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E-rickshaws driving away pollution [BBC 6분 영어]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728x90

 

 

 

BBC Learning English 6 Minute English softca.tistory.com (문법공부(항목별))

Are electric rickshaws the solution to urban air pollution? Neil and Beth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useful vocabulary.
(전기 인력거는 도시 대기 오염의 해결책인가? Neil과 Beth는 이에 대해 토론하고 유용한 어휘를 가르칩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분사(8), 관계대명사(5), 문장형식: 5형식(4), 복합전치사(4), it(4), 비교 구문(3), 의문부사(2), that(2), 부정사(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법조동사, 관계부사, 동사: 디렉시칼동사,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의문사, 전치사, 의문문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E-rickshaws driving away pollution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홀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 다루어집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스스로는 노릇(=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몫을 맡아 합니다.

(1-1) 품사 쓰임새[用法]: 부사  부정사
to 부정사의 부사적 쓰임·법에는 목적(~하기 위해서, 하려고), 원인, 이유(~해서, ~때문에), 결과(결국 ~ 했다. ~해서 ~하다), 판단의 근거(~하는 것을 보니, ~한다면), 조건(; ~한다면, ~해 본다면), 형용사 한정(~하는데, ~하기에) 따위가 있습니다.

[1-1-1] 목적  품사 쓰임새[用法]: 부사  부정사
「∼하기 위하여」, to 부정사 부사적 쓰임새 가운데 목적에 해당되는 쓰임·법으로 「∼하기 위하여」라는 뜻을 갖습니다.

<본문예제>
[42] Luckily, the Indian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improve Delhi's air quality, largely through the switch to greener electric vehicles.
[설명] 『to improve ~』는 to부정사의 부사적용법(목적)입니다. '~하기 위하여'의 속내를 나타냅니다.


(1-2) 품사 쓰임새[用法]  부정사
to 부정사의 기본적인 용법은 염사적용법, 형용사적 용법 및 부사적 용법이 있습니다.

[1-2-1] 명사적 용법  품사 쓰임새[用法]  부정사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란 to 부정사가 문장에서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명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명사의 기능 즉, 문장에서의 주어, 보어, 목적어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본문예제>
[44] The phrasal verb put up money for something means to provide the money needed to pay for it.
[설명]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으로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2.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영어 동사의 시간 표현은 시제(tense)와 모습(aspect, 相)으로 나타납니다. 시제는 현재, 과거 및 미래의 3가지가 있고 모습(aspect, 相)은 단순-모습(simple aspect), 진행-모습(continuous aspect), 완료-모습(perfect aspect), 완료진행-모습(perfect continuous aspect) 따위의 4가지가 있습니다. 흔히 영어의 12시제는 이 세가지 시제와 4가지 모습을 곱한 것을 일컫습니다.

(2-1) 현재-완료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완료형은 현재 시제의 완료 모습(aspect, 相)을 말합니다. 과거의 어느 때에서부터 비롯된 움직임이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쓰이는 시간·꼴입니다. 보통 `완료`, `경험`, `결과`, `계속` 따위 네 가지 속내로 해석합니다. 현재-완료형은 손쉽게 과거의 일로 표시하는 단순-과거형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완료형은 ago가 들어간 부사구나 의문부사 when과는 함께 쓰지 못합니다.

[2-1-1] 계속  현재-완료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까지 상태나 동작이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주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쓰이며, 흔히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구) 즉, how long, for, since, during 따위와 함께 쓰입니다.

<본문예제>
[08] It's true that electric vehicles, or EVs as they're also called, are expensive, but in some parts of the world, the switch to electric vehicles has been a major success story in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설명] 『has been a major ~』은 현재-완료 시제-모습[현재 시제+완료 에스펙트(相)]입니다. 현재까지의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3. 법조동사
《사실》이 아니라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목적, 의무, 필요》 따위로, 말하는-이의 마음 속의 태도를 나타내기 위해 쓰는 조동사를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odal Auxiliary Verbs) 또는 법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would, shall, should, can, could, ought, may, might, must 따위가 여기에 들어갑니다.

