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문법강좌 Learning lessons from the Moon - 영국 BBC 6분 영어 문법

728x90

 

 

 

BBC Learning English 6 Minute English 문법공부(softca.tistory.com)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8), 접속사(4), 분사(3), 관계부사(2), that(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종속접속사, it, 동명사, 명사, 문장부호, 문장형식: 4형식, 문장형식: 5형식, 의문문, 전치사, 전치사 글짜임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본문] [06] Of course - that was Neil Armstrong, the first person to land on the Moon.
[설명] 「Neil Armstrong」과 「the first person」이 동격입니다. 콤마가 동격을 나타냅니다.

[본문] [10] Russia's rocket crashed on landing, but Chandrayaan-3 successfully touched down on the 23rd of August, making India only the fourth country to successfully land on the Moon.
[설명] ⑴ 『making India only ~』은 '~하면서'의 뜻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입니다. 주절과 같은 때의 상황을 나타내 줍니다. 거의 as나 while 절이 분사구문이 된 부사구입니다.
⑵ 『making India only the fourth country ~』의 make는 4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India이고, 직접목적어는 'only the fourth country'입니다.
[참조 링크]부대(附帶)상황 학말영식 사용법
[참조 링크]분사구문 부대사황
[참조 링크]분사구문의 개념과 용법 (천재학습백과 미리보는 중학 영어 문법)
[참조 링크]이런 표현 어떻게 - It takes kevin a long time to come ~

[본문] [12] That's what we'll be discussing in this programme and, as usual, we'll be learning some useful new vocabulary too.
[설명] 『what we'll be discussing ~』은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본문] [14] Everyone knows that Neil Armstrong was the first man on the Moon, and was followed by a second astronaut, Buzz Aldrin.
[설명] 이 문장은 주어가 everyone, (술어)동사가 knows, that 명사절인 「that Neil Armstrong was ~」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참조 링크]명사절 that 2 (보어로 쓰이는 that절)

[본문] [15] But who was the third Apollo astronaut who flew the command module while his crewmates walked on the Moon?
[설명] ⑴ 『who was the third ~』의 who는 의문대명사로 사람을 대상으로 의문문을 만듭니다.
⑵ 『who flew the command ~』의 who는 한정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the third Apollo astronaut'입니다.
⑶ 접속사 while은 주절과 동시에 일어나는 동작이나 상황을 나타내 줍니다.

[본문] [21] One theory is that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solar system, around 4 billion years ago, another planet crashed into Earth breaking off a part which then formed the Moon.
[설명] 『breaking off a part ~』는 현재분사로 부사어(구)로 쓰이고 있습니다. 'crashed into'를 꾸며줍니다.

[본문] [22] Unlike the Earth's surface, which is constantly moving, the Moon is completely still, frozen in time to create a perfectly preserved record of what happened at the birth of the solar system.
[설명] 『which is constantly moving』의 which는 선행(명)사에 정보를 보태는 비제한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the Earth's surface'입니다. 비한정용법은 쉽표로 둘러싼 삽입절의 꼴을 갖습니다.
[참조 Blog 링크]관계대명사의 비제한적용법(Non-restrictive use, Non defining relative clauses)
[참조 링크]What are embedded clauses?

 

 

 


[본문] [23] Here's astronomer, Dr Becky Smethurst, explaining more to BBC Radio 4 programme, Inside Science:
[설명] 『explaining more to ~』는 주로 and로 이어진 등위절을 분사구문으로 만든 것으로 연이어진 동작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본문] [24] …Whereas on the Moon, it's just this inert rock, there's no atmosphere so every single thing that's happened to the Moon in its four-and-a-half billion years' worth history is still recorded there on it.
[설명] ⑴ 『that's happened to the Moon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every single thing'입니다.
⑵ 『~ in its four-and-a-half billion ~』은 전치사 「A in B」의 굴짜임으로 B가 시간으로 된 영역일 수 있습니다.

