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 Saving dead languages [BBC 6분 영어]

728x90

 

 

 

BBC Learning English 6 Minute English 문법공부(softca.tistory.com)

Before the arrival of European settlers, Australia was home to more than 200 languages. Many of these have died out since, but some have now been brought back to life. Barngala is one of these. Neil and Phil discuss the revival of Barngala and teach you some useful vocabulary.
(유럽인 정착민들이 도착하기 전에 호주에는 200개 이상의 언어가 있었습니다. 이들 중 다수는 그 이후로 사라졌지만 일부는 이제 다시 살아났습니다. Barngala는 이들 중 하나입니다. Neil과 Phil은 Barngala의 부흥에 대해 토론하고 유용한 어휘를 가르칩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8), 접속사(5), that(4), 동명사(3), 문장형식(2), 전치사(명사)구(2), 분사(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수동태, 의문사, it, 법조동사, 복합전치사, 부사, 부정사, 동사의 시제·모습(tense-aspect), 마디[節, clause]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Saving dead languages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성질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1-1] 목적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므로 타동사의 목적어(object)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8] Speaking your own language is about more than communication, it means knowing your roots and feeling good about yourself.
[설명] 『knowing your ~』는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1-2] 전치사 목적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가 되가도 하므로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0] But what can be done to save languages from dying out?
[설명] 『dying out』은 동명사(구)입니다. 전치사 〈from〉의 목적어입니다.


[1-1-3] 주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의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8] Speaking your own language is about more than communication, it means knowing your roots and feeling good about yourself.
[설명] 『Speaking your own language』는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2. 수동태(受動態)
영어의 태(voice, 態)는 능동과 수동을 나타내는 문장의 틀을 일컷는 말입니다. 능동태(active voice, 能動態)는 《타동사+목적어》의 꼴을 갖고, 수동태는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어로 삼고 《be+과거분사》의 꼴을 갖습니다. 능동태의 주어는 《by+명사(구)》로 바뀌거나 판에 따라 간추려져 빠집니다.

(2-1) 글짜임 형태  수동태(受動態)
소동태는 《be동사+과거분사》 글짜임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판에 따라 be 동사를 갈음하여 get, become, grow가 쓰이기도 합니다. 또한 《have+물건+과거분사》의 꼴을 갖기도 합니다.

[2-1-1] be 수동태 구문  글짜임 형태  수동태(受動態)
표준적인 수동태는 3형식의 능동체 문장을 「be동사+과거분사 구문」으로 만듭니다. 능동체의 주어는 수동태의 동작주로 나타내며 「by 목적어」로 표현합니다.

<본문예제>
[14] Many Aboriginal languages were destroyed by the brutal laws of the Australian government at the time, however some survived.
[설명] 이 월(文章)은 일반적인 수동태 글짜임입니다. 동작주는 by의 목적어인 'the brutal laws of the Australian government'입니다.


3.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홀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 다룹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스스로는 노릇(=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몫을 맡아 합니다.

(3-1) 형용사적 쓰임새[用法]  부정사
to 부정사가 문장에서 형용사처럼 다루어지는 판을 말합니다. 「~할」, 「~하는」 따위의 속내를 갖으며 명사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3-1-1] 뒷 꾸밈[後位 修飾]  형용사적 쓰임새[用法]  부정사
to부정사(구)가 명사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본문예제>
[36] What's ironic is that Professor Zuckermann used the missionary's dictionary not to spread Christianity and English, but to save an Aboriginal language from extinction, so he calls it 'topsy-turvy', meaning upside down.
[설명] 『not to spread ~』는 《not A but B》의 글짜임으로 이어진 to부정사구가 형용사적 쓰임새로 'the missionary's dictionary'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뒷 꾸밈〈後位 修飾〉).


4. 동사의 시제·모습(tense-aspect)
영어 동사의 시간 표현은 시제(tense)와 모습(aspect, 相)으로 나타납니다. 시제는 현재, 과거 및 미래의 3가지가 있고 모습(aspect, 相)은 단순-모습(simple aspect), 진행-모습(continuous aspect), 완료-모습(perfect aspect), 완료진행-모습(perfect continuous aspect) 따위의 4가지가 있습니다. 흔히 영어의 12시제는 이 세가지 시제와 4가지 모습을 곱한 것을 일컫습니다.