(3-1) have to  법조동사
have to는 서법조동사는 아니지만 실제의 쓰임은 서법조동사와 거의 비슷합니다. 그래서 많은 문법책에서 서법조동사의 테두리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have to와 have got to는 흔히 맞바꾸어 다루어집니다.

[3-1-1] 강한 의무  have to  법조동사
강한 의무를 나타내며 대체로 have got to 또는 must와 같은 뜻입니다. 다만, 되풀이되는 의무를 나타낼 때는 have got to를 쓰지 않습니다. have (got) to는 규정이나 제3자 명령처럼 밖에서 주어지는 강한 의무를 나타낼 때 많이 씁니다.

<본문예제>
[36] They're having to shut schools because the pollution is so bad!
[설명] 『are having to』의 'have to'는 '의무'를 나타내는 서법조동사입니다.


4.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제멋대로 바뀌기도 합니다.

(4-1)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은 분사가 뼈가 되어 주절 모두를 부사말로 꾸며주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주절 모두를 꾸민다는 것이 대수로운데, 여기에서 분사구와 나뉩니다. 분사 구문은 《현재분사 구문》과 《과거분사 구문》으로 나뉘며, 또 다른 꼴로.는 《독립 분사구문》과 《부대상황 구문》이 있습니다. 분사구문은 보통 《이유, 양보, 조건, 시간, 부대상황》 따위의 뜻을 갖습니다

[4-1-1] 연속 동작  분사구문  분사
주절과 연이어진 짓을 보여주는 분사구문입니다. 주로 and 따위로 연이어진 등위절을 분사구문으로 바꾼 글짜임입니다.

<본문예제>
[22] Here's Louise Ribet, head of the climate organisation, C40 Cities, explaining the appeal of EVs to Graihagh Jackson, for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Climate Question:
[설명] 『explaining the appeal ~』은 주로 and로 이어진 등위절을 분사구문으로 만든 것으로 연이어진 동작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48] In fact, it's now China that tops the list, showing that when it comes to green transport, bigger isn't always better.
[설명] 『showing that ~』은 주로 and로 이어진 등위절을 분사구문으로 만든 것으로 연이어진 동작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4-2) 과거분사  분사
몇몇 불규칙 동사를 빼고는, 동사에 -ed를 붙여 만듭니다. 시제로 쓰이면 have 동사와 함께 과거 완료형 시제를 만들고, 시제와 관련 없이 쓰일 때는 형용사의 노릇을 합니다. 주로 수동과 완료의 뜻을 갖습니다.

[4-2-1] 명사의 뒷·꾸밈[後位 修飾]  과거분사  분사
분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줍니다. 특히 수식어나 목적어 따위를 가지고 있는 분사 즉 분사구는 앞에서 꾸며 줄 수가 없으므로, 뒤에서 꾸며 줍니다. 과거분사 앞에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빠져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본문예제>
[52] Smog is air pollution caused by smoke and car fumes which makes the atmosphere unhealthy and difficult to breathe.
[설명] 『caused by ~』는 과거분사(구)로 'air pollution'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41] When Graihagh discusses schools shutting because of air pollution she uses the word gosh, an expression used to show a strong feeling of surprise or wonder.
[설명] 『used to ~』는 과거분사(구)로 'an expression'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53] Gosh is an expression used to show a strong feeling of surprise or wonder.
[설명] 『used ~』는 과거분사(구)로 'an expression'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0] A lot depends on how the electricity is generated in the first place, and in India more than three quarters of the electricity used continues to be generated by coal.
[설명] used는 과거분사로 'the electricity'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1] Smog is air pollution caused by a mixture of smoke, chemicals and especially, car exhaust fumes.
[설명] 『caused by ~』는 과거분사(구)로 {air pollution}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4-3)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란 동사에 ing를 붙여 만듭니다. 따라서 동사의 현재진행형과, 동명사와 똑같은 v-ing 꼴입니다. 동명사와 달리 현재분사는 거의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현재분사는 ⑴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로서 ⑵ Be 동사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⑶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입니다.

[4-3-1] 보충·어[補語, complement] (서술적 쓰임법)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는 형용사처럼 사용되어 be 동사 등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되는 따위의 서숳어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be와 함께 쓰일 때는 시제로 쓰인 것인지 서술어로 쓰인 것인지를 나누기가 매우 애매하므로 그때그때 문맥으로 판단합니다.

