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Mystery flying objects [BBC 6분 영어]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728x90

BBC Learning English 6 Minute English 문법공부(softca.tistory.com)

What exactly did navy pilots seen in 2004? Were they UFOs? Beth and Neil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useful English vocabulary.
(2004년에 해군 조종사들은 정확히 무엇을 보았습니까? UFO였나요? Beth와 Neil은 이에 대해 토론하고 유용한 영어 어휘를 가르칩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13), 분사(6), that(4), 접속사(3)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it, 삽입 구문, 의문대명사, 의문부사, 의문사, 전치사, 동명사, 마디[節, clause], 명사, 문장형식: 5형식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Mystery flying objects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바탕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1-1] 목적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므로 타동사의 목적어(object)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3] Now, while astronomers are scientists who study questions concerning things outside of Earth, they often avoid investigating supposed aliens.
[설명] 『investigating』은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2.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규칙이 없이 바뀌기도 합니다.

(2-1)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은 분사가 뼈가 되어 주절 모두를 부사말로 꾸며주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주절 모두를 꾸민다는 것이 대수로운데, 여기에서 분사구와 나뉩니다. 분사 구문은 《현재분사 구문》과 《과거분사 구문》으로 나뉘며, 또 다른 꼴로.는 《독립 분사구문》과 《부대상황 구문》이 있습니다. 분사구문은 보통 《이유, 양보, 조건, 시간, 부대상황》 따위의 뜻을 갖습니다

[2-1-1] 전치사로 쓰임  분사구문  분사
목적어를 갖는 동사의 V-ing형을 마치 파생전치사처럼 씁니다. [V-ing+명사]의 글짜임으로 부사구를 나타내 줍니다.

<본문예제>
[35] Taking a more scientific approach to what the pilots saw, the Tic Tac videos were examined by a panel put together by NASA.
[설명] 『Taking a more scientific ~』의 Taking은 현재분사로 (파생)전치사의 구실을 하여 '목적'의 속내를 갖는 부사구를 만듭니다.


(2-2) 과거분사  분사
몇몇 불규칙 동사를 빼고는, 동사에 -ed를 붙여 만듭니다. 시제로 쓰이면 have 동사와 함께 과거 완료형 시제를 만들고, 시제와 관련 없이 쓰일 때는 형용사의 몫을 합니다. 주로 수동과 완료의 뜻을 갖습니다.

[2-2-1] 명사의 뒷·꾸밈[後位 修飾]  과거분사  분사
분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줍니다. 특히 수식어나 목적어 따위를 가지고 있는 분사 즉 분사구는 앞에서 꾸며 줄 수가 없으므로, 뒤에서 꾸며 줍니다. 과거분사 앞에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빠져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본문예제>
[35] Taking a more scientific approach to what the pilots saw, the Tic Tac videos were examined by a panel put together by NASA.
[설명] 『put together 』는 과거분사(구)로 panel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빠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15] Were they flying saucers, the disc-shaped craft flown by aliens, or is there a more rational explanation?
[설명] 『flown ~』은 과거분사)로 craft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빠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2-2] 명사의 앞 꾸밈〈前位 修飾〉  과거분사  분사
과거분사는 명사의 앞에서 형용사처럼 쓰여 명사를 꾸며줄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3] Now, while astronomers are scientists who study questions concerning things outside of Earth, they often avoid investigating supposed aliens.
[설명] 과거분사 supposed가 명사의 앞에서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 주고 있습니다.


(2-3)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란 동사에 ing를 붙여 만듭니다. 따라서 동사의 현재진행형과, 동명사와 똑같은 v-ing 꼴입니다. 동명사와 달리 현재분사는 거의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현재분사는 ⑴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로서 ⑵ Be 동사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⑶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입니다.

[2-3-1]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는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따라서 명사를 앞 또는 뒤에서 꾸밀 수 있습니다. 명사의 앞에서 꾸며주는 것을 앞-꾸밈[傳位修飾], 명사의 뒤에서 꾸며주는 것을 뒷·꾸밈[後位修飾]이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12] They recorded mysterious oval objects flying at 24,000 metres.
[설명] 『flying at ~』는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oval objects'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07] So, Beth, how would you feel if you looked up and saw strange objects glowing and twisting through the sky?
[설명] 『glowing and twisting』은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objects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문장형식: 5형식
5형식이란 《주어+동사+목적어+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뼈대를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손꼽는 5형식 동사에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따위가 있습니다.

(3-1)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불완전타동사란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있어야 하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사역동사, 지각동사, 인지동사 따위가 이 테두리의 동사들입니다. 이들 밖에도 5형식을 만드는 동사들이 여럿 있습니다.

