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 Digital help for blind people [BBC 6분 영어]

728x90

Digital technology is dramatically improving the lives of blind people all around the world. Neil and Georgina talk about these inventions which help blind people work around their disabilities or challenges.
(디지털 기술은 전 세계 시각 장애인의 삶을 극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Neil과 Georgina는 시각 장애인이 장애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되는 이러한 발명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접속사(12), 관계대명사(8), 부정사(8), 문장 형식(5), 분사(4), 서법조동사(4), 전치사(3), 명사(3), 분사구문(2), 관계부사(2), it(2), 수동태(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시제, 의문사, 절(Clause), 구(Phrase), 단어와 구, 문장 부호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Digital help for blind people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관계대명사
서로 관련이 있는 두개의 문장을 연결하여 하나의 문장을 만든 것을 관계사절( 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대표적입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1)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관련있는 명사(구)를 찾아 두 개의 문장을 연결한 문장입니다. 이 때 명사 형태로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을 선행사라고 하고 이를 받고 문장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용법에는 선행사와 관계대명사와의 관계에 따라 제한적용법, 계속적 용법 그리고 비제한적 용법 등이 있습니다.

[1-1-1] 계속적 용법[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선행사와 관계대명사(which 등) 사이에 comma(,)가 있는 경우를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이라 합니다. 이 때의 관계대명사는 단순히 「접속사 + 대명사」의 기능만 합니다. 「그런데 그것은~」(and that ~) 정도의 의미로 접속사를 하나 덜 쓴 정도의 기능만을 합니다. 현대 영어에서 앞에 콤마가 없어도 계속적 용법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맥을 살펴 의미를 파악해야 합니다.

<본문예제>
[16] In 1842 a technique of using fingers to feel printed raised dots was invented which allowed blind people to read.
[설명] which는 콤마가 없더라도 맥락적으로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로 보아야 합니다.


[13] Recently, smartphone apps have been invented which dramatically improve the lives of blind people around the world.
[설명] 관계대명사 which 앞에 콤막가 없지만, 맥락적으로 계속적 용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1-1-2] 비제한적 용법[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非제한적용법은 선행사에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대명사 용법으로 대개의 경우 마치 삽입절과 같이 콤마로 둘러싼 형태를 취합니다. 선행사를 수식한다는 점에서는 비제한적 용법과 비슷하지만 제한적 용법처럼 선행사의 범위를 좁히려고 하기 보다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보다 더 중점을 두는 용법입니다.

<본문예제>
[37] Blogger, Fern Lulham, who is blind herself, uses assistive apps every day.
[설명] who는 선행사 「Blogger, Fern Lulham」의 의미를 보충 설명하는 비제한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1-2)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에는 who(whose, whom), which(whose 또는 of which, which), that 및 what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 아주 특수한 경우에 as, than, but 등이 관계대명사로 차용되기도 합니다.

[1-2-1] that[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사를 수식하는 한정적 용법으로만 사용됩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등의 수식어가 붙으면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사용합니다.

<본문예제>
[54] I suppose braille is an early example of assistive technology - systems and equipment that assist people with disabilities to perform everyday functions.
[설명] 「that assist people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사는 「systems and equipment」입니다.


[57] An obstacle is an object that is in your way and blocks your movement.
[설명] 「that is in your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사는 「an object」입니다.


[14] In this programme on blindness in the digital age we'll be looking at some of these inventions, known collectively as assistive technology - that's any software or equipment that helps people work around their disabilities or challenges.
[설명] 「that helps people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선행사는 「any software or equipment」이고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1-2-2] which[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사용합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용법상 차이는 없습니다. 선행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등일 경우에도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본문예제>
[53] Well done, Georgina - Louise Braille the inventor of a reading system which is known worldwide simply as braille.
[설명] which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사는 「a reading system」입니다. 제한적 용법입니다.


[42] Fern hopes that this will help normalise disability - treat something as normal which has not been accepted as normal before…
[설명] which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사는 「normal」입니다. 제한적 용법입니다.


2.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두 문장을 연결시켜 주는 접속사와 부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포함된 절을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사를 수식하는 제한적 용법의 형용사절이 되거나, 계속적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선행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되기도 합니다. 관계부사에는 where, when, how, why, 그리고 that이 있습니다.

(2-1) 관계부사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the place, the time, the reason 등의 일반적 의미의 선행사가 오면, 선행사나 관계부사 중 하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단, How는 선행사나 관계대명사 중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when의 경우 선행사가 생략되면 접속사 when의 기능만 남게 되기도 합니다.