<본문예제>
[29] In places without reliable public transport, electric scooters are filling the gap.
[설명] 『filling』은 현재분사로 서술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품사는 형용사이고 문장성분은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5. 동사: 디렉시칼동사
make, have, take, give, get, do 따위의 동사가 동작을 품은 명사와 맞추어 새로운 (술어)동사구를 만듭니다. 짜맞추는 꼴은 《동사+관사(또는 소유격 인칭대명사)+명사》입니다. 이 때 앞의 동사는 디렉시칼 동사(delexical verb)라고 하고, 뒤의 명사는 그냥 쉽게 "동작명사"라고 합니다.

(5-1) 디렉시칼 동사  동사: 디렉시칼동사
make, have, take, give, get, do 따위의 동사가 움직임을 품은 명사와 묶여 새로운 동사를 만듭니다. 묶임 꼴은 《동사+관사(또는 소유격 인칭대명사)+명사》입니다. 이 때 앞의 동사는 디렉시칼 동사(delexical verb)라고 하고, 뒤의 명사는 그냥 쉽게 "동작명사"라고 합니다.

[5-1-1] have  디렉시칼 동사  동사: 디렉시칼동사
동사 have가 동작명사를 목적어로 가져오면 명사를 동사처럼 씁니다. 이때, have의 뜻은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have를 디렉시칼 동사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05] I had my first drive in an electric car yesterday, Neil.
[설명] 『had my first drive』는 have 디렉시컬 동사 글짜임입니다. '처음으로 전기차를 몰아 보았다'라는 뜻입니다.


6. 복합전치사
두 낱말 또는 그보다 많은 낱말들로 짜여지고 품사가 전치사인 구.

(6-1) 복합전치사 [전치사+명사+전치사 글짜임]  복합전치사
「전치사+명사+전치사」 또는 「부사/형용사/명사+전치사」 따위의 꼴로 전치사가 포함된 두 개 이상의 낱말로 구를 이루어 전치사 노릇을 하는 낱말 뭉치를 말합니다.

[6-1-1] against  복합전치사 [전치사+명사+전치사 글짜임]  복합전치사
「in the fight against」와 같이 「전치사+명사+to」의 구조로 문장에서 전치사로 쓰이는 복합전치사입니다.

<본문예제>
[08] It's true that electric vehicles, or EVs as they're also called, are expensive, but in some parts of the world, the switch to electric vehicles has been a major success story in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설명] 「in the fight against」는 「전치사+명사+to」의 글짜임을 갖는 복합전치사입니다.


[11] In this programme, we'll be discussing the growing role of electric vehicles in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설명] 「in the fight against」는 「전치사+명사+to」의 글짜임을 갖는 복합전치사입니다.


[6-1-2] of Pan  복합전치사 [전치사+명사+전치사 글짜임]  복합전치사
in front of, on account of, in case of 따위의 틀로 된 전치사구로 흔히 복합전치사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25] From an accessibility and affordability and efficiency point of view… and on that first point of accessiblity, the state of public transport is not as developed as it is in places like London or Singapore.
[설명] 'on that first point of'는 in front of, on account of 따위와 같은 「전치사+명사+of」 틀로 이루어진 이루어진 복합 전치사구입니다.


[6-1-3] to  복합전치사 [전치사+명사+전치사 글짜임]  복합전치사
「in relation to」와 같이 「전치사+명사+to」의 구조로 문장에서 전치사로 쓰이는 복합전치사입니다.

<본문예제>
[26] There's no metro lines or fancy bus networks, and two- and three-wheelers spread in response to this lack of sufficient or high quality, frequent public transport infrastructure.
[설명] 「in response to」는 「전치사+명사+to」의 형태의 복합전치사구를 만들며 명사와 결합하여 부사구로 사용됩니다.

 

 



7. 문장형식: 5형식
5형식이란 《주어+동사+목적어+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뼈대를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손꼽는 5형식 동사에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따위가 있습니다.

