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학습자들이 "be + 형용사" 구문은 단순한 상태 묘사라고만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때때로 명사절, to부정사, 전치사구 등을 동반하면서 풍부한 의미와 문법적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형용사 뒤에 목적어와 유사한 구성이 따라오는 경우는 반드시 문법적으로 이해하고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2025-06-12 'Can climate change affect our mental health?'에는 아래와 같은 문장이 있습니다.
[11/67] Scientists aren't always sure whether natural disasters like floods and wildfires are as a result of human-caused climate change.
이 문장에서 whether절의 문법 기능이 무엇일까요? whether절은 목적어일까요?
https://softca.tistory.com/3210
Can climate change affect our mental health? - 영국 BBC 6분 영어 강좌 [영어독해공부]
어떻게 당신은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부터 당신의 정신 건강을 보호할 수 있습니까? 닐과 베스가 이것을 의논합니다. 그리고 당신에게 몇몇의 새로운 어휘를 가르칩니다. 이 자료는 BBC Learning Engl
softca.tistory.com
1. 기본 구조: 단순한 상태 기술에서 출발
일반적으로 "be + 형용사"는 다음과 같은 상태나 감정, 성질을 나타냅니다.
- She is happy.
- They are tired.
- I’m ready.
이 경우 형용사(happy, tired, ready)는 보어(complement)로 쓰이며, 주어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2. 고급 구조: 형용사 뒤에 명사절이 따라붙는 경우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장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 I'm sure that she is honest.
- He is afraid that he might fail.
- Scientists aren’t always sure whether climate change causes wildfires.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형용사가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그 뒤에 ‘무엇에 대해 그런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내용』이 따라온다는 점입니다.
핵심 구조:
주어 + be동사 + 형용사 + 명사절 (that절 / whether절)
예시 분석:
1. I'm sure that she is honest.
- 형용사: sure
- 내용(명사절): that she is honest
- 의미: 나는 그녀가 정직하다는 것을 확신한다.
2. Scientists aren’t always sure whether climate change causes wildfires.
- 형용사: sure
- 내용(명사절): whether ~
- 의미: 과학자들은 기후변화가 산불의 원인인지 항상 확신하지는 않는다.
문법 요소
구성 요소 | 역할 |
be동사 | 연결동사 (linking verb) |
형용사 | 보어 (subject complement) |
명사절 (that/whether절) | 의미상 형용사의 대상, 즉 준 목적어 역할 |
3. to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형용사 구조
형용사 뒤에 to부정사가 따라오는 경우도 매우 흔합니다.
예시:
- She is ready to go.
- I'm happy to help.
- They were surprised to hear the news.
구조:
주어 + be동사 + 형용사 + to부정사
이 경우, to부정사는 원인(reason), 결과(result), 목적(purpose), 예상(expectation) 등을 나타내며 형용사의 의미를 구체화합니다.
4. 전치사구를 동반하는 형용사들
일부 형용사는 뒤에 전치사구를 동반하며, 그 전치사의 목적어로 명사/동명사/명사절이 올 수 있습니다.
예시:
- He is aware of the problem.
- She is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 I am afraid of what might happen.
5. 그렇다면 "be + 형용사 + 목적어"인가?
형식적으로 보면, 〔be + 형용사〕 구조는 동사가 목적어를 취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엄밀하게는 명사절이 문장의 목적어가 아니라, 형용사의 의미적 대상(semantic object) 』으로 기능하는 것입니다.
예문 비교:
- 동사 + 목적어:
I know that she is honest. ← know가 명사절을 목적어로 직접 취함 - be + 형용사 + 명사절:
I'm sure that she is honest. ← 명사절은 sure의 의미상 대상
☞ 따라서 be + 형용사 + 명사절 구조는 "형용사 중심의 의미 확장 구조"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6. 학습 팁: 대표 형용사 정리
형용사 | 뒤에 오는 구조 | 예시 |
sure, certain | that절 / whether절 | I’m sure that it’s true. |
glad, happy, afraid | that절 / to부정사 | I’m glad to help. |
aware, conscious | of + 명사 / 명사절 | She is aware that it’s wrong. |
ready, willing | to부정사 | I’m ready to leave. |
마무리 요약 | |
"be + 형용사"는 단순 상태 외에 감정/판단을 표현할 수 있다 |
|
형용사 뒤에는 명사절, to부정사, 전치사구 등 다양한 구조가 따라올 수 있다 | |
명사절은 형용사의 의미상 대상이 되며, 문법적으로는 목적어가 아니라 보어와 결합된 확장 표현이다 | |
영어 학습자는 이러한 구조에 익숙해져야 보다 자연스럽고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다 |
(--)
'실용 영문법 > 영문법 실전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 + 형용사"로 구성된 복합형용사 알아보기 (3) | 2025.07.02 |
---|---|
영어 문법 팁: Cataphoric Reference (후방 지시/후방 조응)이란? (2) | 2025.06.25 |
동작주가 생략된 5형식의 수동태 (0) | 2022.05.04 |
금주의 영문법(2) - 디렉시칼 동사(Delexical verb) (0) | 2020.02.19 |
현재분사, 과거분사, 분사구 그리고 전치사가 된 분사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