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 Do trees have memories? [BBC 6분 영어]

728x90

Can plants 'remember' stressful situations, such as droughts or pests? And if so, does it make them stronger and better able to fight disease? Sam and Neil discuss the topic and teach you related vocabulary.
(식물은 가뭄이나 해충과 같은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을 '기억'할 수 있습니까? 만약 그렇다면, 그것이 그들을 더 강하고 질병과 더 잘 싸울 수 있게 합니까? Sam과 Neil은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관련 어휘를 가르칩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8), 접속사(7), 부정사(5), 전치사(4), it(4), 분사(3), 서법조동사(3), 구문(句文)(3), 문장 형식(3), 어구(語句)(2), 절(Clause)(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형용사, 감탄문, 원칙과 규정, 수동태, 시제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Do trees have memories?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감탄문
감탄문은 강한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으로서 감탄부호(느낌표 ― !)로 끝을 맺습니다. 일반적인 감탄문은 what 또는 how 로 시작하지만 예외적으로 다른 표현 기법도 사용합니다.

(1-1) 감탄문 [감탄문]
How 또는 what을 사용하지 않고 나타내는 감탄문 유형

[1-1-1] If only 절[감탄문] [감탄문]
결과절이 생략된 감탄문. 강한 희망을 나타내며 가능성이 있으면 직설법, 사실에 반대되면 가정법을 씁니다.

<본문예제>
[62] What memories those trees must have - if only they could speak!
[설명] 「if only ~」 감탄문입니다.


2. 관계대명사
서로 관련이 있는 두개의 문장을 연결하여 하나의 문장을 만든 것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대표적입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1)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
서로 관련이 있는 두개의 문장을 연결하여 하나의 문장을 만든 것을 관계사절( relative clauses)이라고 합니다. 이 때의 연결고리는 명사(구)인데, 앞의 문장에는 기존의 명사(구)가 그대로 남고 뒷 묹장의 명사(구)가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관계형용사로 바뀝니다. 이 때 앞에 남은 명사(구)를 선행사라고 합니다. 원칙적으로 관계사는 선행사 바로 뒤에 위치합니다.

[2-1-1] 선행사 분리[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절은 선행사 바로 뒤에 오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했을 경우 문맥에 혼선이 올 가능성이 있으면 분리시키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49] Dr Luna-Diez has a hypothesis - an idea that explains how or why something happens which has yet to be tested to see if it's correct.
[설명] 관계대명사 which와 선행사 idea가 분리되어 있습니다.


(2-2)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that은 항상 한정 용법으로만 쓰입니다. 사람, 동물, 사물 등 무엇이든지 선행사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선행사가 의문사이거나 선행사가 the only, the very, the same, all, any, the last, 서수 및 형용사의 최상급으로 수식되는 경우」에는 that을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선행사가 사람일 때는 who, 사물일 때는 which를 쓰기도 합니다.

[2-2-1] 주격[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
that 관계대명사는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른 단어의 변화는 없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49] Dr Luna-Diez has a hypothesis - an idea that explains how or why something happens which has yet to be tested to see if it's correct.
[설명] 『that explains how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사는 idea입니다.


[05] Over the past 18 months, we've heard a lot about the human immune system - the cells in our bodies that fight diseases like coronavirus.
[설명] 『that fight diseases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사는 cell입니다.


(2-3)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
what은 선행사를 겸하는 관계대명사로 the thing(s) which의 뜻을 갖습니다. 또한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등으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at은 선행사를 겸하기 때문에 what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입니다.

[2-3-1] 목적격[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what은 주격과 목적격에 철자 변화는 웞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이 관계사절의 목적어일 때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됩니다.

<본문예제>
[13] I mean, do you think a tree can remember being young or what it was doing last year?
[설명] 『what it was ~』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입니다. 절의 문장 성분은 목적어 입니다.


[27] That's what BBC World Service programme, CrowdScience, asked bioscientist, Jurriaan Ton.
[설명] 『what BBC World Service ~』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입니다. 절의 문장 성분은 보어 입니다.


