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Which country has the best schools? [BBC 6분 영어]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728x90

How do you compare education systems? Beth and Phil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교육 시스템을 어떻게 비교하시나요? 베스와 필이 이에 대해 토론하고 새로운 어휘를 알려드립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6), that(5), 분사(4), 명사(3), 접속사(2), 문장형식: 4형식(2), 마디[節, clause](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문장형식: 5형식, 부정 구문(否定構文), 문장형식, 낱말·구·마디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Which country has the best schools?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제멋대로 바뀌기도 합니다.

(1-1)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은 분사가 뼈가 되어 주절 모두를 부사말로 꾸며주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주절 모두를 꾸민다는 것이 대수로운데, 여기에서 분사구와 나뉩니다. 분사 구문은 《현재분사 구문》과 《과거분사 구문》으로 나뉘며, 또 다른 꼴로.는 《독립 분사구문》과 《부대상황 구문》이 있습니다. 분사구문은 보통 《이유, 양보, 조건, 시간, 부대상황》 따위의 뜻을 갖습니다

[1-1-1] 덧붙임[附帶狀況]  분사구문  분사
'~하면서'의 뜻, 분사구문이 주절과의 동시에 나타나는 상황임을 나내냅니다. 주로 as나 while마디[節, clause]를 분사구문으로 바꾼 것입니다.

<본문예제>
[14] Well, here is former BBC education correspondent Sean Coughlan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설명] 『talking to BBC ~』는 '~하면서'의 뜻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입니다. 주절과 같은 때의 상황을 나타내 줍니다. 거의 as나 while 절이 분사구문이 된 부사구입니다.


[28]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Sean Coughlan tells us that many large countries from Western Europe don't score that highly in the rankings.
[설명] 『Talking to BBC ~』는 '~하면서'의 뜻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입니다. 주절과 같은 때의 상황을 나타내 줍니다. 거의 as나 while 절이 분사구문이 된 부사구입니다.


삼성전자 갤럭시 Z 플립 6 자급제, 실버 쉐도우, 512GB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2) 과거분사  분사
몇몇 불규칙 동사를 빼고는, 동사에 -ed를 붙여 만듭니다. 시제로 쓰이면 have 동사와 함께 과거 완료형 시제를 만들고, 시제와 관련 없이 쓰일 때는 형용사의 노릇을 합니다. 주로 수동과 완료의 뜻을 갖습니다.

[1-2-1] 명사의 뒷·꾸밈[後位 修飾]  과거분사  분사
분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줍니다. 특히 수식어나 목적어 따위를 가지고 있는 분사 즉 분사구는 앞에서 꾸며 줄 수가 없으므로, 뒤에서 꾸며 줍니다. 과거분사 앞에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빠져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본문예제>
[11] The rankings are based on tests carried out by the OECD, that's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every three years.
[설명] 『carried out ~』는 과거분사(구)로 tests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빠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6] This is an economy based on service industries that require workers to be highly educated, such as IT, finance or advanced engineering.
[설명] 『based on ~』은 과거분사(구)로 'an economy'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문장형식: 5형식
5형식이란 《주어+동사+목적어+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뼈대를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손꼽는 5형식 동사에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따위가 있습니다.

(2-1)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불완전타동사란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있어야 하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사역동사, 지각동사, 인지동사 따위가 이 테두리의 동사들입니다. 이들 밖에도 5형식을 만드는 동사들이 여럿 있습니다.

[2-1-1] make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make는 손꼽히는 사역동사입니다. make가 5형식 글짜임을 만들 때 선행(명)사가 부정사이면 to 없는 원형부정사를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7] So, what makes countries perform better in these tests?
[설명] 이 월은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countries,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원형부정사구인 'perform ~'입니다.