(4-1) 현재-완료형  동사의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완료형은 현재 시제의 완료 모습(aspect, 相)을 말합니다. 과거의 어느 때에서부터 비롯된 움직임이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쓰이는 시간·형입니다. 보통 `완료`, `경험`, `결과`, `계속` 따위 네 가지 속내로 해석합니다. 현재-완료형은 손쉽게 과거의 일로 표시하는 단순-과거형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완료형은 ago가 들어간 부사구나 의문부사 when과는 함께 쓰지 못합니다.

[4-1-1] 경험  현재-완료형  동사의 시제·모습(tense-aspect)
~라고 ~한 적이 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내며 보통 ever, never, once, twice, often, before, seldom, sometimes 따위의 부사와 함께 쓰입니다.

<본문예제>
[33] The phrase 'in quotation marks' is used to show the actual words someone else has written or said, but here the phrase is used ironically.
[설명] 『has written or said』는 현재완료 시제 글짜임입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냅니다. '~라고 ~한 적이 있다'

 

 

 


5. 법조동사
《사실》이 아니라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목적, 의무, 필요》 따위로 말하는-이의 마음 속의 태도를 나타내기 위해 쓰는 조동사를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odal Auxiliary Verbs) 또는 법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would, shall, should, can, could, ought, may, might, must 따위도 여기에 들어갑니다.

(5-1) used to  법조동사
used+to부정사는 과거의 시점을 조명합니다. 즉, 지금은 더 이상 지속되지 않는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Used+to부정사는 ⑴과거와 현재를 대비하기 위해, ⑵과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⑶과거의 습관적 동작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5-1-1] 과거의 습관·상태  used to  법조동사
「used to」는 과거의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친 상습적인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에 비해 would는 가끔 행해진 습관적 동작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실제도 이 둘은 거의 나뉨없이 쓰이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12] But first I have a question for you, Phil, and it's about a country which used to be one of the most linguistically rich places on Earth, Australia.
[설명] 《used to》는 과거의 습관 따위를 나타내는 (서)법조동사입니다.


6.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불규칙적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6-1) 과거분사  분사
몇몇 불규칙 동사를 빼고는, 동사에 -ed를 붙여 만듭니다. 시제로 쓰이면 have 동사와 함께 과거 완료형 시제를 만들고, 시제와 관련 없이 쓰일 때는 형용사의 몫을 합니다. 주로 수동과 완료의 뜻을 갖습니다.

[6-1-1] 명사의 뒷·꾸밈[後位 修飾]  과거분사  분사
분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줍니다. 특히 수식어나 목적어 등을 가지고 있는 분사 즉 분사구는 앞에서 꾸며 줄 수가 없으므로, 뒤에서 꾸며 줍니다. 과거분사 앞에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빠져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본문예제>
[13] Before European settlers arrived in the 1800s, Australia had over 200 languages spoken by the native Aboriginal people who had lived there for thousands of years.
[설명] 『spoken by ~』는 과거분사(구)로 'over 200 languages'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빠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6-2)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란 동사에 ing를 붙여 만듭니다. 따라서 동사의 현재진행형과, 동명사와 똑같은 모먕의 v-ing 꼴입니다. 동명사와 달리 현재분사는 거의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현재분사는 ⑴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로서 ⑵ Be 동사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⑶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입니다.

[6-2-1]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는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따라서 명사를 앞 또는 뒤에서 꾸밀 수 있습니다. 명사의 앞에서 꾸며주는 것을 앞-꾸밈[傳位修飾], 명사의 뒤에서 꾸며주는 것을 뒷·꾸밈[後位修飾]이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08] Well, sadly the one thing uniting these languages is that they're all endangered.
[설명] 『uniting ~』은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the one thing'을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7. 부사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및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때로는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접속부사(전이어(轉移語), 부사어구)는 의미적으로 문장을 연결하기도 합니다.

