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2025-07-03 'How do you say sorry?'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들어 있습니다. 이 문장에 Pleonasm(중복 표현)이 있습니다. 다음의 문장을 보십시오.
[29/70] Her comments divided opinion in Ghana, but eventually Afia decided to say sorry to the King, following strict traditional rules, that she dress in black and apologise kneeling down on her knees.
[직역] 그녀의 언급은 Ghana에서 의견이 나뉘었습니다. 그러나 결국 Afia는 〈[그녀가 검은 색 옷을 입고 그녀의 무릎으로 꿇어 앉아 사과하는 것]인 엄격한 전통적인 원칙을 따라서〉 왕에게 'sorry'를 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softca/223925661276
6 Minute English 해석/독해 - How do you say sorry? [BBC Learning English]
본 해설 자료는 첨부파일(PDF)로 올려져 있습니다. 다운받으셔서 활용하십시오 이 자료는 BBC Learn...
blog.naver.com
이 문장에서
kneeling down on her knees
의 표현을 보면 동사 ‘kneeling down’과 부사구 ‘on her knees.’의 의미가 중복되어 있습니다. 이 글귀에서 사실 ‘on her knees.’는 불필요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사실 이 표현은 현대영어의 구어체나 문학 표현에 자주 많이 쓰인다고 합니다.
이 글은 이 내용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Pleonasm의 기본 개념
혹시 영문 자료나 영상 또는 대화 중에 누군가가 “내 두 눈으로 봤어(I saw it with my own eyes)” 또는 “무료 선물(free gift)”이라고 말하는 걸 들어본 적 있었나요? 이런 표현들이 바로 Pleonasm(중복 표현)의 예입니다.
Pleonasm(플리어나즘)은 이와 같이 어떤 아이디어를 표현할 때 불필요하게 보이는 말을 반복하거나 더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은 같은 의미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으며, 강조하거나 습관적으로 사용됩니다. 중복되어 보이기 때문에 때로 문법에 어긋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 영어에서는 말하기와 글쓰기 모두에서 아주 흔하게 나타나는 표현 방식입니다.
이 말은 그리스어 pleonazein에서 왔으며, “과잉, 넘쳐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2. Pleonasm을 쓰는 이유
Pleonasm은 의미가 중복되지만 굳이 이렇게 쓰는 이유가 있습니다. 즉,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 강조
→ “내 두 눈으로 봤어.” (own을 넣어 강한 확신을 표현)
- 명확성이나 리듬
→ “최종 결과(end result)”는 말의 마무리 느낌을 줌
관용적 표현
→ “앉다(sit down)”는 말은 원래 'down' 없이도 되지만, 흔히 함께 사용됨
3. 여러 종류의 Pleonasm 예문
I saw it with my own eyes. ☞ "eyes"는 본다는 의미 포함
She sat down ☞ "sit"에는 이미 "down"의 의미 포함
Free gift ☞ gift는 본래 공짜
End result ☞ result는 본래 마지막 결과
Repeat again ☞ repeat는 '다시 하다'는 의미
Shouted loudly ☞ shout는 원래 큰 소리임
Close proximity ☞ proximity는 '가까움'이라는 뜻
Advance planning ☞ planning은 원래 미래를 위한 것
Own hands ☞ 만들었다는 건 손을 썼다는 의미 포함
Reason why is because ☞ reason과 because는 같은 의미 중복
4. Pleonasm의 문법 지위
일부 영문법 학자는 Pleonasm은 불필요한 중복이라는 점에서 문법에 어긋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Pleonasm은 일상적 표현이나 문학적 문체에서는 영어 원어민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며, 문법 오류로 간주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학술적 글쓰기나 공식 문서에서는 중복 표현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가는 말)
글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쓰고 싶다면 pleonasm은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강조하거나 자연스러운 리듬을 만들고 싶을 때는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실용 영문법 > 영문법 실전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 that은 관계부사 why를 대체할 수 있을까? – the reason that ~과 the reason why (0) | 2025.07.16 |
---|---|
대명사 "It"는 무엇을 가리킬까? — 영어 대명사의 지시(Reference) 유형 완전 해부 (2) | 2025.07.02 |
“명사 + 형용사"로 구성된 복합형용사 알아보기 (3) | 2025.07.02 |
영어 문법 팁: Cataphoric Reference (후방 지시/후방 조응)이란? (2) | 2025.06.25 |
영어 문법 탐구: "be + 형용사 + 목적어" 구문, 단순한 문장이 아니다 (1)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