[2-1-1] the place 생략[관계부사] [관계부사]
관계부사 where의 선행사가 일반적인 선행사인 the place일 경우 이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2] The returning echoes show where these objects are located.
[설명] 관계부사 where의 선행사가 「the place」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2-1-2] where[관계부사] [관계부사]
선행사가 장소(the place)를 나타낼 때 관계부사 where를 씁니다. 관계부사 where는 '전치사('in/at/on) + which 관계대명사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선행사가 있는 경우에는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Where는 주로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를 선행사로 받지만 경우에 따라 다양한 의미의 선행사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49] I asked Georgina who invented the system of reading where fingertips are used to feel patterns of printed raised dots.
[설명] where는 관계부사입니다. 선행사는 「the system of reading」입니다.


3. 구(Phrase)
문장에서 2개 이상의 단어 집단이 하나의 품사로 기능할 때 이를 구(Phrase)라고 합니다.

(3-1) 구(Phrase) [구(Phrase)]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로 구성되며 주로 부사구와 형용사구 역할을 수행합니다. 영어로 Prepositional Phrase이라 합니다. 전치사 기능을 수행하는 구(Phrase)인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와 구분을 위해 "전치사명사구"란 용어를 사용합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전치사구라고 부릅니다.

[3-1-1] 형용사구 후위수식[구(Phrase)] [구(Phrase)]
형태는 전치사+목적어구의 형태이면서 문장에서 형용사 기능을 하는 구(句)를 말합니다.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본문예제>
[31] 'Sixth Sense' works using echo-location, a kind of ultrasound like that used by bats who send out sound waves which bounce off surrounding objects.
[설명] 「like that」는 전치사명사구로 형용사 기능을 합니다. 「ultrasound」를 후위 수식합니다.


4. 단어와 구
단어 또는 구의 활용 방법을 설명합니다.

(4-1) 단어와 구 [단어와 구]
much는 '많은'의 뜻을 갖는 형용사 또는 한정사입니다. 또한, '많이'라는 뜻의 부사로도 쓰입니다. 주로 불가산명사와 함께 사용합니다. '많은 것, 많음'의 뜻인 명사 또는 대명사로의 용법도 있습니다.

[4-1-1] 명사[단어와 구] [단어와 구]
much는 명사로 「많은 것」이란 뜻을 갖습니다.

<본문예제>
[06] Hmm, so that's the ancient Greek poet, Homer; American singer, Ray Charles; and Argentine writer, Jorge Luis Borges… I can't see much in common there, Neil.
[설명] 「see much in common」의 much는 명사입니다.


5. 명사
명사(名詞, noun)는 대개 보통, 고유, 집합, 물질, 추상 등 5가지로 분류하며, 이 중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를 셀수 있는 명사(가산명사, 可算名詞, Countable, countable noun), 나머지 셋을 셀수 없는 명사(불가산명사, 不可算名詞, Uncountable, uncoutable noun)로 나눕니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명사 또는 명사상당어가 접사없이 설명, 부연하면 동격이라 합니다.

(5-1) 명사 [명사]
명사의 격에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이중 주격과 목적격은 형태가 같습니다. 이 외에 여격, 삼성여격, 동격 등의 격이 있습니다.

[5-1-1] 부사적 용법[명사] [명사]
「부사적 목적격」이라고도 합니다. 명사에는 기본적으로 부사격이 없기 때문에 대개는 전치사가 생략된 명사구일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다른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도 있어 「명사의 부사적 용법」으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본문예제>
[23] Smartphone apps like 'BeMyEyes' allow blind users to find lost keys, cross busy roads and even colour match their clothes.
[설명] olour match → 「match the color of the cloth」의 뜻입니다. 명사인 color가 부사로 사용되었습니다.


[45] You'll soon see how difficult it is… and how life changing this technology can be.
[설명] 「life changing 」에서 명사 life가 부사적으로 사용되어 life를 수식합니다.


6. 문장 부호
문장의 뜻을 돕거나 문장을 구별하여 읽고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쓰는 여러 가지 부호를 맣합니다. 영어의 문장 부호에는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콜론(:), 세미콜론(;), 쉼표(,), 대시(-), 인용부호(', "") 등이 있습니다.

(6-1) 문장 부호 [문장 부호]
세미콜론(semicolon)은 마침표와 comma 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미콜론은 문장이 문법상으로 독립되어 있으나 의미상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경우 마침표 대신 쓰입니다. 또한 and와 같은 접속사의 역할도 합니다.

[6-1-1] 접속사 기능[문장 부호] [문장 부호]
세미콜론(;)이 and와 같은 접속사의 역할도 합니다.