(7-1) 문장 부사  부사
문장부사는 문장 전체에 걸리는 부사를 말합니다. 크게 문체부사와 내용부사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7-1-1] 내용부사  문장 부사  부사
말하는`이의 입장에서 해당 문장의 내용에 대한 확실성의 정도와 주관적인 가치평가를 나타내는 부사를 말합니다.

<본문예제>
[08] Well, sadly the one thing uniting these languages is that they're all endangered.
[설명] sadly는 문장부사입니다. 말하는`이의 입장에서 문장의 내용에 대한 확실성의 정도 또는 주관적인 가치평가를 나타내 줍니다.


8. 전치사(명사)구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로 구성되며 주로 부사구와 형용사구 역할을 수행합니다. 영어로 Prepositional Phrase이라 합니다. 전치사 기능을 수행하는 구(Phrase)인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와 구분을 위해 「전치사명사구(전명구)」란 용어를 사용합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전치사구라고 부릅니다.

(8-1) 명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로 구성된 구가 명사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기능을 합니다.

[8-1-1] 목적어  명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구가 명사로 다루어지면 문장에서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3] Before European settlers arrived in the 1800s, Australia had over 200 languages spoken by the native Aboriginal people who had lived there for thousands of years.
[설명] 「over 200 languages」는 전치사명사구로 명사로 쓰여 월(文章)의 목적어가 되고 있습니다.


[8-1-2] 전치사의 목적어  명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구가 명사적으로 사용되어 전치사의 목적어가 됩니다.

<본문예제>
[05] And now that we've done our hellos, let's hear some greetings in different languages from around the world.
[설명] 전치사명사구 'around the world'가 명사구로 쓰여 전치사 from의 목적어가 됩니다.


9. 복합전치사
두 단어 이상의 단어 집단으로 구성되고 품사가 전치사인 구.

(9-1) 복합전치사 [전치사+명사+전치사 글짜임]  복합전치사
「전치사+명사+전치사」의 형태 또는 「부사/형용사/명사+전치사」 등 전치사가 포함된 두 개 이상의 단어로 구를 이루어 전치사 기능을 하는 단어 집단을 말합니다.

[9-1-1] of Pan  복합전치사 [전치사+명사+전치사 글짜임]  복합전치사
in front of, on account of, in case of 등의 구조로 된 전치사구로 흔히 복합전치사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09] We often hear about animals at risk of extinction, but a recent study by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found that out of the world's 7000 existing languages, half are under threat.
[설명] 『at risk of extinction』의 「at risk of」는 복합전치사입니다. '~의 위험에 놓인'의 뜻이며 목적어는 extinction입니다.


10. 문장형식
영어의 문장은 동사의 종류에 따라 5형식으로 구분합니다. 1형식(주어+동사), 2형식(주어+동사+보어), 3형식(주어+동사+목적어), 4형식(주어+동사+목적어1+목적어2), 5형식(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등입니다. 문장의 형식 구분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용 구분이며 절대적 구분은 아닙니다.

(10-1) 2형식  문장형식
주어+동사+보어로 구성된 문장을 말합니다.

[10-1-1] that 명사절 보어  2형식  문장형식
2형식 글짜임으로 명사절인 that마디[節, clause]의 문장성분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월(文章)을 말합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거의 that이며 자주 간추려져 빠집니다.

<본문예제>
[08] Well, sadly the one thing uniting these languages is that they're all endangered.
[설명] 이 월(=文章)은 2형식으로 that 명사절이 보어입니다.


[19] The sad truth is that it was no accident that the Aboriginal languages died out, given the cruel treatment of Aboriginal people.
[설명] 이 월(文章)은 주어 'the sas truthe', 동사 is, that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글짜임입니다.

 

 



11.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로의 밑바탕 쓰임·법에 여러가지 문법적 쓰임을 더하고 있습니다. 손꼽히는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주어 it 글짜임(it to, it that구문), 가목적어 it 글짜임 (it to, it that 글짜임), 분열문(it be that 강조 글짜임) 따위가 있습니다.