3. 명사
명사(名詞, noun)는 흔히 보통, 고유, 집합, 물질, 추상 따위의 5가지로 나누며, 이 가운데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를 셈·명사(可算名詞, Countable, countable noun)와 못셈·명사(不可算名詞, Uncountable, uncoutable noun)로 나눕니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명사 또는 명사말이 이어주는 말뭉치없이 풀이하고, 덧붙여지면 이 둘을 동격이라 합니다.

(3-1)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따로 이어주는 것 없이 병렬로 다루어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풀이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

[3-1-1] 동격의 명사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아무런 잇는 연모없이 병렬로 마무리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설명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사이에 있다고 합니다. .

<본문예제>
[43] This one of the main things why Estonia is successful.
[설명] 「one of the main things」와 「 why Estonia is successful」 명사절이 동격입니다.


[14] Well, here is former BBC education correspondent Sean Coughlan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설명] 「former BBC education correspondent」와 「Sean Coughlan」은 동격입니다.




(3-2)  명사
명사의 격에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주격과 목적격은 꼴이 같습니다. 이 밖에 여격, 삼성여격, 동격 따위의 격이 있습니다.

[3-2-1] 부사격[부사적 용법]   명사
「부사적 목적격」, 「부사 대격」이라고도 합니다. 명사에는 기본적으로 부사격이 없기 때문에 대개는 전치사가 빠진 명사구일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다른 형용사나 부사를 꾸미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11] The rankings are based on tests carried out by the OECD, that's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every three years.
[설명] 『every three years』는 부사구입니다. 명사(구)가 부사(구)로 쓰이는 명사의 부사적 쓰임새입니다.


4. 문장형식
영어의 문장은 동사의 종류에 따라 5형식으로 나눕니다 1형식(주어+동사), 2형식(주어+동사+보충·어[補語, complement]), 3형식(주어+동사+목적어), 4형식(주어+동사+목적어1+목적어⑵, 5형식(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충·어[補語, complement]) 따위입니다. 문장의 형식 나눔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용 나눔이며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4-1) 3형식  문장형식
주어 + 동사 + 목적어로 짜여진 문장을 말합니다.

[4-1-1] (여격) ~를 …에게(to)  3형식  문장형식
[동사+목적어+to+간접목적어] 「동사+목적어+to+간접목적어」 구문으로 4형식의 간접목적어를 to의 목적어로 구현하는 구문입니다. 그러나 explain 등과 같은 일부 동사는 4형식을 지원하지 않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15] When they were introduced first of all, that was a very contentious idea, because people said 'how can you possibly compare big countries… how can you compare America to Luxembourg or to, you know, or to parts of China, or whatever?'
[설명] 『compare America to Luxembourg』는 「compare A to B」 구문으로 'A를 B에게'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5. 낱말·구·마디
낱말은 구, 마디와 함께 문장을 이루는 문장구성단위(Sentence Fragment)입니다. 낱말(word)은 뜻과 품사를 갖는 문장의 가장 작은 구성단위이고, 구(句, phrase)는 여러 개의 낱말이 모여 어떤 뜻과 품사를 갖는 낱말 뭉치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주어와 동사를 갖고 있으며, 관계사나 접속사에 의해 다른 문장의 속으로 들어갑니다. 문장의 구성단위가 되는 절(=마디)은 종속절을 말합니다. 낱말/구/마디[節, clause]는 품사를 갖고, 문장 성분을 구성합니다. 마디는 절(節)의 토박이 우리말입니다.

(5-1) that  낱말·구·마디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5-1-1] 부사  that  낱말·구·마디
that이 부사로 사용되면 「그렇게, 그만큼, 그 정도(로) 의 뜻을 갖습니다.

<본문예제>
[28]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Sean Coughlan tells us that many large countries from Western Europe don't score that highly in the rankings.
[설명] 『that highly 』의 that은 부사입니다.