(7-1)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불완전타동사란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있어야 하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사역동사, 지각동사, 인지동사 따위가 이 테두리의 동사들입니다. 이들 밖에도 5형식을 만드는 동사들이 여럿 있습니다.

[7-1-1] make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make는 손꼽히는 사역동사입니다. make가 5형식 글짜임을 만들 때 선행(명)사가 부정사이면 to 없는 원형부정사를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2] It makes the atmosphere difficult to breathe and very unhealthy.
[설명] 이 월(=文章)은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the atmosphere',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difficult to breathe and very unhealthy'입니다.


[52] Smog is air pollution caused by smoke and car fumes which makes the atmosphere unhealthy and difficult to breathe.
[설명] which 마디는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the atmosphere',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unhealthy and difficult to breathe'입니다.


(7-2)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글월(文章)의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명사 및 형용사 낱말 또는 같은 쓸모의 말이 옵니다.

[7-2-1] 원형 부정사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문장의 목적어 보어로 to 부정사가 올 수 있습니다. 이 때 동사가 사역동사이면 원형 부정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40] By 2030 the government wants 30% of its vehicles on the road to be electric, and has put up $1.2 billion to make that happen.
[설명] 『to make that happen』은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that 목적격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happen입니다. make가 사역동사라서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원형부정사가 오고 있습니다.


[43] The government has put up over 1 billion dollars to make this happen.
[설명] 『to make this happen』은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this 목적격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happen입니다. make가 사역동사라서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원형부정사가 오고 있습니다.


8.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말을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8-1) in  전치사
전치사 in은 2차원 또는 3차원 내부를 나티냅니다. 즉 한계가 있는 선이나 면 내부에 포위되어 있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in의 기본적인 의미는 A in B의 관계에서 A가 용기인 B의 내부에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B가 평면의 경우라도 한계나 경계가 있다면 in이 쓰입니다.

[8-1-1] 영역(재료, 도구, 수단, 환경, 활동)  in  전치사
'~로써, ~로 만든, ~의 속에서' in의 목적어가 어떤 영역일 판(판(경우)境遇). 영역은 학문 따위의 활동 영역일 수도 있고, 도구, 재료, 수단 및 환경의 영역일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05] I had my first drive in an electric car yesterday, Neil.
[설명] 『in an electric car』의 전치사 in의 목적어인 'an electric car'는 [활동 영역]을 나타냅니다.

 

 

 



9.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 쓰임·법에 여러가지 다른 문법적 쓰임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손꼽히는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짜주어 it(it to, it that글짜임), 가짜목적어 it(it to, it that 글짜임), 분열문(it be that 강조 글짜임) 따위가 있습니다.

(9-1) 가짜-주어 it  it
주어가 길 때 주어 자리에 형식적인 주어 it를 놓고 내용상 주어를 문장 뒤로 뺍니다. 흔히 [it+be+형용사] 글짜임으로 쓰입니다.

[9-1-1] it 명사절  가짜-주어 it  it
문장의 주어가 that절이 아닌 다른 명사절도 가짜주어 it 글짜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what, how, when 따위로 시작하는 명사절도 가짜주어 it를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0] Yes, In India it's the drivers of small vehicles like motorbikes, mopeds, scooters and rickshaws, known as two- and three-wheelers, who dominate the road, and now over half of these are electric.
[설명] 이 월(=文章)은 [it who 가짜주어] 글짜임입니다. who 절인 'who dominate the road'가 명사절로 진짜주어입니다.


[9-1-2] it be 형용사 that 글짜임  가짜-주어 it  it
that 명사절이 문장의 주어일 때 주어가 길면, it를 형식·주어(=가짜`주어)로 앞에 세우고 진짜 주어인 that 마디[節, clause]를 뒤에 오게 합니다. 이러한 꼴을 it that 형식·주어(假주어) 글짜임이라고 합니다. 이 때의 that은 접속사입니다. 흔히 [be+형용사+that]의 뼈대를 이룹니다.

<본문예제>
[08] It's true that electric vehicles, or EVs as they're also called, are expensive, but in some parts of the world, the switch to electric vehicles has been a major success story in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설명] 이 절의 주절은 「it be+형용사 that ~」 글짜임입니다. 「that electric vehicles ~」의 that절이 진짜주어입니다.