<본문예제>
[06] Hmm, so that's the ancient Greek poet, Homer; American singer, Ray Charles; and Argentine writer, Jorge Luis Borges… I can't see much in common there, Neil.
[설명] Homer Charles 뒤의 세미콜론(;)은 접속사 기능을 수행합니다.


7. 문장 형식
영어의 문장은 동사의 종류에 따라 5형식으로 구분합니다. 1형식(주어+동사), 2형식(주어+동사+보어), 3형식(주어+동사+목적어), 4형식(주어+동사+목적어1+목적어2), 5형식(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등입니다. 문장의 형식 구분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용 구분이며 절대적 구분은 아닙니다.

(7-1) 문장 형식 [문장 형식]
4형식은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말합니다.

[7-1-1] 수여동사[문장 형식] [문장 형식]
4형식을 구성하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주요 4형식 동사에는 give, send, pass, lend, tell, show, deliver, throw, offer 등이 있습니다. 이들 동사 외에도 많은 동사들이 수여 동사의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49] I asked Georgina who invented the system of reading where fingertips are used to feel patterns of printed raised dots.
[설명] 4형식 문장입니다. 4형식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부릅니다. 간접목적어는 'Georgina' 이고 직접목적어는 'who 명사절'입니다.


(7-2) 문장 형식 [문장 형식]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의 형식을 갖는 문장 형식을 말합니다. 주요 5형식 동사로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등이 있습니다.

[7-2-1] 5형식 동사[문장 형식] [문장 형식]
지각동사, 사역동사, 인지동사 외에도 5형식을 지원하는 동사들이 다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4] Just keep your eyes closed for a minute and try moving around the room.
[설명] 「keep」은 5형식 문장을 만들고 있습니다. 'your eyes'가 목적어, 'closed ~'가 목적격 보어입니다.


[30] When attached to a white cane, the digital device - called 'Sixth Sense' - can detect obstacles - objects which block your way, making it difficult for you to move forward.
[설명] 「block ~」는 5형식 문장을 만들고 있습니다. 'your way'가 목적어 'making it ~'가 목적격 보어입니다.


[7-2-2] help[문장 형식] [문장 형식]
find는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주요 동사 make, find, keep, leave, get 중의 하나는 아니지만 5형식을 만드는 중요한 동사로 취급되빈다.

<본문예제>
[14] In this programme on blindness in the digital age we'll be looking at some of these inventions, known collectively as assistive technology - that's any software or equipment that helps people work around their disabilities or challenges.
[설명] 「that helps people work ~」는 help 5형식 문장입니다. 목적어가 「people」 목적격보어가 「work around ~ 」입니다. Help가 사역동사로 목적격보어로 원형부정사가 사용되었습니다.


[41] Assistive tech helps blind people lead normal, independent lives within their local communities.
[설명] help 5형식 문장입니다. 목적어가 「blind people」, 목적격보어가 「lead ~」입니다. Help가 사역동사이므로 목적격보어로 원형부정사가 사용되었습니다.


8.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단독으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로 사용됩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자체로는 역할(=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8-1) 부정사 [부정사]
to 부정사는 문장에서 다양한 구조를 보입니다. 1)동사+to 부정사, (2)동사+목적어+to 부정사, (3)형용사+to 부정사, (4)명사+to 부정사, (5)사역 동사 뒤의 원형부정사 등의 기본형이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단어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됩니다.

[8-1-1] 동사 + to 부정사 구문[부정사] [부정사]
많은 동사가 to부정사를 수반합니다. 이중 일부 동사는 동사 + 목적어 + to부정사를 함께 취하기도 합니다. 이들 동사 중 일부는 부정사 대신에 V-ing을 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뜻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25] Here he explains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Digital Planet, how his devices seek to enhance, not replace, the traditional white cane:
[설명] 「seek to enhance ~」 동사가 to부정사를 수반하는 구문으로 (to)부정사는 명사적으로 사용되어 목적어가 됩니다.


[8-1-2] 동사+목적어+to 부정사 구문[부정사] [부정사]
to 부정사가 목적어의 보어 역할을 하는 5형식 문장 구조를 만듭니다. Let, make 등의 사역동사와 see, hear, watch 등의 지각동사 그리고 know, help 등의 동사는 원형부정사를 취하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16] In 1842 a technique of using fingers to feel printed raised dots was invented which allowed blind people to read.
[설명] 'allowed blind people to read은 「동사 목적어 to부정사」구문입니다. 이 구문은 (to) 부정사가 목적어의 보어가 되는 5형식 문장입니다.