(2-4)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which는 선행사가 동물이나 사물을 가르킵니다. which는 주격과 목적격은 철자가 동일하고, 소유격은 whose 또는 of which를 씁니다. which는 제한용법과 계속용법 모두 있습니다.

[2-4-1] 주격[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which의 문장 성분이 주어인 경우.

<본문예제>
[51] For a tree which has lived for hundreds of years it might be useful to remember that 1947 was a very dry summer.
[설명] 『which has lived ~』의 which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사 tree를 수식하는 제한적 용법입니다.


(2-5)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which가 계속적 용법으로 쓰일 때는 「and that/it」의 기능을 합니다. 여기서 that 또는 it는 선행사를 말합니다. 관계대명사에서 선행사는 두 문장을 연결하는 고리로, 기본적으로는 명사(구)입니다. 그런데 계속적 용법에 사용된 which는 that 또는 it 대명사의 성질을 갖고 있어, 명사 뿐 이니라 앞의 문장 전체 또는 일부를 선행사로 받기도 합니다.

[2-5-1] 목적격[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which가 관계사절 내부에서 목적어인 경우의 용법입니다.

<본문예제>
[10] Us, humans, store memories in our brain, but our body also remembers things, including stressful situations from the past, which it stores in our genes.
[설명] 『which it stores ~』는 which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으로 격은 목적격입니다. 선행사는 「stressful situations」입니다.


(2-6)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who는 반드시 사람을 선행사로 합니다. 목적격은 whom이고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who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who는 한정용법(제한용법) 계속 용법 모두 있습니다.

[2-6-1] 계속적 용법[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 who가 계속 용법이면 「and+인칭대명사(주격/목적격)」과 동일합니다.

<본문예제>
[30] Firstly, they sit at the bottom of the food chain so there are a lot of opportunistic organisms out there, including insect herbivores and microbial pathogens who want to tap into that biochemical energy that is stored in plants.
[설명] 『who want to tap ~』의 who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로 보면 편리합니다 선행사는 'insect herbivores and microbial pathogens'이고, 격은 주격입니다. 관계대영사절이 문장의 끙에 위치하면 콤마의 유무에 관계없이 계속적 용법으로 해석하는 게 보다 쉬울 수 있습니다.

 

 

 



3. 구문
문장을 이루는 틀 또는 구조

(3-1) 구문 [구문]
명사(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아무런 연결 기능 없이 병렬로 처리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설명하거나 부연하면 이 둘은 동격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

[3-1-1] 동격의 콤마[구문] [구문]
동격 관계를 표현하는 콤마로 뒤의 내용이 앞의 내용을 부연 설명하거나 한정합니다.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본문예제>
[43] For me, stress is a work deadline or moving house, but for trees it's more basic, something like not getting enough water.
[설명] 「basic」과 「something」이 동격입니다. 콤마가 동격을 나타냅니다.


(3-2) 구문 [구문]
what은 의문대명사 또는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대명사입니다. 영어에는 매우 많은 what 관용 구문이 있습니다.

[3-2-1] what about?[구문] [구문]
what about ~ ? 또는 How about ~ ? 구문은 제안을 하거나 잊고 있던 것을 상기 시킬 때 씁니다. '~는 어때'의 뜻

<본문예제>
[41] But what about memory, Sam?
[설명] 『what about ~』는 제안을 하거나 잊고 있던 것을 상기 시킬 때 씁니다. '~는 어때'의 뜻입니다.'


[07] But what about trees and plants?
[설명] 『what about trees ~』은 제안을 하거나 잊고 있던 것을 상기 시킬 때 씁니다. '~는 어때'의 뜻입니다.


4. 문장형식
영어의 문장은 동사의 종류에 따라 5형식으로 구분합니다. 1형식(주어+동사), 2형식(주어+동사+보어), 3형식(주어+동사+목적어), 4형식(주어+동사+목적어1+목적어2), 5형식(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등입니다. 문장의 형식 구분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용 구분이며 절대적 구분은 아닙니다.

