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2022-07-28 'Confused by modern idioms?'는 다양한 문법 자료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번 주에는 seem 동사, and로 절 연결하기, 생략부호, 삽입구, V-ing 구문 등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1. seem 동사
1) seem 연결동사
동사 seem은 2형식을 만드는 연결동사입니다. 다음은 본문에 나온 문장들입니다.
[58/62] And finally, a first-world problem is a problem that does not seem very important when compared to the serious problems faced by people in poorer parts of the world.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1세계 문제는 [세계의 더 가난한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 의하여 직면된 심각한 문제에 비교하여 그리 중요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입니다.
[45/62] Social media outlets like Twitter have also created their own idioms, including first-world problems - a trivial problem that does not seem very important when compared to the serious problems faced by people in poorer parts of the world.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매체는 또한 제1세계 문제를 포함하여 그들의 자신의 관용어를 창조해 오고 있습니다. (즉, 그것은) [세계의 보다 가난한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 의하여 직면된 심각한 문제와 비교했을 때에], [매우 중요해 보이지 않는] 사소한 문제 (입니다).
2) seem to be + 형용사
seem 뒤에는 흔히 to be와 함께 쓰입니다.
The bus seems to be full. 버스가 만원인 것 같다.
She doesn’t seem to be ready yet. 그녀는 아직 준비가 안 된 듯하다.
3) seem to be + 명사(구)
seem to be 뒤에 형용사가 아닌 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I spoke to a man who seemed to be the boss. 나는 사장처럼 보이는 남자에게 말했다.
4) seem + 명사
seem to be + 명사(구) 구문에서 to be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She seems (to be) a nice girl. 그녀는 좋은 여자인 것 같다.
5) seem + to부정사
seem 뒤에는 to be외에도 다른 to부정사가 올 수 있습니다. 다음은 본문에 나온 예문입니다.
[38/62] When phrases the movies develop into idioms it's often because they are ubiquitous - they seem to appear everywhere.
영화가 구들을 관용어로 진전시켰을 때에, 그것은 종종 [그것들이 어디에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즉,) 그것들은 모든 곳에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56/62] If something is ubiquitous, it seems to appear everywhere.
만약 무언 가가 어디에나 있다면, 모든 곳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2. A and B와 a, b and c 방식으로 연결된 5개의 등위절, 생략부호
다음 문장은 두개의 등위절이 A and B 방식으로 연결되고, 다시 B 등위절이 a, b and c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34/62] So, Groundhog Day I think more or less has the meaning of 'deja vu' now, and it's completely embedded in the language… actually, that's probably one of the first phrases that got me thinking about these modern idioms in the first place because it is so ubiquitous, it's used in a huge range of contexts, and one of the things that made me sit up and take notice is, I had a number of students who know the phrase, Groundhog Day, but had no idea it was a film.
첫 문장을 보겠습니다.
⑴So, Groundhog Day I think more or less has the meaning of 'deja vu' now,
⑴그래서, Groundhog Day는, 내 생각에, 다소간 데자부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다음 문장은 세개의 등위절이 a, b and c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절을 차례로 살펴보겠습니다. 그 중 첫번쨰 절입니다.
⑵and ①it's completely embedded in the language… actually,
⑵그리고 ①그것은 실제로 언어에 … 완벽하게 내재되어 있습니다.
…는 생략 부호입니다. 이 부호는 주로 단어의 일부를 생략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구어체에서 단어가 잘 생각이 나지 않을 때에도 사용합니다.
다음 절을 보겠습니다. 이 절은 because 종속절을 갖는 복문입니다.