6. 부정 구문(否定構文)
no와 not 따위의 아니오(否定語) 부사를 골라 아니오(否定)의 속뜻을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6-1) 부분부정  부정 구문(否定構文)
always, whole, absolutely, entirely, straight, all, every, both, altogether, entirely, necessarily 따위와 같이 `전부, 반드시`와 같은 끝까지 간 속뜻을 가진 부사나 형용사가 not과 묶여 `(모두가)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는 뜻의 부분 부정의 속내를 갖는 글짜임을 만듭니다. 이것을 전체 부정과 맞대어 부분부정이라고 합니다.

[6-1-1] everyone  부분부정  부정 구문(否定構文)
부정대명사 everyone은 누구든지, 모두 등의 뜻을 갖고 있는 부정대명사입니다. '전부, 반드시` 등의 극단적인 의미의 단어가 not이나 no, never 등과 결합하면 부분적인 부정(否定)의 의미를 갖는 문장을 만듭니다.

<본문예제>
[18] So, at first, Pisa tests were contentious because not everyone believed it was fair to compare very different countries.
[설명] 『not everyone』은 부분부정 구문입니다. every-가 포함된 낱말이 부정문과 함께 쓰이면 부분적으로 아니다 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7.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7-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7-1-1]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18] So, at first, Pisa tests were contentious because not everyone believed it was fair to compare very different countries.
[설명] 'everyone believed'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08] Do you think it could be the best?
[설명]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09] I think that it's quite good, there's probably a couple of things that I personally would change about it, but I would say it's quite good, but maybe not the best in the world.
[설명] 'I would say'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29] They're being outpaced and outperformed by these fast, upcoming countries - you know, Singapore, or Estonia, or Taiwan, or those sort of places which we don't historically think of as being economic rivals, but I suppose the argument for Pisa tests is, if you want to have a knowledge economy, an economy based on skills, this is how you measure it.
[설명] 'but I suppose'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7-1-2] 목적절  생략 글짜임  that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은 문장에서 흔히 간추립니다.

<본문예제>
[44] Sean said the most successful systems educate everyone to a particular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설명] 'Sean said '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8.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말합니다.

(8-1)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4형식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쓰이는 동사를 수여동사 또는 여격동사라고 합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주다'라는 뜻을 품고 있지만, 아니기도 합니다.

[8-1-1] 여격 동사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4형식 동사는 '~을 주다'라는 개념의 동사가 많습니다. 이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그러나 '~을 주다'라는 의미를 갖지 않더라도 '~을/를'이라는 직접목적어(대격)와 '~에게'라는 의미의 간접목적어(여격)를 필요로 하는 동사들이 의외로 많이 있습니다. 이런 동사들은 모두 4형식 동사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8] Talking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Global Story', Sean Coughlan tells us that many large countries from Western Europe don't score that highly in the rankings.
[설명] 주절은 tell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us, 직접목적어는 'that 명사절'입니다.




[39] Sean Coughlan tells us that those countries that prioritise getting everyone to a certain level do well.
[설명] 이 월(=文章)은 tell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us, 직접목적어는 'that those countries ~' 명사절입니다.


9.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9-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꾸밈말이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고릅니다.

[9-1-1] 목적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른 낱말[單語]의 변화는 없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목적어이면 목적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문장에서 that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흔히 빠집니다.

<본문예제>
[09] I think that it's quite good, there's probably a couple of things that I personally would change about it, but I would say it's quite good, but maybe not the best in the world.
[설명] 『that I personally』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목적격이고, 선행(명)사는 'a couple of things'입니다. 한정용법입니다.


[9-1-2]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39] Sean Coughlan tells us that those countries that prioritise getting everyone to a certain level do well.
[설명] 『that prioritise getting everyone to a certain level』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those countries'입니다.


[36] This is an economy based on service industries that require workers to be highly educated, such as IT, finance or advanced engineering.
[설명] 『that require workers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service industries'입니다.


(9-2)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9-2-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1] Countries which make sure that all their pupils get through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o a certain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do well.
[설명] 『which make sure』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Countrie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 쓰임법입니다.




