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6), that(5), 분사(4), 명사(3), 접속사(2), 문장형식: 4형식(2), 마디[節, clause](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문장형식: 5형식, 부정 구문(否定構文), 문장형식, 낱말·구·마디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본문] [08] Do you think it could be the best?
Do you think {that} it could be the best?
[설명]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본문] [09] I think that it's quite good, there's probably a couple of things that I personally would change about it, but I would say it's quite good, but maybe not the best in the world.
I think that it's quite good, there's probably a couple of things that I personally would change about it, but I would say {that} it's quite good, but maybe not the best in the world.
[설명] ⑴ 이 월은 주어가 I, (술어)동사가 think, that 명사절인 「that it's ~」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⑵ 『that I personally』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목적격이고, 선행(명)사는 'a couple of things'입니다. 한정용법입니다.
⑶ 'I would say'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참조 링크]☞ 명사절 that 2 (보어로 쓰이는 that절)
[본문] [11] The rankings are based on tests carried out by the OECD, that's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every three years.
[설명] ⑴ 『carried out ~』는 과거분사(구)로 tests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빠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⑵ 『every three years』는 부사구입니다. 명사(구)가 부사(구)로 쓰이는 명사의 부사적 쓰임새입니다.
[본문] [14] Well, here is former BBC education correspondent Sean Coughlan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설명] ⑴ 「former BBC education correspondent」와 「Sean Coughlan」은 동격입니다.
⑵ 『talking to BBC ~』는 '~하면서'의 뜻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입니다. 주절과 같은 때의 상황을 나타내 줍니다. 거의 as나 while 절이 분사구문이 된 부사구입니다.
[참조 링크]☞ 부대(附帶)상황 학말영식 사용법
[참조 링크]☞ 분사구문 부대사황
[참조 링크]☞ 분사구문의 개념과 용법 (천재학습백과 미리보는 중학 영어 문법)
[본문] [15] When they were introduced first of all, that was a very contentious idea, because people said 'how can you possibly compare big countries… how can you compare America to Luxembourg or to, you know, or to parts of China, or whatever?'
[설명] 『compare America to Luxembourg』는 「compare A to B」 구문으로 'A를 B에게'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본문] [17] If something is contentious, then it is something that people might argue about - it's controversial.
[설명] 『that people might argue about』의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은 글 말미에 떨어져 있는 전치사 〈about〉의 목적어입니다.
[본문] [18] So, at first, Pisa tests were contentious because not everyone believed it was fair to compare very different countries.
So, at first, Pisa tests were contentious because not everyone believed {that} it was fair to compare very different countries.
[설명] ⑴ 'everyone believed'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⑵ 『not everyone』은 부분부정 구문입니다. every-가 포함된 낱말이 부정문과 함께 쓰이면 부분적으로 아니다 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본문] [26] Well, we will find out if that's correct at the end of the programme.
[설명]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본문] [27] A common pattern in the Pisa rankings is that the most successful countries tend to be smaller.
[설명] 이 월은 주어가 'A common pattern ~', 동사가 is,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글짜임입니다.
[본문] [28]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Sean Coughlan tells us that many large countries from Western Europe don't score that highly in the rankings.
[설명] ⑴ 『Talking to BBC ~』는 '~하면서'의 뜻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입니다. 주절과 같은 때의 상황을 나타내 줍니다. 거의 as나 while 절이 분사구문이 된 부사구입니다.
⑵ 주절은 tell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us, 직접목적어는 'that 명사절'입니다.
⑶ 『that highly 』의 that은 부사입니다.
[참조 링크]☞ 이런 표현 어떻게 - It takes kevin a long time to come ~
[참조 링크]☞ 부대(附帶)상황 학말영식 사용법
[참조 링크]☞ 분사구문 부대사황
[참조 링크]☞ 분사구문의 개념과 용법 (천재학습백과 미리보는 중학 영어 문법)
[본문] [29] They're being outpaced and outperformed by these fast, upcoming countries - you know, Singapore, or Estonia, or Taiwan, or those sort of places which we don't historically think of as being economic rivals, but I suppose the argument for Pisa tests is, if you want to have a knowledge economy, an economy based on skills, this is how you measure it.
They're being outpaced and outperformed by these fast, upcoming countries - you know, Singapore, or Estonia, or Taiwan, or those sort of places which we don't historically think of as being economic rivals, but I suppose {that} the argument for Pisa tests is, if you want to have a knowledge economy, an economy based on skills, this is how you measure it.
[설명] ⑴ 『which we don't historically ~』의 which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Singapore ~ sort of places'입니다.
⑵ 'but I suppose'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본문] [36] This is an economy based on service industries that require workers to be highly educated, such as IT, finance or advanced engineering.
[설명] ⑴ 『based on ~』은 과거분사(구)로 'an economy'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⑵ 『that require workers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service industries'입니다.
[본문] [37] So, what makes countries perform better in these tests?
[설명] 이 월은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countries,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원형부정사구인 'perform ~'입니다.
[본문] [39] Sean Coughlan tells us that those countries that prioritise getting everyone to a certain level do well.
Sean Coughlan tells us / that those countries / that prioritise getting everyone to a certain level do well.
[설명] ⑴ 이 월(=文章)은 tell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us, 직접목적어는 'that those countries ~' 명사절입니다.
⑵ 『that prioritise getting everyone to a certain level』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those countries'입니다.
[참조 링크]☞ 이런 표현 어떻게 - It takes kevin a long time to come ~
[본문] [41] Countries which make sure that all their pupils get through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o a certain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do well.
[설명] ⑴ 『which make sure』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Countrie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 쓰임법입니다.
⑵ 「that all their pupils ~ their background」 절은 that 접속사가 이끄는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입니다.
[참조 링크]☞ [독해 필수 - THAT] 부사절 접속사 THAT (That 완전정복 3탄)
[본문] [43] This one of the main things why Estonia is successful.
[설명] 「one of the main things」와 「 why Estonia is successful」 명사절이 동격입니다.
★ this 뒤에 동사 is가 있다고 보입니다.
[본문] [44] Sean said the most successful systems educate everyone to a particular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Sean said {that} the most successful systems educate everyone to a particular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설명] 'Sean said '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062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wordstudy.tistory.com/628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3063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064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이 글입니다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3062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PDF로 된 대본(Script)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영어 문장 공부] 자료를 처음 보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공부법」을 먼저 보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영어문장공부] 학습법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