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영국 BBC 6분 영어 강좌 독해공부] Which country has the best schools?

728x90


어떻게 당신은 교육 제도를 비교합니까? 베스와 필이 이것을 상의합니다 그리고 당신에게 몇몇의 새로운 어휘를 가르칩니다.

How do you compare education systems? Beth and Phil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이 자료는 BBC Learning English 코너의 6 Minute English가 매주 재공하는 스크립트를 직역한 것입니다. 이번 주 스크립트의 주제는 'Which country has the best schools?' 입니다.

해석은 철저하게 직역하였습니다. 관계사절 등의 절이나 긴 부정사, 동명사구, 삽입구 등은 이해를 위해 []를 사용해 묶었습니다. 이 글의 목적은 번역이 아니라 원문을 영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본문] [01] Hello.
[직역] 안녕(하세요)

[본문] [02] This is 6 Minute English from BBC Learning English.
[직역] 여기는 BBC 학습 영어의 6분 영어입니다.

[본문] [03] I'm Phil.
[직역] 나는 필입니다

[본문] [04] And I'm Beth.
[직역] 그리고 나는 베쓰입니다

[본문] [05] So, Beth, we're talking about the best education systems in the world today.
[직역] 그래서 베스 우리는 오늘 세계적으로 최고의 교육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본문] [06] You went to school here in Britain.
[직역] 당신은 여기 영국애서 학교에 다녔습니다.

[본문] [07] What do you think of the British education system?
[직역] 영국의 교육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본문] [08] Do you think it could be the best?
Do you think {that} it could be the best?
[직역] 당신은 그것이 최고일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본문] [09] I think that it's quite good, there's probably a couple of things that I personally would change about it, but I would say it's quite good, but maybe not the best in the world.
I think that it's quite good, there's probably a couple of things that I personally would change about it, but I would say {that} it's quite good, but maybe not the best in the world.
[직역] 나는 [그것은 아주 좋다] 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개인적으로 [아마도 그것을 바꿀 수도 있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것은 아주 좋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쩌면 이 세계에서. 가장 좋은 것은 아닐 것입니다.


 

삼성전자 갤럭시 Z 플립 6 자급제, 실버 쉐도우, 512GB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본문] [10] Well, in this programme, we're going to be talking about the Pisa rankings.
[직역] 그래요 이 프로그램에서 우리는 Pisa 랭킹에 대해 이야기할 것입니다

[본문] [11] The rankings are based on tests carried out by the OECD, that's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every three years.
[직역] 순위는 [국제 조직인] OECD에 의해 매 3년 마다 수행된 시험에 근거합니다.

[본문] [12] The tests attempt to show which countries are the most effective at teaching maths, science and reading.
[직역] 테스트는 [어느 나라가 수학과 과학 그리고 독서를 가르치는 것에 가장 효과적인지를] 보여 주는 지를 테스트해 봅니다.

[본문] [13] But is that really possible to measure?
[직역] 그러나 그것이 진짜로 측정하기가 가능합니까?

[본문] [14] Well, here is former BBC education correspondent Sean Coughlan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직역] 그래요, 여기에 〈비비씨 월드 서비스 프로그램 Global Story에 말을 걸고 있는〉 전직 BBC 교육 기자였던 Sean Coughlan가 있습니다.

[본문] [15] When they were introduced first of all, that was a very contentious idea, because people said 'how can you possibly compare big countries… how can you compare America to Luxembourg or to, you know, or to parts of China, or whatever?'
[직역] [그것들이 다른 무엇보다 먼저 소개되었을 때에,] 그것은 아주 논쟁을 일으킬 생각였습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어떻게 당신이 큰 나라들을 가능한 대로 비교할지,] [당신이 어떻게 미국과 Luxembourg 비교할지,] 또는, 당신이 알다시피, 또는 중국의 지역들 또는 '그게 뭐든'이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본문] [16] Sean said that the tests were contentious.
[직역] Sean은 [테스트는 논쟁을 초래했다] 라는 것을 말했습니다.

[본문] [17] If something is contentious, then it is something that people might argue about - it's controversial.
[직역] 만약 무언가가 'contentious' 하면, 그러면 그것은 사람들이 (서로) 주장할 수도 있는 무언가입니다. (즉,) 그것은 'controversial' 합니다.

[본문] [18] So, at first, Pisa tests were contentious because not everyone believed it was fair to compare very different countries.
So, at first, Pisa tests were contentious because not everyone believed {that} it was fair to compare very different countries.
[직역] 그래서 처음에는 Pisa 테스트는 논쟁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이 [매우 다른 나라들을 비교하는 것이 공정하다] (라고) 믿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본문] [19] Phil, I've got a question for you about them.
[직역] 필 나는 당신에게 그것들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본문] [20] So, in 2022, Singapore was top of the reading rankings.
[직역] 그래서 2022년에 Singapore는 독서 순위에서 꼭대기였습니다.

[본문] [21] But which of these countries came second?
[직역] 그러나 이들 나라 중에 어느 것이 두 번 째였습니까?

[본문] [22] Was it:
[직역] 이것이었습니다.