[9-1-3] it seems that 글짜임  가짜-주어 it  it
It seems that 글짜임은 it가 가짜주어, that절이 진짜주어입니다. '~인 것 같다'라는 속내를 갖는데, that절의 주어가 ~인 것 같다 라는 뜻입니다.

<본문예제>
[45] In this area it seems India is leading the world, which reminds me of your quiz question, Beth.
[설명] 이 월(=文章)은 「it seems that ~」 글짜임입니다. it가 가짜`주어, that절이 진짜`주어입니다. that마디[節, clause]의 주어인 India가 '~인 것 같다'라는 속내를 가집니다. 접속사 that은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9-1-4] V-ing 구문  가짜-주어 it  it
문장의 주어가 동명사(V-ing형)일 경우 it를 가짜`주어로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09] And it's not just rich people switching to electric - in India, poorer workers are embracing it too.
[설명] 이 월(=文章)은 동명사가 진짜`주어인 it 가짜`주어 글짜임입니다. 진짜`주어는 「switching to electric」입니다.


10. 비교 구문
형용사, 부사의 비교 변화에는 원급(Positive degree), 비교급(Comparative degree), 최상급(Superlative degree)이 있고, 비교급은 다시 동등비교(more ~ than)와 열등비교(less ~ than)로 나뉩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은 1 소리마디와 몇몇 2 소리마디는 ~er, ~est를 붙여 만들고, 그 밖의 2 소리마디와 그 보다 많은 소리마디를 갖는 낱말에는 more와 most를 원급에 붙입니다.

(10-1) 비교급  비교 구문
비교급은 ~er를 붙여 만들거나 more를 형용사/부사 앞에 붙여 사용합니다. 몇몇 낱말은 제멋대로 버뀌기도 합니다. 비교급은 「비교급 ~ + than ~」 글짜임을 씁니다. 비교 과녁은 명사구, 부사, 마디[節, clause] 따위입니다. 비교 문장에서 크게 보아 than 다음에 또 다시 나오는 낱말이나 뻔한 내용, 「주어 + 동사」는 거의 뺍니다. as ~ as 글짜임을 빌린 원급 비교 글짜임은 동등비교문이라고도 합니다.

[10-1-1] 우등 비교  비교급  비교 구문
더하기(+)의 속내를 갖는 비교급입니다. 정도가 더 하는 것, 즉 더(+)의 개념. 더 예쁘다, 더 크다, 더 추하다, 더 작다 따위

<본문예제>
[19] While electric vehicles score better than petrol or diesel cars in most environmental tests, there's some debate about exactly how green they are.
[설명] while 절은 등 비교급 글짜임입니다. 비교 과녁은 낱말인 {electric vehicles}와 {petrol or diesel cars}이고 비교 항목(낱말)은 동사인 score입니다.


[10-1-2] 절대비교급  비교급  비교 구문
than이 이끄는 눈에 보이는 비교의 과녁을 앞세우지 않은 비교급을 말합니다.

<본문예제>
[33] What's more, because children are smaller and closer to car exhaust pipes, smog affects them most.
[설명] 「smaller and closer」는 절대 비교 글짜임입니다. than과 함께 비교의 과녁이 되는 낱말이나 구 또는마디[節, clause]가 없으면 절대 비교급 글짜임이라고 합니다.


(10-2) 원급비교  비교 구문
《as ~ as》 짜임을 갖는 비교 구문을 말하며, 동등 비교라고도 합니다. 현대 영어에서 동등비교의 아니오(否定) 표현은 몇몇 익은~말(熟語)을 빼 놓고는 《 not as ~ as》를 씁니다. 《not so ~ as》는 몇몇 영국영어의 문어체에서만 나타납니다.

[10-2-1] as 형용사/부사 as 글짜임  원급비교  비교 구문
사람 또는 사물이 같나는 것을 나타낼 때 as as 글짜임을 씁니다. [A] as ~ as [B] 글짜임과 [A] not as(또는 so) ~ as [B] 글짜임을 골라 써서 A와 B가 같음(부정문의 경우 다름)을 풀어냅니다.

