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can artificial intelligence be used to help police solve crime? Neil and Beth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경찰이 범죄를 해결하는 데 인공 지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닐과 베스가 이에 대해 논의하고 새로운 어휘를 알려드립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동명사(4), 관계대명사(4), 의문부사(3), 동사(3), that(3), 문장형식(2), 문장형식: 5형식(2), 법조동사(2), 부정사(2), 분사(2), 접속사(2), 의문대명사(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의문문, 관계부사, 구문(構文) [글짜임], 조동사, 준동사, it, 여러낱말 전치사,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동사: 디렉시칼동사,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문장부호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Can AI solve crime?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바탕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1-1] 목적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므로 타동사의 목적어(object)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0] Solving crimes involves collecting and reviewing lots of evidence, like DNA, fingerprints, or CCTV.
[설명] 『collecting and reviewing ~』은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1-2] 전치사 목적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V-ing 꼴의 동명사는 명사가 되기도 하므로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9] But AI could mean that patterns in finger marks or footwear marks are useful in solving crimes again.
[설명] 『in solving crimes』는 동명사(구)입니다. 전치사 〈in〉의 목적어입니다.
[53]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using AI to solve crimes though.
[설명] 『with using AI ~』는 동명사(구)입니다. 전치사 〈with〉의 목적어입니다.
[1-1-3] 주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의 바탕을 갖고 있으므로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0] Solving crimes involves collecting and reviewing lots of evidence, like DNA, fingerprints, or CCTV.
[설명] 『Solving crimes』는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2.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홀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 다루어집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스스로는 노릇(=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몫을 맡아 합니다.
(2-1) 원형부정사 부정사
동사 뒤에 오는 부정사 가운데에는 to 없이 쓰는 부정사가 있는데 이를 원형부정사(原形不定詞, a bare infinitive)라고 합니다. 사역동사와 지각동사 따위가 원형부정사를 갖는 손꼽히는 동사들입니다.
[2-1-1] help 원형부정사 부정사
help 뒤에는 《목적어+부정사》 글짜임이 올 수 있습니다. 이때 부정사는 to부정사 또는 원형부정사 모두 올 수 있습니다. help 뒤에 목적어 없이 바로 원형부정사가 올 수도 있습니다. 이 때는 원형부정사가 목적어가 됩니다.
<본문예제>
[34] Alastair explains that he's interested in how artificial intelligence could help solve crimes, because he's a police officer with a background in investigations.
[설명] 『help solve ~』는 「help+원형부정사」 글짜임입니다. help는 사역동사로 원형부정사(구) {solve ~}를 목적어로 가져오고 있습니다.
[41] But Professor Ruth Morgan, an expert in crime and forensic science, thinks AI could help speed up police work, as she told BBC Radio 4's The Artificial Human.
[설명] 『help speed up ~』은 「help+원형부정사」 글짜임입니다. help는 사역동사로 원형부정사(구) 'speed up ~'을 목적어로 가져오고 있습니다.
3.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동사는 문장의 뼈대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짜여지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과 같은 5개의 꼴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쓰이거나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3-1) 동사+동명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몇몇 동사는 부정사나 동명사를 목적어 또는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동명사나 부정사 사이에 속내가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몇몇 동사는 뜻이 살짝 달리 나타나기도 합니다.
[3-1-1] 의미가 다름 동사+동명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준동사 목적어 V-ing형 및 to 부정사 모두를 갖는 동사. 몇몇 동사는 뒤에 오는 준동사의 뜻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24] And host Aleks Krotoski wanted to know more…
[설명] 『wanted to know』의 동사 want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want 뒤에 to부정사가 '~하고 싶다, 바라다'라는 뜻입니다. 동명사일 때는 '~할 필요가 있다'라는 뜻입니다.
4. 조동사
조동사(助動詞, Auxiliary verb)는 본(本)동사를 도와 시제(時制, Tence), 서법(법, 敍法, Mood), 태(態, voice) 등과 의문문, 부정문, 강조문 등의 표현을 나타내 줍니다. 조동사에는 be동사, have 동사, do 동사, can(could), shall(should), will(would), may(might), must, ought to, need, date, used to 등이 있습니다.