(11-1) 가짜-주어 it  it
주어가 길 때 주어 자리에 형식적인 주어 it를 놓고 내용상 주어를 문장 뒤로 뺍니다. 흔히 [it+be+형용사] 글짜임으로 쓰입니다.

[11-1-1] it that 글짜임  가짜-주어 it  it
that 명사절이 진짜 주어인 it 가짜 주어 구문입니다.

<본문예제>
[19] The sad truth is that it was no accident that the Aboriginal languages died out, given the cruel treatment of Aboriginal people.
[설명] that 명사절 안쪽은 「it 가주어 글짜임」입니다. 《that the Aboriginal languages died out》 명사절이 진짜 주어입니다.


12. that
that은 기본적으로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따위로 매우 여러가지로 쓰이고 있습니다.

(12-1) 생략 구문  that
⑴It that 구문에서 진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어절을 이끌 때, ⑶목적어 역할을 하기 위해 명사절을 만들어 주는경우,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등에서 명사절을 이끄는 that 접속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12-1-1] 명사절  생략 구문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문형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07] I'm afraid I don't know what they have in common because I don't recognise any of them.
[설명] afraid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35] He is signalling that he doesn't think Aboriginals are heathens at all, a bit like adding a wink at the end of a sentence so people know you're not serious.
[설명] 목적절인 that절 내부에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두개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모두 목적어입니다. think와 know 동사 뒤에 that이 몫몫이 빠져 있습니다.


[37] Professor Zuckermann also says he is 'righting the wrongs of the past', a phrase which means doing something to correct a historical injustice from the past, in this case, the destruction of Aboriginal language and culture.
[설명] say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39] I think it's time you reveal the answer to your question, Neil.
[설명] think와 time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몫몫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몫몫이 목적어와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13.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문장을 이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대표적입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13-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용법으로만 사용됩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수식어가 붙으면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사용합니다.

[13-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용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른 낱말[單語]의 변화는 없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31] Heathen is an old-fashioned word for someone who belongs to no religion, or to a religion that is not Christianity, Judaism, or Islam.
[설명] 『that is not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a religion'입니다.


(13-2)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가 be동사와 함께 쓰이거나,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 있는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려 뺼 수 있습니다.

[13-2-1] 목적격 which/that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빼고 써도 됩니다. 명사 뒤에 접속사 없이 《주어 + 동사》가 왔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빠져 있는 판이 많습니다.

<본문예제>
[33] The phrase 'in quotation marks' is used to show the actual words someone else has written or said, but here the phrase is used ironically.
[설명] 선행(명)사 'the actual words'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13-3) what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는 관계대명사로 the thing(s) which의 뜻을 갖습니다. 또한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따위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기 때문에 what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입니다.

[13-3-1] 문장성분 보어  w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은 명사절인 종속절을 만듭니다. what 명사절은 문장에서 보어의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1] That's what we'll be discussing in this programme, and, as usual, we'll be learning some useful new vocabulary as well.
[설명] 『what we'll be discussing ~』은 what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보충·어[補語, complement] 입니다. what의 격은 목적격입니다.


[13-3-2] 문장성분 주어  w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은 명사절인 종속절을 만듭니다. what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의 노릇을 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6] What's ironic is that Professor Zuckermann used the missionary's dictionary not to spread Christianity and English, but to save an Aboriginal language from extinction, so he calls it 'topsy-turvy', meaning upside down.
[설명] 『What's ironic』의 what 관계대명사절이 월(=文章)의 주어입니다. 동사는 is입니다.


(13-4)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13-4-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의 문장성분이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7] Professor Zuckermann also says he is 'righting the wrongs of the past', a phrase which means doing something to correct a historical injustice from the past, in this case, the destruction of Aboriginal language and culture.
[설명] 『which means doing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a phrase'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용법입니다.


(13-5)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반드시 사람을 선행사로 합니다. 목적격은 whom이고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who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who는 한정용법(제한용법) 계속 용법 모두 있습니다.