<본문예제>
[25] From an accessibility and affordability and efficiency point of view… and on that first point of accessiblity, the state of public transport is not as developed as it is in places like London or Singapore.
[설명] 「as developed as」는 「as ~ as」 동등(원급) 비교 글짜임입니다.

 

 


11.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11-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11-1-1]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17] Well, I'll guess it's the US that has the world's largest automobile market.
[설명] gues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1-1-2] 부사절 (형용사 뒤의 that)  생략 글짜임  that
I am glad ~, you are all right ~ 등 뒤에 나오는 that절의 접속사 that은 흔히 생략합니다. 다만, 명사 뒤에서는 대체로 생략하지 않습니다.

<본문예제>
[34] In winter, the air in Delhi gets so bad they have to close the schools, sometimes for weeks.
[설명] 형용사 bad 뒤에 [정도]의 속내를 갖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아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12.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12-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꾸밈말이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고릅니다.

[12-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23] What is it about two and three-wheelers that's so appealing?
[설명] 『that's so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two and three-wheelers'입니다.


[48] In fact, it's now China that tops the list, showing that when it comes to green transport, bigger isn't always better.
[설명] 『that tops the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China 입니다.


(12-2)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12-2-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52] Smog is air pollution caused by smoke and car fumes which makes the atmosphere unhealthy and difficult to breathe.
[설명] 『which makes the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smoke and car fume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쓰임법입니다.


(12-3) 의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as, but, than 등의 접속사는 때로 관계대명사로 쓰입니다. 이들 접속사가 관계대명사로 쓰일 때는 선행사가 분명히 존재하고 이끄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및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유사관계대명사라고도 합니다.

[12-3-1] as  의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as는 as, so, such, same 등 상관어구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관계대명사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as가 홀로 쓰일 때는 그 관계사절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거나 앞 절의 내용을 받습니다. 이점에서는 which와 유사합니다.

<본문예제>
[08] It's true that electric vehicles, or EVs as they're also called, are expensive, but in some parts of the world, the switch to electric vehicles has been a major success story in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설명] 「as they're also ~」의 as는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EVs이고, 격은 목적격입니다.


(12-4)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걸려있는 명사(구)로 두 개의 월(=文章)을 이어준 월입니다. 이 때 명사(구)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선행명사라고 하고 이를 받아 월을 이어주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연결 쓰임법에는 한정사 종속절을 만드는 한정용법, 명사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 쓰임법, 등위절을 만드는 계속용법, 삽입절을 만드는 비제한용법, 앞의 문장의 일부를 받는 접속 대명사적인 쓰임법 따위가 있습니다.

[12-4-1] 계속용법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선행명사와 관계대명사(which 등) 사이에 comma(,)가 있으면, 관계대명사의 계속용법이라 합니다. 이 때의 관계대명사는 단순히 「접속사+대명사」와 같습니다. 「그런데 그것은~」(and that ~) 정도의 뜻으로 접속사를 하나 덜 쓴 정도의 기능만을 합니다. 현대 영어는 앞에 콤마가 없어도 계속용법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맥을 살펴 뜻을 파악해야 합니다.

<본문예제>
[45] In this area it seems India is leading the world, which reminds me of your quiz question, Beth.
[설명] 『which reminds me ~』의 which는 계속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and that'의 의미입니다.

 

 

 


13.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한꺼번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디[節, clause](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13-1) 종류  관계부사
관계부사에는 where, when, how(the way), why 따위가 있습니다.

[13-1-1] how  종류  관계부사
방법을 나타내는 관계부사입니다. 원래는 'the way + how'였지만 지금은 the way나 how 중 하나만을 써야 합니다. 둘을 함께 쓸 수 없습니다. 함께 써야 할 경우라면 'the way + that'을 씁니다. How는 관계대명사 in+which를 대체한 관계부사입니다. How는 주로 명사절을 이끌고 부사절을 이끄는 경우는 드믑니다.

<본문예제>
[20] A lot depends on how the electricity is generated in the first place, and in India more than three quarters of the electricity used continues to be generated by coal.
[설명] 『how the electricity is ~』는 how 관계부사절입니다. '~하는 방식(법)'이라는 의미입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4. 의문부사
의문부사는 의문문을 만드는데,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을 만듭니다.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따위가 됩니다.