(4-1) 준조동사 조동사
「조동사+동사원형」의 글짜임에서 동사원형 앞에 오는 동사를 조동사라고 합니다. 이에비해 준조동사는 「동사+to부정사」 꼴의 글짜임을 갖습니다. 즉, 글의 짜임으로 to부정사를 갖는 동사(구)를 준조동사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글짜임의 모든 동사가 준조동사가 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동사가 시제(時制, Tence), 서법(법, 敍法, Mood), 태(態, voice) 따위의 조동사 몫을 해야 준조동사라고 합니다.
[4-1-1] 준조동사 Auxiliary: used, need, dare, have 준조동사 조동사
「준조동사(Semi-modal)」란 《조동사]》가 아닌데 마치 조동사처럼 쓰이는 동사로 dare, need, used to, had better, ought to 따위를 가리켜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조동사란, will, can, may, should, must 따위의 (서)법조동사를 말하는 것으로 《준조동사》라는 말에는 이들이 마치 법조동사와 같은 특징을 보이며 쓰인다는 속내가 들어 있습니다.
<본문예제>
[54] To find these patterns, lots of private information would need to be collected, and police usually have to give clear reasons why they need access to certain information in their investigations.
[설명] 『~ information would need to be ~』의 「need to 」는 준조동사입니다. 동사 'be collected'가 필요하다 라는 뜻을 갖습니다.
5.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영어 동사의 시간 표현은 시제(tense)와 모습(aspect, 相)으로 나타납니다. 시제는 현재, 과거 및 미래의 3가지가 있고 모습(aspect, 相)은 단순-모습(simple aspect), 진행-모습(continuous aspect), 완료-모습(perfect aspect), 완료진행-모습(perfect continuous aspect) 따위의 4가지가 있습니다. 흔히 영어의 12시제는 이 세가지 시제와 4가지 모습을 곱한 것을 일컫습니다.
(5-1) 현재-진행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 진행형은 be동사 + v-ing형으로 표현하며, 1)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속되는 동작, 2)동작의 반복 또는 습관, 3)가까운 미래 등을 나타내야 할 때 사용합니다.
[5-1-1] 가까운 미래 현재-진행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왕래, 발착을 나타내는 동사에 많고, 에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빈번하게 쓰입니다.
<본문예제>
[05] Now today, Neil, we're talking all about solving crime.
[설명] 이 월(=文章)의 『're talking』은 현재진행형으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냅니다.
6. 동사
동사는 문장의 뼈대가 되는 요소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되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 등 5개의 활용형(活用形, conjugation)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또는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어)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이나 행위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6-1) 연결동사 동사
연결동사는 주어를 다시 뜻매김하거나 풀어 말하려고 할 떼 골라 쓰는 동사입니다. 연결 동사는 주어를 주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에 이어주기 때문에 연결동사라고 합니다. 연결동사는 “주어가 무엇을 하려는 지(=3형식 문장)”가 아니라, “주어가 무엇인지(=2형식 문장)를” 말합니다.
[6-1-1] be 동사 유형(상태의 유지) 연결동사 동사
주어(행위자)의 현재의 상태가 지켜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Be 동사가 손꼽히며, look, seem, apear, feel, sound, smell, taste 따위가 연결동사로 쓰여질 때 이 테두리 안으로 들어갑니다.
<본문예제>
[17] Well, you sound very sure, but I will reveal the answer at the end of the programme.
[설명] 『sound very sure ~』의 sound는 be 동사 갈래의 2형식 글짜임을 만드는 연결동사로 '상태의 유지'를 나타냅니다. '~처럼 보이다/들리다'의 뜻을 갖습니다.
[6-1-2] become 유형(상태의 변화) 연결동사 동사
주어(행위자)의 모양이 바뀌는 모습을 보여주는 연결동사입니다. become, grow, turn, get 따위가 여기에 들어맞습니다.