(4-1) 문장형식 [문장형식]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의 형식을 갖는 문장 형식을 말합니다. 주요 5형식 동사로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등이 있습니다.

[4-1-1] 사역동사 [문장형식] [문장형식]
let, make, have, help 등의 동사를 사역동사라고 합니다. 사역동사는 5형식 문장을 만들 때 목적격보어로 원형부정사를 취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54] So, trees do have memories - but they don't let it get them stressed!
[설명] 『they don't let it get ~』은 let 5형식 문장입니다. 목적어가 it, 목적격보어가 'get them stressed'입니다. let이 사역동사이므로 목적격보어로 원형부정사를 취하고 있습니다.


[4-1-2] make[문장형식] [문장형식]
make는 대표적인 사역동사입니다. make가 5형식 문장을 만들 때 선행사가 부정사이면 to 없는 원형 부정사를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72] And if so, does it make them stronger and better able to fight disease?
[설명] 『make them stronger ~』는 make 5형식 문장입니다. 목적어가 'them', 목적격보어가 'stronger and better able ~'입니다.


[16] In this programme, we'll be asking whether trees can remember - and if so, does it make them stronger and better able to fight disease?
[설명] 『it make them stronger ~』은 make 5형식 문장입니다. 목적어가 them, 목적격보어가 'stronger and better able to fight disease'입니다.


5.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단독으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로 사용됩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자체로는 역할(=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5-1) 부정사 [부정사 ]
(to) 부정사는 문장에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주격 보어, 목적격 보어, 수식어 등의 문장 성분을 갖습니다.

[5-1-1] 진주어[부정사 ] [부정사 ]
(to)부정사가 주어일 때 주어가 길면 「it to」 구문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it to」구문에서 it는 가주어. to부정사구는 진주어입니다.

<본문예제>
[32] It's hard for trees to protect themselves.
[설명] 『to protect』는 (to)부정사로 문장성분은 진주어입니다. 의미상주어는 'trees'입니다.


(5-2) 부정사 [부정사 ]
to 부정사와 동명사는 동사에서 나온 것이므로 동사적 성격이나 기능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주어도 있고 목적어나 보어도 갖습니다. 또한 부사의 수식을 받기도 합니다.

[5-2-1] 의미상 주어 [부정사 ] [부정사 ]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문장의 주어와 같으면 생략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주로 for+목적격 형식으로 나타냅니다. 사람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꼐 사용할 때는 of+목적격을 씁니다. to 부정사가 5형식의 구조이면 to 부정사의 목적어가 의미상 주어가 됩니다.

<본문예제>
[39] Tree leaves are opportunities for hungry insects and caterpillars to eat.
[설명] (to)부정사 『to eat』의 의미상주어는 전치사 for의 목적어인 'hungry insects and caterpillars'입니다.


(5-3) 부정사 [부정사 ]
to 부정사가 문장에서 형용사처럼 사용될 경우를 말합니다. 「~할」, 「~하는」 등의 의미를 갖으며 명사를 후위 수식합니다.

[26] Unlike us, trees don't have blood and bones to protect them from outside attacks, so how exactly does a tree's immune system work?
[설명] 『to protect ~』는 to부정사 형용사적 용법으로 'blood and bones'를 후위 수식합니다.


[05] Over the past 18 months, we've heard a lot about the human immune system - the cells in our bodies that fight diseases like coronavirus.
[설명] 『about the human immune system』은 to부정사 형용사적 용법으로 'a lot'를 후위 수식합니다. '면역 체계에 관하여'라고 부사적으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66] A hypothesis is an idea to explain how or why something happens that hasn't been tested to see if it's correct.
[설명] 『to explain how or why ~』는 to부정사 형용사적 용법으로 idea를 후위 수식합니다.

 

 

 

 


6. 분사
동사의 활용 중의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ing를 붙인 v-ing형을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형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일부 동사의 과거분사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하기도 합니다.