(14-1) how  의문부사
how는 의문부사로 '어떻게'의 뜻으로 상태, 방법 따위를 물을 때 씁니다. How는 형용사(부사)와 묶여 'how+형용사(부사)?'의 꼴로 '얼마나~하니?'라는 언저리를 물을 때 많이 쓰입니다. 의문사가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이끌 때는 접속사가 됩니다. how 의문사절은 명사절로 문장에서는 주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목적어의 쓸모를 가집니다.

[14-1-1] 명사절  how  의문부사
how 의문사는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이끌 접속사의 쓸모를 갖습니다. how 의문사절은 명사절로 문장에서는 주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목적어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19] While electric vehicles score better than petrol or diesel cars in most environmental tests, there's some debate about exactly how green they are.
[설명] 『how green ~』은 의문부사 how마디[節, clause]입니다. how는 [wh- 질문] 꼴의 직접의문문을 만들거나 간접의문문 틀의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전치사 about의 목적어입니다.


(14-2) why  의문부사
'왜'라는 뜻으로 이유나 원인을 물을 때 씁니다. 의문사는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이끌 때 접속사의 쓸모를 합니다. why 의문사절은 명사절로 문장에서는 주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목적어가 됩니다.

[14-2-1] 접속사[명사절] [=관계부사]  why  의문부사
접속사 why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why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문장성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why 명사절은 때로 선행(명)사가 빠진 why 관계부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why 명사절은 '왜 ~하는지'로 번역하고 why 관계부사절은 '~하는 이유'로 번역합니다.

<본문예제>
[27] Graihagh asks why electric vehicles are so appealing, so desirable and attractive.
[설명] 『why electric vehicles ~』는 선행(명)사 'the reason'이 간추려진 관계부사절입니다. 이마디[節, clause]는 또한 의문사 why 명사절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15. 의문사
의문사에는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에는 who, whose, whom, what, which 따위가 있고 의문부사에는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는 쓰임법이 거의 같습니다.

(15-1) 의문한정사  의문사
의문한정사에는 which, what, whose 따위가 있습니다. whose는 who의 소유격이며, what과 which는 명사를 꾸미는 짜임을 갖습니다. 이 때 which는 대상이 정해진 것(일정수) 가운데 어느 것(또는 어느 누구)을 물을 때 고르고 what은 대상이 정해지지 않는 상태(부정수, 否定數) 가운데 어느 것(또는 어느 누구)을 물을 때 골라집니다.

[15-1-1] which  의문한정사  의문사
which는 명사를 한정해서 꾸며줍니다. 이 때 which는 대상이 정해진 것(일정수) 가운데 어느 것(또는 어느 누구)를 물을 때 씁니다.

<본문예제>
[14] In India many different vehicles use the road, but which country's car market is the biggest?
[설명] 『which country's car ~』의 which는 의문형용사(한정사)입니다.

 

 


16. 의문문
보통 V+S 또는 조동사+S+V의 어순을 가지며, 끝에 물음표를 븥입니다. 이것이 보통의 직접의문문이며, 그밖에 부가의문문, 수사의문문, 간접의문문 등이 있습니다.

(16-1) 부가 의문문  의문문
이미 알고 있거나, 의견을 물을 때 쓰이는 의문문입니다.

[16-1-1] 동의 또는 의문 [맞지요 또는 맞나?}  부가 의문문  의문문
상대방에게 동의를 구하거나, 궁금함을 나타날 때 쓰이며 앞의 문장이 긍정문이면 부정의 동사, 부정문이면 긍정의 동사를 써서 나타냅니다. 조동사나 be동사이면 be동사나 같은 조동사를 쓰고, 일반 동사이면 do를 씁니다. 시제는 앞의 문장의 시제와 맞추어 씁니다. 동의를 구할떄는 내려서 발음하고, 의문을 나타낼 때는 끝을 올려 발음합니다. 동의를 구할 때는 right?로 간단히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37] Gosh, that's hardly a solution is it!
[설명] 'is it'은 동의를 구하는 부가의문문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2794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