<본문예제>
[43] There's been lots of challenges with those forms of evidence over the last ten years, probably going a little bit out of favour.
[설명] 『going ~ out of favour』의 동사 go가 2형식 글짜임을 만드는 연결동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become 유형의 연결을 합니다.
[47] This kind of evidence went a little bit out of favour over recent years because of the excitement around DNA evidence.
[설명] 『went a little bit out of favour』의 동사 go가 2형식 글짜임을 만드는 연결동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become 유형의 연결을 합니다.
7. 준동사
준동사(準動詞)란 흔히 「동사의 활용」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말 그대로 동사에 준(準)하지만 동사는 아닌 문장요소를 말하며, 영어로는 verbid 또는 verbal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to) 부정사, 동명사, 분사(현재분사, 과거분사) 따위가 여기에 들어갑니다. 준동사는 문장 안에서는 명사(또는 형용사, 부사)로 다루어야 하지만, 동사로서의 바탕은 그대로 갖고 있기 때문에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 또는 수식어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7-1) 동사+준동사 구문 준동사
준동사는 명사나 형용사의 품사를 가지므로, 문장에서 목적어가 되거나 목적어보어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때 동사에 따라 (to)부정사와 동명사를 제한 없이 쓸 수도 있고, 어느 한쪽만 쓸 수도 있습니다. 또 두 개를 다 쓸 수 있는 경우라도 그 뜻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7-1-1] 동사+V-ing 만 동사+준동사 구문 준동사
몇몇 동사는 목적어로 V-ing 꼴의 준동사를 대체로 씁니다.
<본문예제>
[10] But first, I have a question for you, Beth - in the UK, lots of people enjoy watching fictional detectives on TV.
[설명] 『enjoy watching ~』의 동사 enjoy는 주로 V-ing꼴(동명사)을 목적어로 받습니다.
8. 법조동사
《사실》이 아니라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목적, 의무, 필요》 따위로, 말하는-이의 마음 속의 태도를 나타내기 위해 쓰는 조동사를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odal Auxiliary Verbs) 또는 법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would, shall, should, can, could, ought, may, might, must 따위가 여기에 들어갑니다.
(8-1) have (got) to 법조동사
「have to」 Ehsns 「have got to」는 서법조동사는 아니지만 실제의 쓰임은 서법조동사와 거의 비슷합니다. 그래서 많은 문법책에서 서법조동사의 테두리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have to」와 「have got to」는 흔히 맞바꾸어 다루어집니다.
[8-1-1] 강한 의무 have (got) to 법조동사
강한 의무를 나타내며 대체로 have got to 또는 must와 같은 뜻입니다. 다만, 되풀이되는 의무를 나타낼 때는 have got to를 쓰지 않습니다. have (got) to는 규정이나 제3자 명령처럼 밖에서 주어지는 강한 의무를 나타낼 때 많이 씁니다.
<본문예제>
[54] To find these patterns, lots of private information would need to be collected, and police usually have to give clear reasons why they need access to certain information in their investigations.
[설명] 『police usually have to give』의 'have to'는 '의무'를 나타내는 서법조동사입니다.
(8-2) might 법조동사
서법조동사 might는 1)추측, 2)가능성, 3)허가 4)지시, 요청, 제안 5)전형적인 양상등을 나타내거나 정중한 표현을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기원문 등 관용적 표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8-2-1] 가능성, 추측 might 법조동사
현재와 미래의 가능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과거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May보다 발생 가능성이 상당히 낮거나 불분명한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조건에 따른 가능성을 나타넬 수 있습니다. 가능성을 표현할 때 might와 could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본문예제>
[40] When you have a lot of information to review, it can be difficult to know what's important and find patterns which might be relevant to the crime.
[설명] 『which might be ~』의 서법조동사 might는 '가능성 또는 추측'을 나타냅니다.
9.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제멋대로 바뀌기도 합니다.