[본문] [23] a) The USA b) Ireland or, c) The UK?
[직역] ⒜ USA ⒝ 아일랜드 아니면, ⒞ 영국?



[본문] [24] I think it might be b) Ireland.
[직역] 나는 [그것은 아일랜드일 수 있다] (라고) 생각합니다.

[본문] [25] OK.
[직역] 오케이

[본문] [26] Well, we will find out if that's correct at the end of the programme.
[직역] 그래요 우리는 [그것이 맞는지를] 프로그램의 끝 무렵에 알아낼 것입니다.

[본문] [27] A common pattern in the Pisa rankings is that the most successful countries tend to be smaller.
[직역] 피사 랭킹에서 흔한 패턴은 [가정 성공적인 나라들이 점점 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라는 것입니다

[본문] [28]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Sean Coughlan tells us that many large countries from Western Europe don't score that highly in the rankings.
[직역] 비비씨 월드 서비스 프로그램 'The Global Story'에 말을 걸면서, Sean Coughlan은 우리에게 [서 유럽의 많은 큰 나라들은 순위에서 그렇게 높은 점수를 얻지 못한다] 라는 것을 알립니다.

[본문] [29] They're being outpaced and outperformed by these fast, upcoming countries - you know, Singapore, or Estonia, or Taiwan, or those sort of places which we don't historically think of as being economic rivals, but I suppose the argument for Pisa tests is, if you want to have a knowledge economy, an economy based on skills, this is how you measure it.
They're being outpaced and outperformed by these fast, upcoming countries - you know, Singapore, or Estonia, or Taiwan, or those sort of places which we don't historically think of as being economic rivals, but I suppose {that} the argument for Pisa tests is, if you want to have a knowledge economy, an economy based on skills, this is how you measure it.
[직역] 그것들은 〈그러니까 Singapore나 Estonia 또는 Taiwan 또는 [우리가 역사적으로 경제적인 경쟁자로 생각한 적이 없었던 저런 정도의] 지역들과 같은〉 이들 빠르고 다가오고 있는 나라들에 의해 앞지르고 더 나은 결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Pisa 테스트에 관한 논쟁은 [만약 당신이 기술에 기반한 경제안] 지식기반의 나라를 원하면, 이것은 당신이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본문] [30] We heard that many large European countries are being outpaced by smaller nations.
[직역] 우리는 [많은 큰 유럽 나라들이 보다 작은 나라들에 의해 앞질러지고 있다] 라는 것을 듣습니다

[본문] [31] If someone outpaces you, they are going faster than you - at a higher pace.
[직역] 만약 누군가 당신을 'outpace' 하면, 그들은 당신보다 더 빠르게 즉, 좀더 빠른 속도로 갈 것입니다.

[본문] [32] We use the prefix 'out-' to say that someone or something is better at doing something.
[직역] 우리는 [무언가를 하는 것이 더 나은 누군가나 무언가 라는 것]을 말하는 접두사 'out-'을 사용합니다.

[본문] [33] We also heard that smaller nations are 'outperforming' larger ones - they are performing better.
[직역] 우리는 또한 [보다 (규모가) 작은 국가들이 보다 더 큰 나라들이 더 나은 결과를 내고 있다] 라는 것을 들었습니다. (즉,) 그들은 더 잘 해 보이고 있습니다.

[본문] [34] Singapore, Estonia and Taiwan are described as economic rivals to large European nations - that means that they are competing with them, economically.
[직역] Singapore와 Estonia 그리고 Taiwan은 큰 유럽 국가들의 경제적인 경쟁 국가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그들이 그들과 경제적으로 경쟁하다] 라는 것을 의미입니다.

[본문] [35] We also heard about a knowledge economy.
[직역] 우리는 또한 지식 경제에 관해서 들었습니다.

[본문] [36] This is an economy based on service industries that require workers to be highly educated, such as IT, finance or advanced engineering.
[직역] 이것은 [〈예를 들어 아이티 재무 또는 고급 엔지니어링과 같이 높은 수준으로 교육된〉 노동자들이 필요한] 서비스 산업에 기반을 둔 경제권입니다

[본문] [37] So, what makes countries perform better in these tests?
[직역] 그래서 무엇이 나라들이 이러한 테스트에서 더 잘 해 보이게 만듭니까?



[본문] [38] Let's hear again from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직역] 비비씨 월드 서비스 프로그램 Global Story에서 한 번 더 들어 봅시다.

[본문] [39] Sean Coughlan tells us that those countries that prioritise getting everyone to a certain level do well.
Sean Coughlan tells us / that those countries / that prioritise getting everyone to a certain level do well.
[직역] Sean Coughlan는 [[모든 사람이 어떤 수준까지 이르도록 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는] 그러한 나라들이 잘 한다] 라는 것을 우리에게 알립니다.

[본문] [40] We also hear from Rando Kuustik, an Estonian school principal.
[직역] 우리는 또한 에스토니아 학교 학장인 Rando Kuustik에게서 듣습니다.

[본문] [41] Countries which make sure that all their pupils get through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o a certain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do well.
[직역] [[모든 그들의 학생들이 어떤 교육의 수준을 어떤 기준까지 그들의 배경에 상관없이 도달하도록] 확실히 하게 하는] 나라들이 잘 합니다.