②that's probably one of the first phrases that got me thinking about these modern idioms in the first place because it is so ubiquitous, it's used in a huge range of contexts,
②왜냐하면 그것이 아주 도처에 흔하고, 그것이 광대한 범위의 문맥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실제로 그것은 아마도 [내가 이들 현재의 관용구들에 관하여 우선적으로 생각하도록 한] 첫번째 구 중의 하나입니다.
in the first place 우선[먼저]
get 사역 5형식 get+목적어+V-ng (목적어)에게 V-ing 하도록 시키다
세번째 절입니다.
and ③one of the things that made me sit up and take notice is, I had a number of students who know the phrase, Groundhog Day, but had no idea it was a film.
③ 내가 앉아서 주목하도록 만든 것 중의 하나가 [내가 [Groundhog Day 라는 구를 알지만, 그것이 영화였다는 것을 모르는] 여러 명의 학생들을 갖고 있다는 것] 입니다.
that은 관계대명사절입니다. 선행사는 things입니다.
이 절은 ‘one of the things’가 주어, 동사가 is입니다. 동사 be 다음의 전체가 명사절인데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이 명사절이 보어입니다.
다음은 이 문장 모두를 직역한 것입니다.
⑴그래서, Groundhog Day는, 내 생각에, 다소간 데자부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⑵그리고 ①그것은 실제로 언어에 … 완벽하게 내재되어 있습니다.
②왜냐하면 그것이 아주 도처에 흔하고, 그것이 광대한 범위의 문맥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실제로 그것은 아마도 [내가 이들 현재의 관용구들에 관하여 우선적으로 생각하도록 한] 첫번째 구 중의 하나입니다.
③ 그리고 내가 앉아서 주목하도록 만든 것 중의 하나가 [내가 [Groundhog Day 라는 구를 알지만, 그것이 영화였다는 것을 모르는] 여러 명의 학생들을 갖고 있다는 것] 입니다.
3. 생략 부호 …로 연결된 문장
다음 문장에도 생략부호가 있는데 등위 접속사로 추정됩니다.
생략부호 앞 뒤의 문장이 완성되어 있는 상태인데, 생략부호가 마침표의 기능이라고 추정하려면 점이 4개가 되어야 하고 뒤의 어구가 대문자로 시작되어야 합니다.
[41/62] The vocabulary of the internet, even the word 'internet', is relatively modern… the idea of breaking the internet is now a phrase I think people would use and recognise, so something that causes such a stir online that metaphorically so many people rush to a website that it threatens to bring it down, something like that…
생략부호를 접속사 and로 추정하고 앞 문장을 보겠습니다.
The vocabulary of the internet, even the word 'internet', is relatively modern…
인터넷의 어휘, 심지어 'internet'이라는 단어조차도 상대적으로 최근입니다…
그 다음 문장은 등위접속사 so로 두 개의 구절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먼저 앞부분입니다.
the idea of breaking the internet is now a phrase I think people would use and recognise,
내 생각에, ‘breaking the internet’이란 생각은 이제 [사람들이 사용할 수도 그리고 인지할 수도 있는] 구가 되었습니다.
다음은 so로 연결된 어구입니다.
so something that causes such a stir online that metaphorically so many people rush to a website that it threatens to bring it down, something like that…
이 구문이 매우 어려웠습니다.
주어가 something인 것 같은데 이에 대응하는 동사가 마땅치 않습니다 앞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causes는 that 관계대명사에 대응하는 동사입니다.
앞의 something은 that 관계대명사의 수식을 받습니다. that 관계대명사는 주격입니다. 관계대명사절만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That(=something) causes such a stir online.
무언 가가 인터넷에서 그러한 동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online은 부사입니다. ‘온라인에서’라는 뜻입니다.