(9-1)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란 동사에 ing를 붙여 만듭니다. 따라서 동사의 현재진행형과, 동명사와 똑같은 v-ing 꼴입니다. 동명사와 달리 현재분사는 거의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현재분사는 ⑴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로서 ⑵ Be 동사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⑶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입니다.
[9-1-1]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는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따라서 명사를 앞 또는 뒤에서 꾸밀 수 있습니다. 명사의 앞에서 꾸며주는 것을 앞-꾸밈[傳位修飾], 명사의 뒤에서 꾸며주는 것을 뒷·꾸밈[後位修飾]이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11] These programmes are called murder mysteries and tell the story of a detective solving a crime.
[설명] 『solving a ~』는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a detective'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9-1-2] 명사의 앞·꾸밈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는 형용사와 같이 명사를 앞에서 꾸며줄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7] So, my name's Alastair and I'm a serving police officer.
[설명] serving은 현재분사로 'police officer'를 전위 수식합니다.
10. 동사: 디렉시칼동사
make, have, take, give, get, do 따위의 동사가 동작을 품은 명사와 맞추어 새로운 (술어)동사구를 만듭니다. 짜맞추는 꼴은 《동사+관사(또는 소유격 인칭대명사)+명사》입니다. 이 때 앞의 동사는 디렉시칼 동사(delexical verb)라고 하고, 뒤의 명사는 그냥 쉽게 "동작명사"라고 합니다.
(10-1) 디렉시칼 동사 동사: 디렉시칼동사
make, have, take, give, get, do 따위의 동사가 움직임을 품은 명사와 묶여 새로운 동사를 만듭니다. 묶임 꼴은 《동사+관사(또는 소유격 인칭대명사)+명사》입니다. 이 때 앞의 동사는 디렉시칼 동사(delexical verb)라고 하고, 뒤의 명사는 그냥 쉽게 "동작명사"라고 합니다.
[10-1-1] take 디렉시칼 동사 동사: 디렉시칼동사
take 동사는 동작의 속내를 품은 명사와 묶여 새로운 동사말구를 만듭니다. 묶음 꼴은 「동사+관사(또는 소유격 인칭대명사)+명사」입니다. take를 디렉시칼 동사(delexical verb)라고 하고, 뒤의 명사는 쉽게 "동작명사"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44] And yet what we're beginning to see now with AI is that you can take a photo of a mark with your phone, compare that mark to the database and get real-time insight.
[설명] 『you can take a photo of a mark ~』의 「take a photo」는 take 디렉시컬 동사 글짜임입니다. '사진을 찍다'의 뜻을 갖습니다.
11. 구문(構文) [글짜임]
구문(構文, 글짜임)은 영어로는 Sentence Structure(文章構造, 문장구조) 즉, 문장을 이루는 틀, 얼개 또는 구조를 말합니다. 두 낱말 이상이 함께 쓰여, 스스로의 뜻을 갖는 구 또는종속절로 이루어집니다. (구문은 우리말로는 글짜임이라고 합니다. 구문이 句文의 뜻으로도 쓰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글짜임"이라는 말을 씁니다.)
(11-1) it 구문 구문(構文) [글짜임]
영어에는 it로 시작하는 관용화된 구문이 많이 있습니다.
[11-1-1] it is unlikely that ~ 글짜임 it 구문 구문(構文) [글짜임]
that절 이하가 가능성이 없다.(적다) 라는 뜻. 이때 that은 접속사이며, 간추릴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55] It's unlikely an AI-powered robot would ever replace a detective anytime soon!
[설명] 이월(=文章)은 『it is unlikely that ~』 글짜임에서 that이 간추려진 모습니다. '~할 가능성이 없다.(적다)' 라는 뜻입니다.
12. 여러낱말 전치사
두 낱말 또는 그보다 많은 낱말들로 짜여지고 품사가 전치사인 구. 크게 보아 두 가지가 있는 데 《명사/형용사/부사/분사+전치사》의 꼴과 《전치사+(관사)명사+전치사》 꼴이 있습니다. 앞을 구전치사라고 하고 뒤를 복합전치사라고 부릅니다.