[20] Hmm, I've heard of Morse code but that wouldn't help blind people read, so I think it's, b) Louis Braille.
[설명] 「help blind people read」는 [동사 목적어 to부정사] 구문입니다. help가 사역동사이므로 원형 부정사인 'read'가 목적어의 보어가 되는 5형식 문장을 만들었습니다.


[23] Smartphone apps like 'BeMyEyes' allow blind users to find lost keys, cross busy roads and even colour match their clothes.
[설명] 「allow blind users to find ~」은 [동사 목적어 to부정사] 구문입니다. 이 구문은 (to) 부정사 'to find ~'가 목적어 'blind users'의 보어가 되는 5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8-1-3] to부정사 연결 방법[부정사] [부정사]
두 개 이상의 to부정사를 연결할 경우 to를 공유하고 동사만 연결하거나 또는, to+동사를 각각 연결해야 합니다. 두 방식을 혼용하는 것은 오류로 간주합니다. 즉, 「to 동사1 and 동사2」 또는 「to 동사1 and/or to + 동사2」와 같이 합니다.

<본문예제>
[23] Smartphone apps like 'BeMyEyes' allow blind users to find lost keys, cross busy roads and even colour match their clothes.
[설명] 「find, cross, match」 등 3개 이상의 to 부정사가 to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


(8-2) 부정사 [부정사]
to 부정사와 동명사는 동사에서 나온 것이므로 동사적 성격이나 기능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주어도 있고 목적어나 보어도 갖습니다. 또한 부사의 수식을 받기도 합니다.

[8-2-1] 5형식 구조[부정사] [부정사]
부정사의 동사적 성질이 유지되면 5형식 구조의 (to)부정사구를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구는 (to)부정사의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를 갖습니다.

<본문예제>
[11] Blind people can use a guide dog or a white cane to help them move around.
[설명] 「to help them move around」는 5형식 구조의 (to)부정사구입니다. 목적어는 'them', 목적격보어는 'move around'입니다.


(8-3) 부정사 [부정사]
to 부정사가 문장에서 형용사처럼 사용될 경우를 말합니다. 「~할」, 「~하는」 등의 의미를 갖으며 명사를 후위 수식합니다.

[16] In 1842 a technique of using fingers to feel printed raised dots was invented which allowed blind people to read.
[설명] 「to feel printed raised dots」는 to부정사 형용사적 용법으로 「fingers」를 후위 수식합니다.


[43] …so being blind doesn't have to be a big deal - an informal way to say something is not a serious problem.
[설명] 「to say that ~」는 to부정사 형용사적 용법으로 「an informal way」를 후위 수식합니다.
명사절 that절이 to부정사 say의 목적어입니다.



9. 분사
동사의 활용 중의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ing를 붙인 v-ing형을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형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일부 동사의 과거분사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기도 합니다.

(9-1) 분사 [분사]
일부 불규칙 동사를 제외하고 동사에 -ed를 붙여 만듭니다. 시제로 사용되면 have 동사와 함께 과거 완료형 시제를 만들고, 시제와 관련 없이 사용될 떄는 형용사의 기능을 합니다. 주로 수동과 완료의 의미를 갖습니다.

[9-1-1] 명사의 후위수식[분사] [분사]
명사의 뒤에서 수식하는 구조를 갖습니다. 과거분사 앞에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생략된 모습을 보입니다.

<본문예제>
[58] Some assisted technology works using echo-location - a system of ultrasound detection used by bats.
[설명] 「used」는 과거분사로 「a system of ultrasound detection」을 후위수식합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1] 'Sixth Sense' works using echo-location, a kind of ultrasound like that used by bats who send out sound waves which bounce off surrounding objects.
[설명] 「used ~」는 과거분사로 「a kind of ultrasound」을 후위수식합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8] So, echo-location is the same technology used by bats and dolphins to detect prey and obstacles and all that.
[설명] 「used ~」는 과거분사로 「the same technology」을 후위수식합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14] In this programme on blindness in the digital age we'll be looking at some of these inventions, known collectively as assistive technology - that's any software or equipment that helps people work around their disabilities or challenges.
[설명] 「known ~」은 과거분사로 「some of these inventions」을 후위수식합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10. 분사구문
분사구문은 분사가 중심이 되어 주절 전체를 부사적으로 수식하는 구문을 말합니다. 주절 전체를 수식한다는 것이 중요한데, 이점에서 분사구와 구분이 가능해 집니다. 분사 구분은 형태별로 현재분사구문, 과거분사구문으로 구분되며, 또 다른 형태로.는 독립분사구문과 부대상황 구문이 있습니다. 분사구문은 보통 「이유, 양보, 조건, 시간, 부대상황」 등 5가지의 의미를 갖습니다

(10-1) 분사구문 [분사구문]
v-ing형의 분사구문입니다. 분사구문은 기본적으로 이 형태를 갖습니다.