(9-3) 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문장에서 어떤 노릇을 하느냐에 따라 주격, 소유격,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가 주어로 쓰이면 주격관계대명사를, 관계대명사가 바로 뒤의 명사를 꾸며주면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씁니다. 관계대명사가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씁니다.

[9-3-1] 목적격  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의 문장성분이 목적어입니다

<본문예제>
[29] They're being outpaced and outperformed by these fast, upcoming countries - you know, Singapore, or Estonia, or Taiwan, or those sort of places which we don't historically think of as being economic rivals, but I suppose the argument for Pisa tests is, if you want to have a knowledge economy, an economy based on skills, this is how you measure it.
[설명] 『which we don't historically ~』의 which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Singapore ~ sort of places'입니다.


[9-3-2] 목적격(뒤에 놓인 전치사의 목적어)  격  관계대명사
전치사의 목적어인 관계대명사가 마디[節, clause](=節)의 앞 부분으로 가고 전치사는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있는 뒤에 놓이면, that을 포함한 모든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쓰일 수 있습니다. 이런 짜임의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쳐 뺄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7] If something is contentious, then it is something that people might argue about - it's controversial.
[설명] 『that people might argue about』의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은 글 말미에 떨어져 있는 전치사 〈about〉의 목적어입니다.


10.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10-1) that  접속사
that이 접속사가 되면 종속 접속사로 종속절을 이끕니다. 명사절을 이끌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됩니다. that은 부사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that이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과거 분사의 뒤에 오면 that절은 should와 함께 쓰여 까닭을 나타내는 부사절이 됩니다. 또한 that은 so that ~, not that ~ but that ~ 따위의 익은 글짜임(慣用 構文)에도 많이 쓰입니다.

[10-1-1] 명사절  that  접속사
흠이 없는 문장 앞에 접속사 that이 오면 명사절이 되는 that절이 됩니다. 즉, 접속사 that이 명사절을 이끌어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쓰인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that 명사절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지는 못합니다.

<본문예제>
[09] I think that it's quite good, there's probably a couple of things that I personally would change about it, but I would say it's quite good, but maybe not the best in the world.
[설명] 이 월은 주어가 I, (술어)동사가 think, that 명사절인 「that it's ~」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10-1-2] 부사절  that  접속사
접속사 that이 부사절을 이끌 때는 주로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인도하며 because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특히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과거분사 뒤에 오는 이유를 나타내는 that 부사절에는 should가 많이 쓰입니다.

<본문예제>
[41] Countries which make sure that all their pupils get through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o a certain standard,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do well.
[설명] 「that all their pupils ~ their background」 절은 that 접속사가 이끄는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입니다.


11. 마디[節, clause]
《주어 + 동사》를 갖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요소로 쓰이는 것을 종속절(節, Clause)이라고 합니다. 마디[節, clause]는 절의 우리 말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구성된 모습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따위로 말하기도 하고, 품사 쓰임새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11-1)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몫을 맡습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것에는 that, whether, if 따위의 접속사, whatever, whoever 따위의 복합관계사 그리고 who, whom, which, why, what 따위의 의문사가 있습니다.

[11-1-1] 보어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이 문장에서 보충·어[補語, complement] 쓸모를 맡습니다.

<본문예제>
[27] A common pattern in the Pisa rankings is that the most successful countries tend to be smaller.
[설명] 이 월은 주어가 'A common pattern ~', 동사가 is,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글짜임입니다.




(11-2) if 명사절  마디[節, clause]
if접속사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흔히 yes/No 꼴의 의문문을 간접의문문으로 바꿀 때 접속사 if를 씁니다.

[11-2-1] 목적어  if 명사절  마디[節, clause]
접속사 if가 이끄는 명사절이 문장에서 목적어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26] Well, we will find out if that's correct at the end of the programme.
[설명]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062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