(12-1) 구 전치사 [낱말+전치사 글짜임] 여러낱말 전치사
부사, 형용사, 분사, 명사 따위의 낱말이 전치사와 결합하여 전치사로 쓰이는 두-낱말로 된 전치사입니다.
[12-1-1] to 구 전치사 [낱말+전치사 글짜임] 여러낱말 전치사
명사, 형용사 또는 부사 따위의 낱말이 전치사 to와 결합하여 전치사로 쓰이는 두·낱말 전치사입니다.
<본문예제>
[40] When you have a lot of information to review, it can be difficult to know what's important and find patterns which might be relevant to the crime.
[설명] 『be relevant to the crime』의 'relevant to'는 구전치사 또는 전치사-구입니다.
13. 문장형식: 5형식
5형식이란 《주어+동사+목적어+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뼈대를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손꼽는 5형식 동사에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따위가 있습니다.
(13-1)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글월(文章)의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명사 및 형용사 낱말 또는 같은 쓸모의 말이 옵니다.
[13-1-1] 원형 부정사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문장의 목적어 보어로 to 부정사가 올 수 있습니다. 이 때 동사가 사역동사이면 원형 부정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22] So, can AI help police speed up the work and even solve crimes?
[설명] 『help police speed up ~』은 help 5형식 글짜임으로 help가 사역동사라서 원형 부정사 'speed up'이 목적격 보어로 오고 있습니다.
[09] Today, we'll be talking about how artificial intelligence might help detectives and the police investigate crimes.
[설명] 『help detectives and the police investigate ~』는 help 5형식 글짜임으로 help가 사역동사라서 원형 부정사 'investigate ~'가 목적격 보어로 오고 있습니다.
14. 문장부호
문장의 뜻을 돕거나 문장을 나누어 읽고 알아보기 쉽게 하려고 쓰는 여러 가지 부호를 맣합니다. 영어의 문장 부호에는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콜론(:), 세미콜론(;), 쉼표(,), 대시(-), 인용부호(', "") 따위가 있습니다.
(14-1) 인용 부호 문장부호
인용부호에는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가 있습니다. 인용부호는 직접화법에 주로 쓰이고, 어구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합니다.
[14-1-1] 동격의 인용문 부호 생략 인용 부호 문장부호
동격을 나태내는 인용문에서 인용부호를 생략하고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31] This means explain his perspective or point of view.
[설명] 『explain his perspective or point of view』은 앞의 주제를 설명하는 인용문에서 인용부호가 간추려진 모습입니다.
15. 문장형식
영어의 문장은 동사의 종류에 따라 5형식으로 나눕니다 1형식(주어+동사), 2형식(주어+동사+보충·어[補語, complement]), 3형식(주어+동사+목적어), 4형식(주어+동사+목적어1+목적어⑵, 5형식(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충·어[補語, complement]) 따위입니다. 문장의 형식 나눔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용 나눔이며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15-1) 3형식 문장형식
주어 + 동사 + 목적어로 짜여진 문장을 말합니다.
[15-1-1] (여격) ~를 …에게(to) 3형식 문장형식
[동사+목적어+to+간접목적어] 「동사+목적어+to+간접목적어」 구문으로 4형식의 간접목적어를 to의 목적어로 구현하는 구문입니다. 그러나 explain 등과 같은 일부 동사는 4형식을 지원하지 않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44] And yet what we're beginning to see now with AI is that you can take a photo of a mark with your phone, compare that mark to the database and get real-time insight.
[설명] 『compare that mark to the database ~』는 「compare A to B」 구문으로 'A를 B에게 ~하다'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15-1-2] 주어+동사+whether 목적절 3형식 문장형식
whether 명사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본문예제>
[33] And we're asking whether they understand our opinion or perspective.
[설명] 주어가 we, 동사가 'are asking', whether 명사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16.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 쓰임·법에 여러가지 다른 문법적 쓰임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손꼽히는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짜주어 it(it to, it that글짜임), 가짜목적어 it(it to, it that 글짜임), 분열문(it be that 강조 글짜임) 따위가 있습니다.