[10-1-1] 접속사 포함[분사구문] [분사구문]
절을 분사구문으로 만들면 보통은 접속사를 생략합니다. 그러나 접속사가 갖고 있는 고유의 의미를 살리고자 하면 접속사를 생략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기도 한다.

<본문예제>
[59] Being blind is different from being visually impaired - having a decreased ability to see, whether disabling or not.
[설명] 「whether disabling or not」은 분사구문입니다. 분사구문은 대개 접속사를 생략하지만 의미를 살리기 위해 그대로 두기도 합니다.


[10-1-2] being 생략[분사구문] [분사구문]
분사구문에서 Being은 주로 생략됩니다. Being이 생략되면 문장에 다양한 변이가 생깁니다.

<본문예제>
[30] When attached to a white cane, the digital device - called 'Sixth Sense' - can detect obstacles - objects which block your way, making it difficult for you to move forward.
[설명] 「When attached to a white cane」은 being이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11.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사실로서가 아니라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목적, 의무, 필요 등 말하는 이의 마음 속의 태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동사를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odal Auxiliary Verbs) 또는 법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would, shall, should, can, could, ought, may, might, must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11-1)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have to는 서법조동사는 아니지만 실제의 용법은 서법조동사와 많이 유사합니다. 그래서 많은 문법책에서 서법조동사의 범주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have to와 have got to는 대부분의 경우 호환하여 사용합니다.

[11-1-1] 강한 의무[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강한 의무를 나타내며 대체로 have got to 또는 must와 같은 뜻입니다. 다만, 번복적인 의무를 나타낼 때는 have got to를 쓰지 않습니다. have (got) to는 규정이나 제3자 명령처럼 외부에서 부여되는 강한 의무를 표현할 때 많이 씁니다.

<본문예제>
[43] …so being blind doesn't have to be a big deal - an informal way to say something is not a serious problem.
[설명] 'have to'는 서법조동사 입니다. 본문에서는 '강한 의무'를 나타냅니다.


(11-2)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ust는 어떤 일이 확실하다고 단정 짓는 추론이나 강한 추측을 할 때 사용합니다. must는 shoul나 aought와는 달리 예측을 할 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11-2-1] 강한 추론, 추측[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ust와 can't는 어떤 일이 확실하다고 단정 짓는 추론을 할 때 사용합니다. must는 어떤 일이 확실하거나 개연성이 높을 때 쓰입니다. 논리적으로 타당한 경우, 근거가 충분한 경우, 정황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 때 must를 씁니다. 주의할 것은 부정문(否定文)에는 must not 이 아니라 can't를 씁니다.

<본문예제>
[46] Being able to read books must also open up a world of imagination.
[설명] 서법조동사 must는 '강한 추론, 추측'를 나타냅니다.


(11-3)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Would는 1)will의 과거형, 2)과거의 추측, 과거의 상상, 3)과거의 의지, 고집, 거절 4)과거의 습관, 5) 소망, 6) 공손한 표현 등에 사용합니다.

[11-3-1] 현재의 추측[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현재의 추측을 표현합니다.

<본문예제>
[20] Hmm, I've heard of Morse code but that wouldn't help blind people read, so I think it's, b) Louis Braille.
[설명] 서법조동사 would는 현재의 '추측'을 나타냅니다.


[10] Right, but I wonder how easy they would find it living and working in the modern world.
[설명] 서법조동사 would는 현재의 '추측'을 나타냅니다.


12. 수동태(受動態)
영어의 태(voice, 態)는 능동과 수동을 나타내는 문장의 형식을 일컷는 말입니다. 능동태(active voice, 能動態)는 타동사+목적어의 형식을 갖고, 수동태는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어로 삼고 be+과거분사의 형식을 취합니다. 능동태의 주어는 by+명사(구)로 대체되거나 경우에 따라 생략됩니다.

(12-1) 수동태(受動態) [수동태(受動態)]
by 주어 즉, 능동태의 주어를 수동태의 동작주(agent)라고 합니다. 동작주는 주어가 뻔하거나 중요하지 않을 때, 동작주를 정확히 모를 때, 동작주 보다 행위 자체에 관심이 클 때, 글의 중간에 주어를 바꾸지 않기 위해. 또는 글쓴 이의 심리적인 이유 등으로 생략하기도 합니다. 공지사항, 언론보도, 제목, 광고 등의 문장 등 항상 수동태로만 쓰이는 문장은 동작주를 언급하지 않기도 합니다.