[본문] [26] There are craters all over that thing, and so this is a really big deal when we're thinking about what happened to the early Earth as well, because we think all of the Earth's water came from impacts with comets and asteroids in the very early days of the solar system.
There are craters all over that thing, and so this is a really big deal when we're thinking about what happened to the early Earth as well, because we think {that} all of the Earth's water came from impacts with comets and asteroids in the very early days of the solar system.
[설명] 'we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본문] [27] The rock which makes up the Moon is inert - it doesn't move.
[설명] 『which makes up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The rock '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용법입니다.

[본문] [28] It's also full of craters - large holes in the ground caused by something hitting it.
[설명] 대시(줄표)는 동격 관계를 나타냅니다. craters와 「large holes」는 동격입니다. 대시가 '(관계)대명사+be동사'의 기능을 합니다.

[본문] [31] Because the Moon's surface does not change, finding water there would explain a lot about how water, and therefore life, started on Earth.
[설명] ⑴ 『finding water there』는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⑵ 『how water ~』는 how 명사절로 문장성분은 전치사 about의 목적어입니다.

[본문] [32] That's why Dr Smethurst calls the Moon mission a big deal, meaning important or significant.
[설명] ⑴ 『why Dr Smethurst ~』 절은 why 관계부사절로 선행(명)사 'the reason'이 간추려져 빠졌습니다.
⑵ 동사 call이 5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the Moon mission'이 목적어, 'a big deal'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참조 링크]관계부사와 선행사의 생략
[참조 링크][영어문법] 영어 문장의 5형식 최종 정리 make, find, keep, leave, get
[참조 링크]대학 기초 영어 5. 5형식의 모든 것

[본문] [34] Astronomers know that comets are full of ice, and think comets brought water to Earth when they crashed into it.
Astronomers know that comets are full of ice, and think {that} comets brought water to Earth when they crashed into it.
[설명] ⑴ 이 문장은 주어가 Astronomers, (술어)동사가 know, that 명사절인 「that comets are full of ~」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⑵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참조 링크]명사절 that 2 (보어로 쓰이는 that절)

[본문] [36] So, comparing water from the Moon with water on Earth could provide scientists with vital information, as Dr Smethurst explained to BBC Radio 4's, Inside Science:
[설명] 『compare A with B』는 「동사+목적어+with+전치사목적어」 글짜임입니다. 이때 with의 목적어가 사물이면 「도구, 수단」, 사람이면 「참여자, 행위자, 상대방」의 속내를 갖습니다.

 

 

 


[본문] [37] So they'll be looking essentially to see if it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water here on Earth, and then we can sort of trace that back from sort of the crater history as well to working out what actually happened.
So ⑴they'll be looking essentially to see if it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water here on Earth, and ⑵then we can sort of trace that back from sort of the crater history as well to working out what actually happened.
[설명] ⑴ 이 문장은 크게 and로 이어진 중문(重文, Compound sentence)입니다.
⑵ 『if it has the same ~』절은 접속사 if가 이끄는 명사절입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⑶ 『what actually happened』은 관계대명사 what의 명사절입니다. what절은 소속된 문장 내에서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 [40] Again, that would be this sort of smoking gun to be like, yes this that's where this water came from and it's likely that Earth's water came from there as well.
[설명] ⑴ 『that's where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this입니다.
⑵ 『where this water ~』는 선행사 the place가 생략된 where 관계부사절입니다.
⑶ 『it's likely that ~』은 「it that」 글짜임으로 '~가 가능성이 있다.(크다)'의 뜻을 갖습니다.
[참조 링크]관계부사와 선행사의 생략

[본문] [41] Scientists can trace the existence of water on the Moon back to find out what happened on Earth.
[설명] 『what happened on ~』은 관계대명사 what절은 명사절입니다. what절은 소속된 문장 내에서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2595을 클릭하세요.

[Blog Home]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softca.tistory.com/2596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2597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https://softca.tistory.com/2598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이 글입니다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2595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PDF로 된 대본(Script)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영어 문장 공부] 자료를 처음 보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공부법」을 먼저 보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영어문장공부] 학습법 보기



오디오 듣기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