[3-1-1] 불완전 타동사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사역동사, 지각동사 밖에도 5형식을 만드는 불완전타동사는 많습니다. 불완전타동사란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있어야 하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본문예제>
[37] So, what may happen now is we're gonna begin to get us some scientific study of this and we'll try and get a better handle on it.
[설명] 보충·어[補語, complement]절인 that절은 get 5형식 문장입니다. 목적어는 us, 목적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some scientific study ~'입니다.


4.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말을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4-1) 파생전치사  전치사
전치사는 구성형태별로 ⑴어형 변화가 없는 불변사(不變詞, particle), ⑵두개 이상의 불변사 전치사로 구성된 구전치사, ⑶단어와 전치사가 결합한 복합전치사, ⑷동사의 현재분사, 과거분사에서 파생한 파생전치사 둥이 있습니다.

[4-1-1] 현재분사형 전치사  파생전치사  전치사
동사의 분사형에서 파생된 전치사. 분사형 전치사라고도 부릅니다. including, concerning, barring, regarding, excepting, notwithstanding 등이 대표적입니다.

<본문예제>
[23] Now, while astronomers are scientists who study questions concerning things outside of Earth, they often avoid investigating supposed aliens.
[설명] 『concerning things ~』의 concerning은 현재분사에서 파생한 전치사입니다. 파생전치사 또는 분사형 전치사라고 합니다.


5. 명사
명사(名詞, noun)는 흔히 보통, 고유, 집합, 물질, 추상 따위의 5가지로 나누며, 이 가운데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를 셀수 있는 명사(가산명사, 可算名詞, Countable, countable noun), 나머지 셋을 셀수 없는 명사(불가산명사, 不可算名詞, Uncountable, uncoutable noun)로 나눕니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명사 또는 명사말이 이어주는 말없이 풀이하고, 덧붙여지면 이 둘을 동격이라 합니다.

(5-1)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따로 이어주는 것 없이 병렬로 다루어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풀이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

[5-1-1] 동격의 콤마  동격 글짜임  명사
동격 관계를 나타내 주는 콤마로 뒤의 내용이 앞의 내용을 덧붙여 설명하거나 한정합니다. 관계대명사의 한정적 용법과 비슷한 구실을 합니다.

<본문예제>
[24] Adam Frank, Professor of Astrophysics a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explains why the footage in the Tic Tac videos can't give any definitive answers of alien life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Inquiry:
[설명] 「Adam Frank」와 「Professor of ~」가 동격입니다. 콤마가 동격을 나타냅니다.

 

 


6.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 쓰임·법에 여러가지 문법적 쓰임을 더하고 있습니다. 손꼽히는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주어 it 글짜임(it to, it that구문), 가목적어 it 글짜임 (it to, it that 글짜임), 분열문(it be that 강조 글짜임) 따위가 있습니다.

(6-1) 가짜-주어 it  it
주어가 길 때 주어 자리에 형식적인 주어 it를 놓고 내용상 주어를 문장 뒤로 뺍니다. 흔히 [it+be+형용사] 글짜임으로 쓰입니다.

[6-1-1] it seems that구문  가짜-주어 it  it
It seems that 글짜임은 it가 가짜주어, that절이 진짜주어입니다. '~인 것 같다'라는 속내를 갖는데, that절의 주어가 ~인 것 같다 라는 뜻입니다.

<본문예제>
[43] So, it seems that, for now, scientists will need to find much more proof to know exactly whether we are alone in the universe or not.
[설명] 이번 월(=문장)은 「it seems that ~」 글짜임입니다. it가 가짜`주어, that절이 진짜`주어입니다. that마디[節, clause]의 주어인 scientists가 '~인 것 같다'라는 속내를 가집니다.


7.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7-1) 생략 구문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마디[節, clause]를 이끌 때, ⑶목적어 쓸모를 위해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7-1-1] 명사절  생략 구문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28] You know, I think the pilots are being honest and had a lot of integrity about what they say they're seeing.
[설명] 'I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0] I don't know if I'd believe what I was seeing, and I guess I'd be a bit scared!
[설명] gues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29] They're not saying they're aliens.
[설명] 'not saying'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37] So, what may happen now is we're gonna begin to get us some scientific study of this and we'll try and get a better handle on it.
[설명] 'now i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8.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8-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수식어가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사용합니다.

[8-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40] And what the NASA scientist showed was that with a simple analysis you can show that that was moving at 40 miles an hour, so certainly nothing very extra-terrestrial about that.
[설명] 『you can show that that ~』의 앞의 that은 대명사이고 뒤의 that 관계사의 선행명사입니다.


[39] At the NASA panel, one of the scientists showed a simple analysis of the video that shows the object travelling at seemingly high speed over the ocean.
[설명] 『that shows the object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the video'입니다.


(8-2)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가 be동사와 함께 쓰이거나,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 있는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려 뺼 수 있습니다.

[8-2-1] 목적격 which/that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빼고 써도 됩니다. 명사 뒤에 접속사 없이 《주어 + 동사》가 왔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빠져 있는 판이 많습니다.