[12-1-1] 일반 사람일 때[수동태(受動態)] [수동태(受動態)]
동작주가 people, we, you they 등일 때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9] I asked Georgina who invented the system of reading where fingertips are used to feel patterns of printed raised dots.
[설명] where 관계부사절 내부는 수동태인데 by 다음으로 표시되어야 할 동작주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동작주가 일반 사람일 때 대부분 생략합니다.


[12-1-2] 행위 자체가 중요할 때[수동태(受動態)] [수동태(受動態)]
동작주보다 행위 자체가 더 중요하거나 관심의 대상일 때

<본문예제>
[16] In 1842 a technique of using fingers to feel printed raised dots was invented which allowed blind people to read.
[설명] 수동태 문장인데 「by + 동작주」가 생략되었습니다. 동작주보다 행위 자체에 중점을 둘 때 동작주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13. 시제
동사의 시제는 현재, 과거, 미래로 구분하는 기본시제 3종류와 세 종류의 완료시제(현재 완료, 과거 완료, 미래 완료) 그리고 6개의 진행시제(현재진행, 과거진행, 미래진행, 현재완료진행, 미래완료진행, 과거완료진행) 등 12시제가 있습니다. 완료시제는 완료형, 진행시제는 진행형이라고 부릅니다.

(13-1) 시제 [시제]
현재완료는 과거의 어느 시기에서부터 시작된 행동이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시제입니다. 보통 `완료`, `경험`, `결과`, `계속` 등 네 가지 의미로 해석합니다. 현재완료는 단순히 과거의 일로 표시하는 과거시제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완료는 ago를 포함하는 부사구나 의문부사 when과는 함께 사용하지 못합니다.

[13-1-1] 경험[시제] [시제]
~라고 ~한 적이 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표현하며, 보통 ever, never, once, twice, often, before, seldom, sometimes 등의 부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본문예제>
[20] Hmm, I've heard of Morse code but that wouldn't help blind people read, so I think it's, b) Louis Braille.
[설명] 「have heard of」 은 현재완료 시제입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냅니다. '~라고 ~한 적이 있다'


14. 의문사
의문사에는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에는 who, whose, whom, what, which 등이 있고 의문부사에는 where, when, why, how 등이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는 용법이 거의 같습니다.

(14-1) 의문사 [의문사]
의문부사에는 where, when, why, how 등이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는 용법이 거의 같습니다. 의문사는 명사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14-1-1] how + 형용사(부사) 의문문[의문사] [의문사]
How + 형용사(부사) ~? : '얼마나~하니?'의 뜻으로, 정도를 물을 때 씁니다.

<본문예제>
[10] Right, but I wonder how easy they would find it living and working in the modern world.
[설명] I가 주어 wonder 가 동사 how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how easy they would ~」절은 how + 형용사 의문사절입니다.
they가 주어 'would find'가 술어 동사구 it가 가목적 'how easy'가 목적격보어입니다.



15. 전치사(前置詞)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단어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상당어구)를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전치사와 그 목적어로 만들어진 구를 전치사구(前置詞句, prepositional phrase )라고 합니다.

(15-1) 전치사(前置詞) [전치사(前置詞)]
A가 B를 중심으로 곡선을 그리면 A around B의 관계가 성립됩니다. 이 곡선은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완전히 둘러 쌀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습니다. A가 한 개체일 수도 있고 여러 개가 A의 기능을 할 수도 있습니다.

[15-1-1] 주변의 위치[전치사(前置詞)] [전치사(前置詞)]
A around B에서 A가 B를 중심으로 곡선으로 그려지는 위치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본문예제>
[36] And it's challenging stereotypes around blindness too.
[설명] 전치사 around의 기본 개념은 '원을 따라 돌다' 입니다. 여러 종류의 stereotypes(고정관념)이 blindness 주변에 있다는 의미를 은유적으로 나타냅니다.


(15-2) 전치사(前置詞) [전치사(前置詞)]
전치사 of는 본질과 분리의 전치사입니다. A of B의 관계에서 B는 A의 본질이라는 개념과 함께 A가 B에서 분리되어 있다는 개념이 함께 있습니다. 즉, A와 B는 불가분의 관계 또는 같은 개체의 부분과 전체라는 개념을 갖습니다. B가 본질인 A의 상태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15-2-1] 주격 관계의 of[전치사(前置詞)] [전치사(前置詞)]
~이(가) …하는 것, 'A of B' 관계에서 'B가 A하는 것'의 의미를 갖습니다.