(16-1) 가짜-주어 it it
주어가 길 때 주어 자리에 형식적인 주어 it를 놓고 내용상 주어를 문장 뒤로 뺍니다. 흔히 [it+be+형용사] 글짜임으로 쓰입니다.
[16-1-1] it to 구문 (to 부정사 구문) 가짜-주어 it it
문장의 주어가 (to)부정사일 경우 대체로 가짜주어 it를 써서 문장을 꾸립니다.
<본문예제>
[40] When you have a lot of information to review, it can be difficult to know what's important and find patterns which might be relevant to the crime.
[설명] 『it can be difficult to know ~』는 「it to 진(眞)·주어」 글짜임입니다. it는 가짜(假)·주어, 진(眞)·주어는 「to ~」 부정사(구)입니다.
17.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17-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17-1-1]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06] Do you think you'd be a good detective?
[설명]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08] I think my brain's not very good with details!
[설명] 'I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8.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18-1)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가 be동사와 함께 쓰이거나,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 있는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려 뺼 수 있습니다.
[18-1-1] 목적격 which/that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빼고 써도 됩니다. 명사 뒤에 접속사 없이 《주어 + 동사》가 왔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빠져 있는 판이 많습니다.
<본문예제>
[23] That's the question listener Alastair had for BBC Radio 4 programme The Artificial Human.
[설명] 선행(명)사 'the question'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18-2) what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는 관계대명사로 the thing(s) which의 뜻을 갖습니다. 또한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따위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기 때문에 what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입니다.
[18-2-1] 목적격 w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은 주격과 목적격에 글자가 바뀌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이 관계사절의 목적어일 때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됩니다.
<본문예제>
[44] And yet what we're beginning to see now with AI is that you can take a photo of a mark with your phone, compare that mark to the database and get real-time insight.
[설명] 『what we're beginning to ~』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18-3)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18-3-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0] When you have a lot of information to review, it can be difficult to know what's important and find patterns which might be relevant to the crime.
[설명] 『which might be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pattern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 쓰임법입니다.
(18-4)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걸려있는 명사(구)로 두 개의 월(=文章)을 이어준 월입니다. 이 때 명사(구)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선행명사라고 하고 이를 받아 월을 이어주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연결 쓰임법에는 한정사 종속절을 만드는 한정용법, 명사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 쓰임법, 등위절을 만드는 계속용법, 삽입절을 만드는 비제한용법, 앞의 문장의 일부를 받는 접속 대명사적인 쓰임법 따위가 있습니다.
[18-4-1] 계속용법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선행명사와 관계대명사(which 등) 사이에 comma(,)가 있으면, 관계대명사의 계속용법이라 합니다. 이 때의 관계대명사는 단순히 「접속사+대명사」와 같습니다. 「그런데 그것은~」(and that ~) 정도의 뜻으로 접속사를 하나 덜 쓴 정도의 기능만을 합니다. 현대 영어는 앞에 콤마가 없어도 계속용법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맥을 살펴 뜻을 파악해야 합니다.
<본문예제>
[52] Yes, AI can compare lots of information very quickly, which makes finding patterns in evidence much easier and more reliable.
[설명] 『which makes finding ~』의 which는 계속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and that'의 의미입니다.
19.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한꺼번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디[節, clause](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19-1) 종류 관계부사
관계부사에는 where, when, how(the way), why 따위가 있습니다.
[19-1-1] that 종류 관계부사
that은 모든 관계부사 대신에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when을 대신하여 사용됩니다.
<본문예제>
[51] The adjective real-time means the information is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at it's happening.
[설명] 『that it's happening』의 that은 관계부사입니다. 시간의 관계부사 when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선행사는 'the same time'입니다.
20.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는 의문문을 만들 때 씁니다. who(whose, whom), what, which 등이 있습니다. 대명사의 일종이므로 격을 갖고 있으며, 격에 의매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및 전치사의 목적어로 기능합니다.