<본문예제>
[28] You know, I think the pilots are being honest and had a lot of integrity about what they say they're seeing.
[설명] 'what they say'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선행(대명)사는 what압나다,

 

 


(8-3) what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는 관계대명사로 the thing(s) which의 뜻을 갖습니다. 또한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따위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기 때문에 what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입니다.

[8-3-1] 목적격  w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은 주격과 목적격에 글자가 바뀌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이 관계사절의 목적어일 때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됩니다.

<본문예제>
[10] I don't know if I'd believe what I was seeing, and I guess I'd be a bit scared!
[설명] 『what I was seeing』은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1] Well, that situation is exactly what Navy pilots caught on their fighter jet cameras on a training flight in 2004.
[설명] 『what Navy pilots caugh ~』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40] And what the NASA scientist showed was that with a simple analysis you can show that that was moving at 40 miles an hour, so certainly nothing very extra-terrestrial about that.
[설명] 『what the NASA scientist showed』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35] Taking a more scientific approach to what the pilots saw, the Tic Tac videos were examined by a panel put together by NASA.
[설명] 『what the pilots saw』은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전치사 to의 목적어입니다.


[27] However, what they saw is based on personal testimony.
[설명] 『what they saw』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30] A personal testimony is a story or statement of evidence supported only by a person and what they saw, rather than any external evidence or hard facts.
[설명] 『what they saw』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전치사 by의 목적어입니다.


[31] To find out more about exactly what the pilots saw, scientific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to try and get a better handle on the situation.
[설명] 『what the pilots saw』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전치사 about의 목적어입니다.


[8-3-2] 주격  what  관계대명사
what관계대명사는 주격과 목적격의 글자가 다르지는 않습니다. 다만, 관계대명사 what이 스스로가 들어간 문장에서 주어이면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37] So, what may happen now is we're gonna begin to get us some scientific study of this and we'll try and get a better handle on it.
[설명] 『what may happen now』는 what 주격 관계대명사절입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8-4)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걸려있는 명사(구)로 두 개의 월(=文章)을 이어준 월입니다. 이 때 명사(구)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선행명사라고 하고 이를 받아 월을 이어주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연결 쓰임법에는 한정사 종속절을 만드는 한정용법, 명사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 쓰임법, 등위절을 만드는 계속용법, 삽입절을 만드는 비제한용법, 앞의 문장의 일부를 받는 접속 대명사적인 쓰임법 따위가 있습니다.

[8-4-1] 계속용법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선행명사와 관계대명사(which 등) 사이에 comma(,)가 있으면, 관계대명사의 계속용법이라 합니다. 이 때의 관계대명사는 단순히 「접속사+대명사」와 같습니다. 「그런데 그것은~」(and that ~) 정도의 뜻으로 접속사를 하나 덜 쓴 정도의 기능만을 합니다. 현대 영어는 앞에 콤마가 없어도 계속용법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맥을 살펴 뜻을 파악해야 합니다.

<본문예제>
[41] The scientists found that, although it looks like the object was travelling very fast, it was only moving at 40 miles an hour, which Adam says it's not very extra-terrestrial.
[설명] 『which Adam says it's ~』의 which는 계속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and that'의 의미입니다.

 

 



9.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는 의문문을 만들 때 씁니다. who(whose, whom), what, which 등이 있습니다. 대명사의 일종이므로 격을 갖고 있으며, 격에 의매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및 전치사의 목적어로 기능합니다.

(9-1) what  의문대명사
'무엇' 또는 '어떤~', '무슨~'의 뜻을 갖습니다. 사물에 대한 물음이나 사람의 이름, 직업 따위를 물어볼 때 씁니다. 한편, 의문사는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이끌 때는 접속사의 쓸모를 갖습니다. what 의문사절은 명사절로 문장에서는 주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목적어의 몫을 합니다.

[9-1-1] 목적격: 목적어  what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 what은 주격과 목적격의 글자가 다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의문사가 들어간 문장에서의 성분이 목적어이면 목적격으로 여깁니다.

<본문예제>
[14] Now, these videos are being reviewed by US Congress to try understand what these objects were.
[설명] 『what these objects were』의 what은 의문대명사입니다. 의문사절(명사절)을 이끕니다. what의 격은 주격이고 문장성분은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w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0.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10-1) whether  접속사
접속사 whether는 if와 함께 의문사가 들어 있지 않은 의문문의 간접의문문(의문사절)을 만듭니다. 이 때의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 됩니다.