<본문예제>
[16] In 1842 a technique of using fingers to feel printed raised dots was invented which allowed blind people to read.
[설명] 「a technique of using fingers」의 of는 주격의 of입니다. 'A of B' 관계에서 'B가 A하는 것'이라는 주어-술어의 의미를 갖습니다.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의 기술' →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라는 기술' → '손가락을 사용하는 기술'


(15-3) 전치사(前置詞) [전치사(前置詞)]
전치사 on은 '접촉'과 '접촉에 의한 계속'의 전치사로 그림으로 표현하면 두 개체가 닿아 있는 관계입니다. 즉, A on B의 관계란 A가 B에 붙어있는 상태의 관계라는 뜻입니다. 접촉은 공간 뿐 아니라 시간, 사회, 정서서적 관계까지 확대됩니다. 공간, 시간, 상호간의 의존적 접촉 등에서 접촉의 결과인 이유 및 근거, 접촉으로 인한 영향력/결과 등의 상태도 전치사 on의 의미와 연결됩니다. 시간의 접촉이라는 개념에서 '지속', '계속'의 의미가 나타납니다.

[15-3-1] 이유, 근거, 조건, 기초, 의존[전치사(前置詞)] [전치사(前置詞)]
~에, ~때문에, ~(으)로 인해, ~에서. A on B의 관계에서 B가 A의 근거나, 이유, 조건 또는 기초가 될 때 on을 씁니다. 개념적으로 보면 B가 A를 또는 A가 B를 밑에서 받치고 있는 관계입니다.

<본문예제>
[14] In this programme on blindness in the digital age we'll be looking at some of these inventions, known collectively as assistive technology - that's any software or equipment that helps people work around their disabilities or challenges.
[설명] 전치사 on은 '접촉'과 '접촉에 의한 계속'의 전치사입니다. '기초 및 근거'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16. 절(Clause)
주어 + 동사를 갖추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성분으로 쓰이는 것을 절(Clause)이라고 합니다. 문장이 하나의 주어+동사로 이루어진 경우에 절(Clause)과 문장(Sentence)를 함께 쓰기도 합니다. 절은 형식적인 면을 중심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주절/종속절 등으로 설명하기도 하고, 기능적인 면으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도 합니다.

(16-1) 절(Clause) [절(Clause)]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것에는 that, whether, if 등의 접속사, whatever, whoever 등의 복합관계사 그리고 who, whom, which, why, what 등의 의문사가 있습니다.

[16-1-1] who 의문사[절(Clause)] [절(Clause)]
의문사 who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본문예제>
[49] I asked Georgina who invented the system of reading where fingertips are used to feel patterns of printed raised dots.
[설명] 의문사 who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17.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은 문장, 단어, 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접속사는 기능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중에서 여러 단어가 호응하여 상관적으로 쓰이는 group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문장은 컴마 등 부호가 연결 기능을 하고, 부호나 접사없이 연결하는 동격 구문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등도 문장연결기능을 수행합니다.)

(17-1) 접속사 [접속사]
how가 접속사로 사용되면 종속절을 이끕니다. 접속사가 이끄는 종속절은 주로 부사절이지만 명사절 또는 형용사절일 경우도 있습니다.

[17-1-1] 명사절[접속사] [접속사]
how가 접속사로 사용되면 명사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45] You'll soon see how difficult it is… and how life changing this technology can be.
[설명] 「how difficult it is」와 「how life changing this technology can be」의 how는 의문부사로 명사절인 의문사절을 이끕니다. 이때 how는 접속사의 기능을 합니다.


[25] Here he explains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Digital Planet, how his devices seek to enhance, not replace, the traditional white cane:
[설명] how는 의문부사로 명사절인 의문사절을 이끕니다. 이때 how는 접속사의 기능을 합니다.


[29] You send out a sound pulse and then once it bounces off an obstacle, you can tell how far the obstacle is.
[설명] 「how far the obstacle is」의 how는 의문부사로 명사절인 의문사절을 이끕니다. 이때 how는 접속사의 기능을 합니다.


(17-2) 접속사 [접속사]
once는 접속사로서 부사절인 종속절을 이끕니다.

[17-2-1] after | as soon as[접속사] [접속사]
once는 'after(일단 ~하면)', 'as soon as(~하자마자)'를 의미하는 접속사로 사용됩니다. 보통 어떤 일이 끝나거나 완료되었음을 나타나므로 주로 현재 완료 시제와 함께 쓰입니다.