(6-1) 분사 [분사]
일부 불규칙 동사를 제외하고 동사에 -ed를 붙여 만듭니다. 시제로 사용되면 have 동사와 함께 과거 완료형 시제를 만들고, 시제와 관련 없이 사용될 떄는 형용사의 기능을 합니다. 주로 수동과 완료의 의미를 갖습니다.

[6-1-1] 명사의 후위수식[분사] [분사]
명사의 뒤에서 수식하는 구조를 갖습니다. 과거분사 앞에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생략된 모습을 보입니다.

<본문예제>
[33] Unlike animals, they can't run away, and they're at the bottom of the food chain - the plants and animals linked in a chain of eating weaker things and then being eaten by stronger ones.
[설명] 「linked ~」는 과거분사로 'the plants and animals'를 후위수식합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6-2) 분사 [분사]
현재분사란 동사에 ing를 붙여 만듭니다. 따라서 동사의 현재진행형과, 동명사와 똑같은 모먕의 v-ing형입니다. 동명사와 달이 현재분사는 주로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현재분사는 (1)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로서 (2) Be 동사의 보어로 (3) 강조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로 사용됩니다.

[6-2-1] 명사의 후위 수식[분사] [분사]
현재분사는 형용사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명사를 앞에서 또는 뒤에서 수식할 수 있습니다. 명사의 앞에서 수식하는 것을 전위 수식(傳位 修飾), 명사의 뒤에서 수식하는 것을 후위 수식(後位 修飾)이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40] So, trees need immunity because they're under attack, either from disease or from living things wanting to eat them.
[설명] 『wanting ~』은 현재분사 구문으로 'living things'를 후위수식합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45] A small ring, showing that the tree didn't grow much that year, indicates some outside stress.
[설명] 『showing ~』은 현재분사 구문으로 ring을 후위수식합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7. 서법조동사
사실로서가 아니라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목적, 의무, 필요 등 말하는 이의 마음 속의 태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동사를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odal Auxiliary Verbs) 또는 법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would, shall, should, can, could, ought, may, might, must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7-1) 서법조동사 [서법조동사]
could는 능력, 가능성의 있고 없음, 강한 의심이나 놀람, 허가 등을 표현합니다. 허가로 사용할 경우에는 may와 용법이 같습니다.

[7-1-1] 가능[서법조동사] [서법조동사]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거나 일어날 가능성을 언급할 때 사용합니다. 가능성을 표현하는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에는 may, might, could가 있습니다. 이때의 might와 could는 과거형이 아닙니다. 모두 현재와 미래의 가능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might와 could는 may 보다는 발생 가능성이 상당히 낮거나 불투명할 때 사용합니다.

<본문예제>
[15] That could be a kind of memory.
[설명] 서법조동사 could는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7-2) 서법조동사 [서법조동사]
have to는 서법조동사는 아니지만 실제의 용법은 서법조동사와 많이 유사합니다. 그래서 많은 문법책에서 서법조동사의 범주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have to와 have got to는 대부분의 경우 호환하여 사용합니다.

[7-2-1] 강한 추론[서법조동사] [서법조동사]
have (got) to는 확실하거나 개연성이 높은 추론을 할 때 must를 대신하여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9] Dr Luna-Diez has a hypothesis - an idea that explains how or why something happens which has yet to be tested to see if it's correct.
[설명] 'have to'는 서법조동사 입니다. 본문에서는 강한 추론을 나타냅니다.


(7-3) 서법조동사 [서법조동사]
Would는 1)will의 과거형, 2)과거의 추측, 과거의 상상, 3)과거의 의지, 고집, 거절 4)과거의 습관, 5) 소망, 6) 공손한 표현 등에 사용합니다.

[23] Wow, it'd be a job to count the rings on those trees!
[설명] 『it'd be a job ~』에서 서법조동사 would는 '현재의 추측'을 나타냅니다.

 

 

 

 


8. 수동태(受動態)
영어의 태(voice, 態)는 능동과 수동을 나타내는 문장의 형식을 일컷는 말입니다. 능동태(active voice, 能動態)는 타동사+목적어의 형식을 갖고, 수동태는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어로 삼고 be+과거분사의 형식을 취합니다. 능동태의 주어는 by+명사(구)로 대체되거나 경우에 따라 생략됩니다.