[본문] [42] If you are teaching them by different level or abilities, then you are segregating them and we don't want to segregate any people in the world, why we are doing that in the schools?
[직역] 만약 당신이 그들을 다른 수준이나 능력으로 가르친다면, 그러면 당신은 그들을 분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세상에서 어느 사람들이라도 분리하고 싶지 않습니다. 왜 우리가 학교에서 그런 것을 하고 있습니까?

[본문] [43] This one of the main things why Estonia is successful.
[직역] 이것이 [Estonia가 성공적인 이유인] 주된 것 중의 하나입니다.

[본문] [44] Sean said the most successful systems educate everyone to a particular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Sean said {that} the most successful systems educate everyone to a particular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직역] Sean은 [가장 성공적인 시스템은 그들의 배경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을 특정한 수준까지 교육한다] (라고) 말했습니다.

[본문] [45] If one thing happens regardless of something else, it means that the something else is not important, or not a problem.
[직역] 만약 어느 하나가 다른 무언가의 'regardless of'로 일어난다면, 그것은 [다른 무언가가 중요하지 않거나 문제가 아니다] 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문] [46] Rando Kuustik said that Estonian schools do not want to segregate students.
[직역] Rando Kuustik는 [Estonian 학교는 학생들을 차별하고 싶지 않다] 라는 것을 말합니다.

[본문] [47] Segregate means to separate and keep apart.
[직역] 'Segregate'는 분리하고 떨어져 계속 있게 합니다 라는 의미입니다.

[본문] [48] So, we've just heard about Estonia, but what about your question, Beth?
[직역] 그래서 우리는 방금 Estonia에 관해서 들은 게 있습니다. 그러나 베스 당신의 질문은 어떻습니까?

[본문] [49] What about those countries?
[직역] 그들 국가는 어떻습니까?

[본문] [50] I asked you which out of the USA, Ireland, and the UK came second for reading in the 2022 Pisa rankings.
[직역] 나는 당신에게 [미국과 아일랜드 그리고 영국 중의 어디가 2022년 PISA 랭킹에서 독서 부분에 두 번 째가 되었는지를] 물었습니다.

[본문] [51] You said Ireland, and that was the correct answer.
[직역] 당신은 아일랜드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맞는 대답입니다



[본문] [52] Well done!
[직역] 잘 했습니다

[본문] [53] OK, let's recap the vocabulary we've learned in this programme about education rankings, starting with contentious - argued about or controversial.
[직역] 오케이 논쟁을 하거나 논란이 많다는 (뜻의) 'contentious'로 시작하면서 교육 순위에 관한 이 프로그램에서 우리가 배워 온 낱말들을 살펴봅시다.

[본문] [54] If you're outpaced by someone, they're going faster than you are.
[직역] 만약 당신이 누군가에 의해 'outpace' 되면 그들이 당신 보다 빠르게 가고 있습니다.

[본문] [55] Rivals are competitors.
[직역] 'Rival'은 경쟁자입니다.

[본문] [56] A knowledge economy is one based on industries that need highly educated workers, such as IT, finance or advanced engineering.
[직역] 'knowledge economy'는 매우 교육받은 노동자들이 필요한 IT나 재무 또는 고급 엔지니어링과 같은 산업에 기반한 것입니다.

[본문] [57] If something happens regardless of a second thing, the second thing has no impact on it happening.
[직역] 만약 무언가가 두번째의 것의 'regardless of'에도 발생하면, 두번째의 것이 그것이 일어나는 것에 영향이 없습니다.

[본문] [58] And finally, if people are segregated, different groups of people are separated and kept apart.
[직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만약 사람들이 'segregate' 되면, 다른 무리의 사람들이 분리되고 떨어져 계속 있습니다

[본문] [59] Once again, our six minutes are up.
[직역] 한 번 한 번 더 우리의 6분 영어가 끝났습니다

[본문] [60] Remember to visit our website, bbclearningenglish.com, where you'll find a worksheet and quiz related to this programme, and we'll see you again soon for more trending topics and useful vocabulary, here at 6 Minute English.
[직역] 우리의 웹사이트인 bbclearningenglishcom을 방문하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그리고 그곳에서 당신은 이 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워크시트와 퀴즈를 찾아 냅니다. 그리고 우리는 당신을 여기 6분 영어에서 좀 더 시기에 맞는 주제와 도움이 되는 어휘를 곧 한 번 더 볼 것입니다.

[본문] [61] Goodbye for now!
[직역] 이제 안녕

[본문] [62] How do you compare education systems?
[직역] 어떻게 당신은 교육 제도를 비교합니까?

[본문] [63] Beth and Phil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직역] 베스와 필이 이것을 상의합니다 그리고 당신에게 몇몇의 새로운 어휘를 가르칩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062을 클릭하세요.

[Blog Home]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wordstudy.tistory.com/628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3063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이 글입니다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3062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PDF로 된 대본(Script)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영어 문장 공부] 자료를 처음 보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공부법」을 먼저 보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영어문장공부] 학습법 보기



오디오 듣기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