[13-5-1] 제한적 용법  who  관계대명사
who가 계속적 용법이면 and(또는but)+he/she/they 등 주격의 인칭대명사와 동일한 기능을 합니다. who는 원칙적으로 주격이지만 많은 경우에 whom 대신 사용되기도 합니다. whom 대숑으로 쓰였다면 인칭대명사는 him, her, them 등과 같이 목적격이어야 합니다.

<본문예제>
[43] 'Heathen' is an old-fashioned name for someone who believes in no religion.
[설명] 『who believes in ~』의 who는 한정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someone입니다.


[13] Before European settlers arrived in the 1800s, Australia had over 200 languages spoken by the native Aboriginal people who had lived there for thousands of years.
[설명] 『who had lived ~』의 who는 한정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the native Aboriginal people'입니다.


(13-6)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관련있는 명사(구)로 두 개의 문장을 연결한 문장입니다. 이 때 명사(구)로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을 선행명사라고 하고 이를 받고 문장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연결 용법에는 한정사 종속절을 만드는 한정용법, 명사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 용법, 등위절을 만드는 계속용법, 삽입절을 만드는 비제한용법, 앞의 문장의 일부를 받는 접속 대명사적인 용법 따위가 있습니다.

[13-6-1] 비제한용법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비(非)제한용법은 선행명사에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대명사 용법으로 대개의 경우 마치 삽입절과 같이 콤마로 둘러싼 틀을 갖습니다. 선행명사를 꾸민다는 점에서는 한정용법과 비슷하지만 한정용법처럼 선행명사의 뜻을 좁히기 보다는 의미를 보태는 것에 더 중점을 두려 합니다.

<본문예제>
[27] His name was Clamor Wilhelm Schumann, and he wrote the dictionary with up to 3500 words, which is a lot, because he wanted to Christianise the, in quotation marks, "heathens".
[설명] 『which is a lot』의 which는 선행(명)사에 정보를 보태는 비제한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3500 words'입니다. 비한정용법은 쉽표로 둘러싼 삽입절의 꼴을 갖습니다.

 

 


14.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문장은 컴마 등 부호가 이어주는 기능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14-1) that  접속사
that이 접속사가 되면 종속 접속사로 종속절을 이끕니다. 명사절을 이끌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됩니다. that은 부사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that이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과거 분사의 뒤에 오면 that절은 should와 함께 쓰여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이 됩니다. 또한 that은 so that ~, not that ~ but that ~ 따위의 익은 글짜임에도 많이 쓰입니다.

[14-1-1] 명사절  that  접속사
완전한 문장 앞에 접속사 that이 오면 명사절로 사용되는 that절이 됩니다. 즉, 접속사 that이 명사절을 이끌어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입니다. 그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는 쓰이지 못합니다.

<본문예제>
[35] He is signalling that he doesn't think Aboriginals are heathens at all, a bit like adding a wink at the end of a sentence so people know you're not serious.
[설명] 이 문장은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입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4-2) so that  접속사
「so that 글짜임」 및 「so+형용사/부사+that 글짜임」은 결과 쓰임법 또는 목적 쓰임법으로 사용됩니다. that이 이끄는 절은 부사절입니다.

[14-2-1] that 생략  so that  접속사
「so that 글짜임」에서 that이 간추려져 빠진 생김새의 글짜임입니다.

<본문예제>
[35] He is signalling that he doesn't think Aboriginals are heathens at all, a bit like adding a wink at the end of a sentence so people know you're not serious.
[설명] 『so people know ~』의 so 뒤에는 「so that 글짜임」에서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줄어들어 있습니다 이 「so that 글짜임」은 《목적》의 뜻과 맛을 가집니다.


(14-3) but (등위)  접속사
but은 문법적으로 유사한 것을 연결합니다. 으뜸으로는 절을 이어줍니다.

[14-3-1] not but 구문  but (등위)  접속사
not [A] but [B} 구문은 'A가 아니라 B이다'의 뜻입니다. [A]와 [B]로는 형용사(구), 전치사명사구, (to)부정사 및 절 등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때의 [A]와 [B]는 동일한 성분이 와야 합니다. 즉 병치법을 준수해야 하는 게 원칙입니다.