<본문예제>
[27] So, once you clip it on to any white cane it works perfectly to detect the obstacles in front of you, and it relies on echo-location.
[설명] once는 접속사입니다. '…하자마자; …할 때'


(17-3) 접속사 [접속사]
that이 접속사로 사용되면 종속절을 이끕니다. 명사절을 이끌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됩니다. That은 부사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That이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과거 분사의 뒤에 오면 that절은 should와 함께 사용되어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이 됩니다. 또한 that은 so that ~, not that ~ but that ~ 등의 관용화된 구문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17-3-1] 명사절[접속사] [접속사]
접속사 that이 명사절을 이끕니다.

<본문예제>
[07] Well, the answer is that they were all blind.
[설명] 접속사 that은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보어' 입니다.


[60] And finally, the hope is that assistive phone apps can help normalise disability - change the perception of something into being accepted as normal…
[설명] 「that assistive phone」절의 접속사 that이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보어입니다.


[17-3-2] that 생략[접속사] [접속사]
(1)It that 구문에서 진주어를 이끄는 that, (2)that이 보어절을 이끌 때, (3)목적어 역할을 하기 위해 명사절을 만들어 주는경우, (4)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5)회화체 문장 등에서 명사절을 이끄는 that 접속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4] I guess being able to move around confidently really boosts people's independence.
[설명] 「I guess」 뒤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43] …so being blind doesn't have to be a big deal - an informal way to say something is not a serious problem.
[설명] 「an informal way to say」 뒤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20] Hmm, I've heard of Morse code but that wouldn't help blind people read, so I think it's, b) Louis Braille.
[설명] 「so I think」 뒤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17-4) 접속사 [접속사]
접속사 whether는 if와 함께 간접의문을 이끕니다.

[17-4-1] whether or not 구문[접속사] [접속사]
whether A or B는 부사절을 이끄는 이중 접속사(double conjunction, 二重 ~) 로 A이거나 B이거나 상관없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본문예제>
[59] Being blind is different from being visually impaired - having a decreased ability to see, whether disabling or not.
[설명] 접속사 'whether A or B'는 A이거나 B이거나 상관없을 때 사용합니다.


(17-5) 접속사 [접속사]
so that 구문은 결과 용법 또는 목적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17-5-1] so + [형용사/부사] + that … (결과 구문)[접속사] [접속사]
「so + [형용사/부사] + that …」 구문이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입니다. so A that B를 「너무 A해서 (결과적으로) B하다」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본문예제>
[33] Some of the assistive apps are so smart they can even tell what kind of object is coming up ahead - be it a friend, a shop door or a speeding car.
[설명] so that 구문으로 '결과'를 나타냅니다. '~이므로 ~ 하다'의 의미를 갖습니다. 의미적으로는 목적으로 해석해도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듯 합니다.


[17-5-2] that 생략[접속사] [접속사]
so that 구문에서 that이 생략된 형태의 구문입니다.

<본문예제>
[33] Some of the assistive apps are so smart they can even tell what kind of object is coming up ahead - be it a friend, a shop door or a speeding car.
[설명] 「so smart」 뒤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so that」 구문의 that이 생략된 것입니다.


18.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로의 기본 기능 외에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주어 it구문(it to, it that구문), 가목적어 it 구문 (it to, it that 구문), 분열문(it be that 강조구문) 등이 있습니다.

(18-1) it [it]
가짜목적어의 줄임말로 문장내에서 목적어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사실상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문장 성분을 지칭합니다. 기목적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진짜 목적어가 길어 의미 전달에 혼선이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가목적어를 사용하는 동사는 make, find, think 등입니다.

[18-1-1] it 가목적어 - it to 구문[it] [it]
목적어 위치에 it가 오고 진(眞)목적어는 to부정사가 오는 구문

<본문예제>
[30] When attached to a white cane, the digital device - called 'Sixth Sense' - can detect obstacles - objects which block your way, making it difficult for you to move forward.
[설명] 「making it difficult ~」 V-ing구는 'it to 가목적어' 구문입니다. 진목적어는 「to move forward」입니다.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for you' 입니다.


[18-1-2] it 가목적어 - V-ing[it] [it]
동사의 목적어가 to 부정사나 (명사)절이 아닌 V-ing형이 목적어로 온 경우도 이를 가목적어 it로 받을 수 있습니다. 「주어+동사+it+보어+V-ing」 형식의 구문을 만듭니다.

<본문예제>
[10] Right, but I wonder how easy they would find it living and working in the modern world.
[설명] 가목적어 it가 사용되었습니다. 진목적어는 동명사인 'living and working ~'입니다. 「how easy」가 목적격보어입니다.
[끝]

T2021_03_18_blind_06_항목문법.pdf
0.38MB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