(8-1) 수동태(受動態) [수동태(受動態)]
소동태는 be동사 + 과거분사 구문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be 동사 대신 get, become, grow가 쓰이기도 합니다. 또한 have + 물건 + 과거분사의 형태를 갖기도 합니다.

[8-1-1] Get 수동태[수동태(受動態)] [수동태(受動態)]
수동태에는 be 동사가 주로 사용되지만 get를 쓴는 경우도 매우 흔합니다. Get 수동태는 be 수동태보다 동작이 좀더 강조됩니다.

<본문예제>
[64] A food chain describes the ways plants and animals get eaten and eat each other.
[설명] 「get eaten」 get 수동태 구문입니다.


9. 시제
동사의 시제는 현재, 과거, 미래로 구분하는 기본시제 3종류와 세 종류의 완료시제(현재 완료, 과거 완료, 미래 완료) 그리고 6개의 진행시제(현재진행, 과거진행, 미래진행, 현재완료진행, 미래완료진행, 과거완료진행) 등 12시제가 있습니다. 완료시제는 완료형, 진행시제는 진행형이라고 부릅니다.

(9-1) 시제 [시제]
현재완료는 과거의 어느 시기에서부터 시작된 행동이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시제입니다. 보통 `완료`, `경험`, `결과`, `계속` 등 네 가지 의미로 해석합니다. 현재완료는 단순히 과거의 일로 표시하는 과거시제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완료는 ago를 포함하는 부사구나 의문부사 when과는 함께 사용하지 못합니다.

[9-1-1] 계속[시제] [시제]
현재까지 상태나 동작이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주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쓰이며, 흔히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구) 즉, how long, for, since, during 등과 함께 쓰입니다.

<본문예제>
[05] Over the past 18 months, we've heard a lot about the human immune system - the cells in our bodies that fight diseases like coronavirus.
[설명] 「have heard」는 현재완료 시제입니다. 현재까지의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10.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단어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상당어구)를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10-1) 전치사 [전치사]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로 구성되며 주로 부사구와 형용사구 역할을 수행합니다. 영어로 Prepositional Phrase이라 합니다. 전치사 기능을 수행하는 구(Phrase)인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와 구분을 위해 "전치사명사구(전명구)"란 용어를 사용합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전치사구라고 부릅니다.

[10-1-1] 형용사구 후위수식[전치사] [전치사]
형태는 전치사+목적어구의 형태이면서 문장에서 형용사 기능을 하는 구(句)를 말합니다.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본문예제>
[05] Over the past 18 months, we've heard a lot about the human immune system - the cells in our bodies that fight diseases like coronavirus.
[설명] 「in our bodies」는 전치사명사구로 형용사 기능을 합니다. 'cells'를 후위 수식합니다.


(10-2) 전치사 [전치사]
전치사는 기본적으로 어형 변화가 없는 불변사(不變詞, particle), 두개 이상의 불변사로 구성된 이중전치사 또는 구전치사(복합전치사), 동사의 현재분사, 과거분사에서 파생한 파생전치사 둥이 있습니다.

[10-2-1] 분사형 전치사 [전치사] [전치사]
동사의 분사형에서 파생된 전치사. 분사형 전치사라고도 부릅니다. including, concerning, barring, regarding, excepting, notwithstanding 등이 대표적입니다.

<본문예제>
[10] Us, humans, store memories in our brain, but our body also remembers things, including stressful situations from the past, which it stores in our genes.
[설명] 『including stressful situations ~』의 including은 분사에서 파생한 전치사입니다. 파생전치사 또는 분사형 전치사라고 합니다.


[47] Our hypothesis would be tha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at stress - if it was a really long-lasting drought of a few years, then maybe the tree can remember it for a long time because it needs to adapt to that hostile environment.
[설명] 『depending on the level of that stress』의 'depending on '은 분사에서 파생한 전치사입니다. 파생전치사 또는 분사형 전치사라고 합니다.