<본문예제>
[36] What's ironic is that Professor Zuckermann used the missionary's dictionary not to spread Christianity and English, but to save an Aboriginal language from extinction, so he calls it 'topsy-turvy', meaning upside down.
[설명] 『not to spread ~』는 「not A but B」 글짜임으로 두개의 to부정사구를 이어주고 있습니다. 'A가 아니라 B이다'를 나타냅니다. A는 'to spread Christianity ~', B는 'to save an Aboriginal ~'입니다.


(14-4) 파생 접속사  접속사
현재분사의 전치사적 용법이 점차 전치사로 굳어진 것들. 또는 that과 묶여 쓰이던 접속사 쓰임법에서 that이 빠져 나가면서 접속사로 굳어진 전치사들입니다.

[14-4-1] that 생략·꼴  파생 접속사  접속사
so that, in order that, given that, now that, once that, provided that, providing that, seeing that, supposing that, considering that, assuming that 등 that과 이어져 다루어지던 접속사구에서 that이 생략된 형태의 접속사 또는 접속사구를 말합니다.

<본문예제>
[19] The sad truth is that it was no accident that the Aboriginal languages died out, given the cruel treatment of Aboriginal people.
[설명] 『given the cruel ~』의 given은 접속사입니다. 본디 《given that》의 꼴이었으나 that이 떨어져 나가고 given만 남은 모습입니다.


(14-5) 접속사구  접속사
두개 이상의 낱말이 접속사가 되는 구입니다. 특히,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말이 that절과 묶여 접숙사구를 이루는 판이 많은데, 이때 접속사 that이 빠지는 판이 많이 있습니다.

[14-5-1] now that  접속사구  접속사
'…이므로, …이기 때문에'의 뜻을 갖는 종속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입니다.

<본문예제>
[05] And now that we've done our hellos, let's hear some greetings in different languages from around the world.
[설명] 「now that」은 '…이므로, …이기 때문에'의 뜻을 갖는 종속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입니다.

 

 


15. 의문사
의문사에는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에는 who, whose, whom, what, which 따위가 있고 의문부사에는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는 쓰임법이 거의 같습니다.

(15-1) 의문사 vs 관계사  의문사
모든 의문사는 관계사로 쓰입니다. 관계사로 쓰이는 의문사 가운데 what과 선행(명)사가 생략된 how, why, when, where 따위의 관계부사는 의문사인지 관계사인지 나누기가 쉽지 않은 판이 많습니다. 이 때에는 문맥에 따라 해석해 주면 됩니다. 거의 속내에는 다름이 없습니다.

[15-1-1] what  의문사 vs 관계사  의문사
what은 문장에서 문맥에 따라 의문사로도 또는 관계사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의문사일 때는 '무엇 ~"이라고 해석이 되고 관계사는 '~인 것'으로 해석이 됩니다.

<본문예제>
[07] I'm afraid I don't know what they have in common because I don't recognise any of them.
[설명] 『what they have in common』의 what은 관계대명사일 수도 의문대명사일 수도 있습니다. 문맥에 맞추어 편하게 골라 맞추어 쓰면 됩니다. what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6. 마디[節, clause]
《주어 + 동사》를 갖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요소로 쓰이는 것을 종속절(節, Clause)이라고 합니다. 마디[節, clause]는 절의 우리 말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구성된 모습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따위로 말하기도 하고, 품사 쓰임새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16-1)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것에는 that, whether, if 등의 접속사, whatever, whoever 등의 복합관계사 그리고 who, whom, which, why, what 등의 의문사가 있습니다.

[16-1-1] 보어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이 문장에서 보어 기능을 합니다.

<본문예제>
[36] What's ironic is that Professor Zuckermann used the missionary's dictionary not to spread Christianity and English, but to save an Aboriginal language from extinction, so he calls it 'topsy-turvy', meaning upside down.
[설명] 이 월은 주어가 『What's ironic』 관계사절, 동사가 is,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글짜임을 갖고 있습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2507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T2023-10-05_languages_06_항목문법.pdf
0.26MB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