갑니다.

(5-1) one  대명사
부정대명사 one은 ⑴ 앞의 명사를 대신하는 대명사, ⑵ a person의 의미로 사용, ⑶ we, you, they, people과 같은 일반사람을 지칭, ⑷명사의 한정사(수식어) 역할 및 ⑸ 여러 관용적 표현 등에 사용됩니다.

[5-1-1] one ~ the other 글짜임  one  대명사
「하나는 ~ 다른 하나는」의 글짜임. 두 가지를 앞뒤 속판없이 말하는 때입니다. 속판(=順序)을 세우고 말하는 마당에는 the one ~ the other룰 씁니다.

<본문예제>
[09] In this programme, we'll be meeting a writer whose name combines two very different sides of her identity - one English, the other Indian.
[설명] '하나는 ~ 다른 하나는'의 뜻을 갖는 글짜임입니다. 두 가지를 속판(=順序) 없이 말할 때 씁니다.

 

 



6.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문장을 이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대표적입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6-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용법으로만 사용됩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수식어가 붙으면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사용합니다.

[6-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른 낱말[單語]의 변화는 없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14] Names go in and out of fashion, and a name that was popular one year soon becomes old-fashioned.
[설명] 『that was popular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a name'입니다.


(6-2) what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는 관계대명사로 the thing(s) which의 뜻을 갖습니다. 또한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따위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기 때문에 what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입니다.

[6-2-1] 문장성분 주어  w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은 명사절인 종속절을 만듭니다. what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의 노릇을 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8] What Sheela discovered was a story of mass migration - periods in history when large groups of people move from one geographical area to another.
[설명] 『What Sheela discovered』의 what 관계대명사절이 문장의 주어입니다. 동사는 was입니다.


(6-3)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사용합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6-3-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의 문장성분이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08] But names also reveal cultural and family connections which give us a sense of our history and our place in the world.
[설명] 『which give us a sense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cultural and family connection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용법입니다.


(6-4) 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주격, 소유격,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가 주어로 쓰이면 주격관계대명사를, 관계대명사가 바로 뒤의 명사를 수식하면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씁니다. 관계대명사가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씁니다.

[6-4-1] 소유격  격  관계대명사
소유격관계대명사는 사람과 사물 모두 whose를 사용합니다. 사물일 경우 비격식체 문장에서는 of which, that ~ of를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09] In this programme, we'll be meeting a writer whose name combines two very different sides of her identity - one English, the other Indian.
[설명] whose는 관계대명사 who의 소유격입니다. 선행(명)사는 「a writer」입니다.


7.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동시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다(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7-1) 종류  관계부사
관계부사에는 where, when, how(the way), why 등이 있습니다.

[7-1-1] when  종류  관계부사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를 선행사로 하는 관계부사절을 이끕니다. 선행사가 생략되면 접속사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when의 선행사는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 외에도 circumstance나 occasion 등도 올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8] What Sheela discovered was a story of mass migration - periods in history when large groups of people move from one geographical area to another.
[설명] when은 한정용법의 관계부사입니다. 선행(명)사는 history입니다.


[7-1-2] where  종류  관계부사
선행(명)사가 장소(the place)를 나타낼 때 관계부사 where를 씁니다. 관계부사 where는 '전치사('in/at/on) + which 관계대명사와 같은 노릇을 합니다. 선행(명)사가 있으면, 한정용법과 계속용법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Where는 주로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를 선행(명)사로 받지만 때에 따라 야러 뜻의 선행(명)사와 함께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32] Sheela's family name, Banerjee, reflects her roots in the Bengali culture of East India where surnames tell a lot about a person's social status, or caste.
[설명] 『where surnames tell ~』의 where는 관계부사입니다, 선행(명)사는 'East India'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2463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