[10-1-1] 명사절  whether  접속사
접속사 whether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본문예제>
[16] In this programme, we'll be discussing whether we are alone in the universe, and, as usual, we'll be learning some useful new vocabulary as well.
[설명] 「whether ~」 절은 명사절로 문장 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0-2) if  접속사
접속사 if는 조건문이나, 또는 일어났는지(생겼는지), 참인지 따위를 잘 모르는 일이나 상황을 이야기하는 글월(文章) 따위를 많이 이끕니다. if는 가정법의 가정문을 이끌고, 간접의문문을 이끕니다.

[10-2-1] 명사절  if  접속사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본문예제>
[10] I don't know if I'd believe what I was seeing, and I guess I'd be a bit scared!
[설명]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07] So, Beth, how would you feel if you looked up and saw strange objects glowing and twisting through the sky?
[설명]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1. 의문부사
의문부사는 의문문을 만드는데,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는을 만듭니다.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따위가 됩니다.

(11-1) why  의문부사
'왜'라는 뜻으로 이유나 원인을 물을 때 씁니다. 의문사는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이끌 때 접속사의 쓸모를 합니다. why 의문사절은 명사절로 문장에서는 주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목적어가 됩니다.

[11-1-1] 접속사[명사절] [=관계부사]  why  의문부사
접속사 why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why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문장성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why 명사절은 때로 선행(명)사가 빠진 why 관계부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why 명사절은 '왜 ~하는지'로 번역하고 why 관계부사절은 '~하는 이유'로 번역합니다.

<본문예제>
[24] Adam Frank, Professor of Astrophysics a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explains why the footage in the Tic Tac videos can't give any definitive answers of alien life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Inquiry:
[설명] 『why the footage ~』는 선행(명)사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입니다. 이 구문은 의문사 why 명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12. 의문사
의문사에는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에는 who, whose, whom, what, which 따위가 있고 의문부사에는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는 쓰임법이 거의 같습니다.

(12-1) 의문사 vs 관계사  의문사
모든 의문사는 관계사로 쓰입니다. 관계사로 쓰이는 의문사 가운데 what과 선행(명)사가 생략된 how, why, when, where 따위의 관계부사는 의문사인지 관계사인지 나누기가 쉽지 않은 판이 많습니다. 이 때에는 글발(=文脈)에 따라 풀이해 주면 됩니다. 속내에는 거의 다름이 없습니다.

[12-1-1] what  의문사 vs 관계사  의문사
what은 문장에서 문맥에 따라 의문사로도 또는 관계사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의문사일 때는 '무엇 ~"이라고 해석이 되고 관계사는 '~인 것'으로 해석이 됩니다.

<본문예제>
[28] You know, I think the pilots are being honest and had a lot of integrity about what they say they're seeing.
[설명] 『what they say』의 what은 관계대명사일 수도 의문대명사일 수도 있습니다. 문맥에 맞추어 편하게 선택하여 적용하면 됩니다. what 절의 문장성분은 전치사 about 목적어입니다.


13. 마디[節, clause]
《주어 + 동사》를 갖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요소로 쓰이는 것을 종속절(節, Clause)이라고 합니다. 마디[節, clause]는 절의 우리 말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구성된 모습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따위로 말하기도 하고, 품사 쓰임새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13-1)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몫을 맡습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것에는 that, whether, if 따위의 접속사, whatever, whoever 따위의 복합관계사 그리고 who, whom, which, why, what 따위의 의문사가 있습니다.

[13-1-1] 보어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이 문장에서 보충·어[補語, complement] 쓸모를 맡습니다.

<본문예제>
[40] And what the NASA scientist showed was that with a simple analysis you can show that that was moving at 40 miles an hour, so certainly nothing very extra-terrestrial about that.
[설명] 이번 월(=문장)은 주어가 what 관계사절, 동사가 is,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문장입니다.

 

 


14. 삽입 구문
바탕이 되는 문장과는 독립된 요소로서 '낱말과, 구 또는마디[節, clause]를 문장 사이에 넣는 것을 '삽입'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삽입말구들은 흔히 앞뒤에 구두점인 콤마나 대시 또는 괄호를 써서 가름합니다. 다만, 관계대명사와 의문사 뒤에 끼워 넣을 때는 구두점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14-1) 삽입절  삽입 구문
문장 가운데에마디[節, clause](절, 節)나 문장을 끼워 넣은 것을 삽입절이라고 합니다. 삽입절에는 ⑴ 설명적인 문장 ⑵ 부사절(종속절), ⑶ 주절, ⑷ 독립절 따위가 있습니다.

[14-1-1] 부사절[종속절]  삽입절  삽입 구문
복문(複文, complex sentence) 글짜임에서 부사말 종속절이 주절의 가운데 쯤으로 옮겨져 있는 문장을 말합니다.

<본문예제>
[41] The scientists found that, although it looks like the object was travelling very fast, it was only moving at 40 miles an hour, which Adam says it's not very extra-terrestrial.
[설명] 『although ~』마디[節, clause]는 부사-종속절인데, 문장 중간에 끼워 넣었습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2555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