online 뒤의 that절은 명사절로 stir와 동격을 이루는 동격절입니다. 이 절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Metaphorically so many people rush to a website that it threatens to bring it down,
은유적으로 아주 많은 사람들이 웹 사이트에 달려 들어서 그것이(달려 든 것)이 그것(웹사이트)을 다운되도록 조짐을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앞의 something 어구는 절이 아니라 구입니다. 따라서 앞의 something과 뒤의 something은 동격 또는 같은 말 반복입니다. 즉 기본 문장은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so something, something like that…
그래서 무언가 즉 그와 같은 무언가…
이 문장에서 생략부호는 something의 술어 부분이 생략된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so something that causes such a stir online that metaphorically so many people rush to a website that it threatens to bring it down, something like that…
그래서 [무언 가가 인터넷에서 그러한 동요 즉, [은유적으로 아주 많은 사람들이 웹 사이트에 달려 들어서 그것이(달려 든 것)이 그것(웹사이트)을 다운되도록 조짐을 보인 것]을 일으키고 있던] 무언가 즉 그와 같은 무언가…
threatens 조짐을 보이다
bring down 내리다, 떨어뜨리다; 파멸[도산]시키다, 붕괴시키다; 콧대를 꺾다.
이 문장 전체를 직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인터넷의 어휘, 심지어 'internet'이라는 단어조차도 상대적으로 현대적입니다…
내 생각에, ‘breaking the internet’이란 생각은 이제 [사람들이 사용할 수도 그리고 인지할 수도 있는] 구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무언 가가 인터넷에서 그러한 동요 즉, [은유적으로 아주 많은 사람들이 웹 사이트에 달려 들어서 그것이(달려 든 것)이 그것(웹사이트)을 다운되도록 조짐을 보인 것]을 일으키고 있던] 무언가 즉 그와 같은 무언가…
4. 생략부호 - 마침표
이 문장에도 생략 부호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때의 생략부호 다음에 시작하는 문장이 대문자로 시작하고 있어 이 생략부호는 구두점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법적으로 생략부호가 문장의 끝이라면 점 4개가 필요한데 본문은 3개만 사용하고 있어 약간 혼란스럽습니다.
[43/62] Yeah, so the idea of something going viral is certainly very much in the vocabulary now…
But things like Twitter have leant sort of phrases, so the idea of first-world problems, meaning sort of ironically things that we complain about but actually,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world, may well be relatively minor, that started life as Twitter hashtag, for example.
먼저 생략부호 앞 문장입니다.
⑴Yeah, so the idea of something going viral is certainly very much in the vocabulary now…
⑴예, 그래서 무언 가가 입소문이 나고 있다는 생각은 확실히 지금 언어 안에 아주 많이 있습니다.
go viral 입소문이 나다
그 다음 문장입니다. ⑵번 문장은 좀 복잡해 보입니다. 기본적으로는 so로 연결된 두 문장입니다. 여기서 so로 연결된 두번째 문장이 매우 복잡합니다.
⑵But ①things like Twitter have leant sort of phrases, ②so the idea of first-world problems, meaning sort of ironically things that we complain about but actually,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world, may well be relatively minor, that started life as Twitter hashtag, for example.
먼저 앞 문장을 보겠습니다.
⑵ ①But things like Twitter have leant sort of phrases,
⑵ ①그러나 트위터와 같은 것들은 일종의 어구에 의지해 왔습니다.
이제 그 다음 부분을 보겠습니다.
②so the idea of first-world problems, meaning sort of ironically things that we complain about but actually,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world, may well be relatively minor, that started life as Twitter hashtag, for example.
중간에 ‘meaning sort of ~ minor’까지가 삽입구입니다. 이 삽입구는 first-world problems을 부연 설명합니다.
삽입구를 제외한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so the idea of first-world problems, that started life as Twitter hashtag, for example.
이 문장은 주어가 the idea of first-world problems이 주어이고 that은 바로 주어를 받는 대명사입니다. 그래서 이 문장을 이렇게 해석됩니다.
그래서 제1세계의 문제라는 생각 즉, 그것은 예를 들면 트위터 해시태그로서의 삶을 시작합니다.
이제 삽입구를 보겠습니다.