[36] If you are at the bottom of the food chain, everything wants to eat you, including opportunistic animals.
[설명] 『including opportunistic animals』의 including은 분사에서 파생한 전치사입니다. 파생전치사 또는 분사형 전치사라고 합니다.}

 

 

 

 


11. 절(Clause)
주어 + 동사를 갖추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성분으로 쓰이는 것을 절(Clause)이라고 합니다. 문장이 하나의 주어+동사로 이루어진 경우에 절(Clause)과 문장(Sentence)를 함께 쓰기도 합니다. 절은 형식적인 면을 중심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주절/종속절 등으로 설명하기도 하고, 기능적인 면으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도 합니다.

(11-1) 절(Clause) [절(Clause)]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것에는 that, whether, if 등의 접속사, whatever, whoever 등의 복합관계사 그리고 who, whom, which, why, what 등의 의문사가 있습니다.

[11-1-1] 보어[절(Clause)] [절(Clause)]
명사절이 문장에서 보어 기능을 합니다.

<본문예제>
[50] Her hypothesis is that trees remember stressful outside events, something like a drought - a long period of time with little or no rain.
[설명] 『that trees remember ~』의 접속사 that이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보어입니다.'


[11-1-2] that 접속사 [절(Clause)] [절(Clause)]
접속사 that은 명사절을 이끕니다.

<본문예제>
[51] For a tree which has lived for hundreds of years it might be useful to remember that 1947 was a very dry summer.
[설명] 『that 1947 ~ 』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2.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은 문장, 단어, 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접속사는 기능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중에서 여러 단어가 호응하여 상관적으로 쓰이는 group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문장은 컴마 등 부호가 연결 기능을 하고, 부호나 접사없이 연결하는 동격 구문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등도 문장연결기능을 수행합니다.)

(12-1) 접속사 [접속사 ]
두 개 이상의 단어, 구, 절을 문장에서 나란히 늘어 놓은 것을 병렬이라고 합니다. 이 병렬에는 나름대로의 규칙이 있는데 이를 병치법이라고 합니다.

[12-1-1] 병치법 위배[접속사 ] [접속사 ]
문장 요소의 병렬을 동일한 요소 즉, 단어, 구, 절 등 성격이 같은 것끼리 병렬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여 연결하면 병치법에 위배된다고 합니다.

<본문예제>
[13] I mean, do you think a tree can remember being young or what it was doing last year?
[설명] 접속사 or가 서로 다른 문장 요소 즉, 분사구인 「being young」과 절인 「what it was doing last year」를 연결하고 있어 병치법을 위배하고 있습니다.


(12-2) 접속사 [접속사 ]
접속사 if는 조건문 또는 발생 여부, 진위 여부가 불확실한 일이나 상황을 언급하는 문장 등을 주로 이끕니다. if는 가정법의 가정문을 이끌고, 간접의문문을 이끕니다.

[12-2-1] 명사절[접속사 ] [접속사 ]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본문예제>
[49] Dr Luna-Diez has a hypothesis - an idea that explains how or why something happens which has yet to be tested to see if it's correct.
[설명] 『if it's correct』 절은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2-2-2] if not, if so[접속사 ] [접속사 ]
동일 어구(절 전체)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so 또는 not 만을 남기고 모두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16] In this programme, we'll be asking whether trees can remember - and if so, does it make them stronger and better able to fight disease?
[설명] 「if so」는 if 종속절에서 동일 어구(절 전체)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so만을 남기고 모두 생략한 구문입니다.


(12-3) 접속사 [접속사 ]
that이 접속사로 사용되면 종속 접속사로 종속절을 이끕니다. 명사절을 이끌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됩니다. that은 부사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that이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과거 분사의 뒤에 오면 that절은 should와 함께 사용되어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이 됩니다. 또한 that은 so that ~, not that ~ but that ~ 등의 관용화된 구문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12-3-1] 명사절 [접속사 ] [접속사 ]
완전한 문장 앞에 접속사 that이 오면 명사절로 사용되는 that절이 됩니다. 즉, 접속사 that이 명사절을 이끌어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입니다. 그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는 쓰이지 못합니다.