(20-1) what 의문대명사
'무엇' 또는 '어떤~', '무슨~'의 뜻을 갖습니다. 사물에 대한 물음이나 사람의 이름, 직업 따위를 물어볼 때 씁니다. 한편, 의문사는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이끌 때는 접속사의 쓸모를 갖습니다. what 의문사절은 명사절로 문장에서는 주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목적어의 몫을 합니다.
[20-1-1] 주격: 목적어 what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 what은 주격과 목적격의 구분이 없습니다. 따라서 의문사가 속한 문장에서의 성분이 주어이면 주격으로 간주합니다. 의문대명사 what이 이끄는 절이 종속절일 판(경우境遇) 해당 절은 명사절입니다. 따라서 what 절은 해당 문장에서 주어의 문장성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0] When you have a lot of information to review, it can be difficult to know what's important and find patterns which might be relevant to the crime.
[설명] 『what's important』에서 의문사 what은 주격이며, what 명사절은 목적어입니다.
(20-2) who 의문대명사
'누구?', '누가?'의 뜻. 사람의 이름이나 관계를 물어보는 직접의문을 만듭니다. who가 간접의문문을 만들면 그 절은 명사절로 문장 성분은 주어, 목적어, 보어 및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who는 주격으로 의문사절 내의 문장에서 주어나 보어로 사용합니다. 목적격은 whom,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종동 who로 대체되기도 합니다.
[20-2-1] 목적격 who who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 who의 목적격은 whom입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whom 대신 who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12] In 2020, a magazine called the Radio Times asked readers who their favourite TV detective was.
[설명] 『who their favourite TV ~』의 who는 목적격 의문대명사입니다. whom 대신 who를 쓰고 있습니다.
21.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21-1) how 접속사
how가 접속사로 사용되면 종속절을 이끕니다. 접속사가 이끄는 종속절은 주로 부사절이지만 명사절 또는 형용사절일 경우도 있습니다.
[21-1-1] 명사절 (전치사의 목적어) how 접속사
how 명사절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09] Today, we'll be talking about how artificial intelligence might help detectives and the police investigate crimes.
[설명] 『how artificial intelligence might help ~』는 how 명사절로 문장성분은 전치사 〈about〉의 목적어입니다.
(21-2) because 접속사
because는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절을 이끄는 종속 접속사입니다.
[21-2-1] 명사절 because 접속사
because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노릇을 하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The reason {why ~} is because ~의 글짜임 손꼽히는 보기입니다.
<본문예제>
[50] This is because AI can be used to compare a picture of a mark with a database of pictures from other crimes and get real-time insight.
[설명] because절이 명사절로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문장입니다. 주어는 This, 동사는 is입니다.
22. 의문부사
의문부사는 의문문을 만드는데,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을 만듭니다.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따위가 됩니다.
(22-1) where 의문부사
의문부사 where는 '어디인가?'의 뜻을 갖는 의문문 즉,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을 만듭니다.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이 됩니다.
[22-1-1] where (someone) is coming from where 의문부사
누군가의 의견 또는 관점(someone's opinion or perspective)이라는 뜻의 관용 글짜임
<본문예제>
[32] In informal English, we'll often ask someone, "Do you get where I'm coming from?"
[설명] 『where I'm coming from』은 '누군가의 의견 또는 관점(someone's opinion or perspective)'이라는 뜻의 관용 글짜임입니다'
[26] Tell us a little bit more about yourself and where you're coming from?
[설명] 『where you're coming from』은 '누군가의 의견 또는 관점(someone's opinion or perspective)'이라는 뜻의 관용 글짜임입니다'
[30] Alex asks Alastair to explain where he's coming from.
[설명] 『where he's coming from』은 '누군가의 의견 또는 관점(someone's opinion or perspective)'이라는 뜻의 관용 글짜임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153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wordstudy.tistory.com/1101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3154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155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https://softca.tistory.com/3156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157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입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315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