(삽입구)
③meaning sort of ironically things ⓐthat we complain about but ⓑ {that} actually,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world, may well be relatively minor
삽입구 meaning ~은 현재분사로 ‘first-world problems’를 후위 수식합니다. 즉,
일종의 역설적으로 어떤 것들을 뜻하는
이란 뜻을 갖습니다. 여기서 that 관계대명사가 things를 제한적으로 설명합니다. things를 설명하는 관계대명사 절은 두개입니다. 하나는 주격, 또 하나는 목적격입니다.
ⓐwe complain about that(=things)
ⓐ우리가 무언 가에 대해 불평합니다.
여기의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 but {that(=things)} actually,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world, may well be relatively minor
ⓑ그라니 실제로, 세계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어떤) 것들은 비교적 사소한 것일 수 있습니다.
여기의 that은 주격입니다.
may well (…하는 것도) 당연하다, 무리가 아니다, 아마 …일 것이다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world (부사구) ‘세계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compared to가 전치사입니다.
다음은 삽입구 전체를 직역한 것입니다.
역설적으로 [ⓐ우리가 무언 가에 대해 불평하지만 ⓑ(그러나) 실제로, 세계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비교적 사소한 것일 수 있는] 어떤 것들을 뜻하는
이제 삽입 부분을 포함한 전체를 직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②그래서 [ⓐ역설적으로 [우리가 무언 가에 대해 불평하지만 ⓑ(그러나) 실제로, 세계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비교적 사소한 것일 수 있는] 어떤 것들을 뜻하는] 제1세계의 문제라는 생각은 즉, 그것은 예를 들면 트위터 해시 태그로의 삶을 시작합니다.
다음은 전체를 직역한 것입니다.
⑴예, 그래서 무언 가가 입소문이 나고 있다는 생각은 확실히 지금 언어 안에 아주 많이 있습니다.
⑵ ①그러나 트위터와 같은 것들은 일종의 어구에 의지해 왔습니다.
②그래서 [ⓐ역설적으로 [우리가 무언 가에 대해 불평하지만 ⓑ(그러나) 실제로, 세계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비교적 사소한 것일 수 있는] 어떤 것들을 뜻하는] 제1세계의 문제라는 생각은 즉, 그것은 예를 들면 트위터 해시 태그로의 삶을 시작합니다.
5. 분사구문 or 현재분사
다음 문장의 meaning 구문이 매우 어렵습니다.
[36/62] Gradually, the movie title itself became an idiom, Groundhog Day, meaning a situation in which events that have happened before, happen again in exactly the same way.
먼저 주절을 직역해 보겠습니다.
Gradually, the movie title itself became an idiom, Groundhog Day,
점진적으로, 영화제목 자체는 Groundhog Day라는 관용어가 되었습니다.
meaning 구문은 분사구문으로 볼 수도 있고 현재분사로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 분사구문일 경우에는 부사구가 되어 became을 수식하는 것이 되고, 형용사적 용법이라면 ‘an idiom’ 또는 ‘Groundhog Day’를 후위 수식하는 형용사구로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구문이 매우 까다롭습니다.
meaning a situation in which events that have happened before, happen again in exactly the same way.
이 이구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⑴ meaning a situation.
어떤 상황을 뜻하는(또는 뜻하면서)
두번째 어구는 which 관계대명사절입니다.
⑵ in which events that have happened before, happen again in exactly the same way.
이 어구의 원래 문장을 추정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Events that have happened before, happen again in exactly the same way in the situation.
사건들은 그 상황에서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한번 발생합니다.
that은 events를 선행사로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⑶ that(=events,) have happened before
그것들(=사건들)은 전에도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
다음은 전체 문장을 직역한 것입니다.
점진적으로, 영화제목 자체는 [[[전에 일어난 적이 있던] 사건들은 그 상황에서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한번 발생하는] 어떤 상황을 뜻하는(또는 뜻하면서)] Groundhog Day라는 관용어가 되었습니다.
(끝)
(본문의 전체 문장을 보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https://softca.tistory.com/1777
(지난 주 자료)
https://softca.tistory.com/1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