<본문예제>
[45] A small ring, showing that the tree didn't grow much that year, indicates some outside stress.
[설명] 『that the tree ~』 절은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입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2-3-2] 생략[접속사 ] [접속사 ]
⑴It that 구문에서 진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어절을 이끌 때, ⑶목적어 역할을 하기 위해 명사절을 만들어 주는경우,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등에서 명사절을 이끄는 that 접속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1] The other reason is plants are rooted to the ground - they cannot escape from the stressful conditions in their environment.
[설명] 「reason i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13] I mean, do you think a tree can remember being young or what it was doing last year?
[설명] 「do you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64] A food chain describes the ways plants and animals get eaten and eat each other.
[설명] describes 뒤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3. 형용사
형용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나 특징을 나타내 주는 기능의 품사입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히고, 주어나 목적어의 보어가 되며, very의 수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들 수 있습니다.

(13-1) 형용사 [형용사]
형용사가 명사를 후위 수식하는 경우는, -body, -one, -thing으로 끝나는 명사의 경우,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형용사구가 명사를 숫기할 때, 일부 라틴어 및 프랑스어법의 영향을 받아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 주격관계대명사와 be동사가 생략된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13-1-1] 관계대명사 생략[형용사] [형용사]
주격관계대명사와 be동사가 생략되면 형용사가 명사를 후위수식하는 구조와 동일해 집니다.

<본문예제>
[39] Tree leaves are opportunities for hungry insects and caterpillars to eat.
[설명] 「to eat」가 opportunities를 후위수식합니다. 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14.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로의 기본 기능 외에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주어 it구문(it to, it that구문), 가목적어 it 구문 (it to, it that 구문), 분열문(it be that 강조구문) 등이 있습니다.

(14-1) it [it]
대명사로서의 기능도 없고 동사 앞에는 주어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it. 주어의 it, 환경의 it(situdation it), 가주어 it, 가목적어 it, 주로 숙어(idiom)에 사용되는 과용적 용법의 목적어 it 등의 용법이 이있습니다.

[14-1-1] 상황의 it[it] [it]
'Situation it이라고 하며 '환경의 it'라고도 부릅니다. 막연한 환경, 상황, 마음 속에 있거나 화제에 오른 사람 사물, 일 등을 가르키는 it로 뚜렷한 뜻이 없이 문장에서 주어 또는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 또는 보어로 쓰입니다. 주어로 쓰일 경우 '형식적인 주어(prop it, 주어의 it)'라고도 부릅니다.

<본문예제>
[47] Our hypothesis would be tha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at stress - if it was a really long-lasting drought of a few years, then maybe the tree can remember it for a long time because it needs to adapt to that hostile environment.
[설명] 『it was a really long-lasting』과 같이 날씨를 표현하는 문장에서 주어 it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14-2) it [it]
주어가 긴 경우 주어 자리에 가주어 it 을 놓고 진주어를 문장뒤로 뺍니다. 흔히 [it+be+형용사] 구문이 쓰입니다.

[14-2-1] to 부정사 구문 (=it to 구문)[it] [it]
문장의 주어가 (to)부정사일 경우 대체로 가주어 it를 써서 문장을 구성합니다.

<본문예제>
[32] It's hard for trees to protect themselves.
[설명] 본문은 「it to 가주어」 구문입니다. 진주어는 「to protect ~」 부정사(구)입니다.


[23] Wow, it'd be a job to count the rings on those trees!
[설명] 『it'd be a job to count the ~』는 「it to 가주어」 구문입니다. 진주어는 「to count ~」 부정사(구)입니다.


[51] For a tree which has lived for hundreds of years it might be useful to remember that 1947 was a very dry summer.
[설명] 『it might be ~』는 「it to 가주어」 구문입니다. 진주어는 「to remember that~」 부정사(구)입니다.

 

T2021_12_30_trees_06_항목문법.pdf
0.31MB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