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문법강좌 Should we fear chatbots? - 영국 BBC 6분 영어 문법

728x90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8), that(4), 분사(3), 의문부사(2), 동명사(2), 문장부호(2), 문장형식: 4형식(2), 문장형식: 5형식(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부정사, 동사의 시제·모습, 마디[節, clause], 대명사, 의문사, 조동사, as, it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본문] [05] Now, I'm sure most of us have interacted with a chatbot.
Now, I'm sure {that} most of us have interacted with a chatbot.
[설명] 『I'm sure』의 뒤에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아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본문] [07] You ask it a question and it usually comes up with an answer!
[설명] 이 문장은 ask가 4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it, 직접목적어는 'a question'입니다.

[본문] [10] We'll discuss that more in a moment and find out if chatbots really think for themselves.
[설명] 「for themselves」는 《전치사+재귀대명사》 짜임으로 '혼자 힘으로, 자기의 힘으로'란 뜻입니다.

[본문] [12] The first computer program that allowed some kind of plausible convers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was invented in 1966, but what was it called?
[설명] 『that allowed some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The first computer program'입니다.

[본문] [17] Now, the old chatbots of the 1960s and 70s were quite basic, but more recently, the technology is able to predict the next word that is likely to be used in a sentence, and it learns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설명] ⑴ 『that is likely to be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the next word'입니다.
⑵ 『that is likely to be ~』의 「likely to」는 「be 형용사/분사 to부정사」 짜임으로 「be likely to」가 동사원형 'be used'의 법조동사 기능을 합니다. '~로 ·쓰여질 개연성이 있다'라는 뜻입니다.
[참조 링크]준조동사의 뜻 개념 / ought to, used to, need, dare [문법풀이 #63]

[본문] [19] I've experienced using them when talking to my bank - or when I have problems trying to book a ticket on a website.
[설명] 『I've experienced ~』는 현재시제-완료 모습(相, aspect) 입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냅니다. '~라고 ~한 적이 있다'

[본문] [23] The claim is it's able to answer anything you ask it.
The claim is {that} it's able to answer anything {which/that} you ask it.
[설명] ⑴ 이 문장은 주어가 'The claim', 동사가 is,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문장입니다.
⑵ ·선행(대명)사 anything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⑶ 『you ask it』는 ask가 4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it', 직접목적어는 생략된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입니다.

[본문] [24] This includes writing students' essays.
[설명] ⑴ 『writing students' essays』는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학생들이 과제물을 쓰는 것'이라는 뜻을 갖습니다.
⑵ 『writing students' essays』의 writing은 동명사입니다. 동사적인 성질을 갖고 있어 「students' essays」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본문] [25] This is something that was discussed on the BBC Radio 4 programme, Word of Mouth.
[설명] 『that was discussed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대명)사는 something입니다.

[본문] [26] Emily M Bender, Professor of Computational Linguistic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explained why it's dangerous to always trust what a chatbot is telling us…
[설명] ⑴ 『it's dangerous to ~』는 「it to 진(眞)·주어」 구문입니다. it는 가짜(假)·주어, 진(眞)·주어는 「to ~」 부정사(구)입니다.
⑵ 「to always trust 』 짜임은 부사 always가 to부정사를 꾸며줍니다. 이처럼 부사가 to부정사 내부에 들어 있는 모양새의 부정사를 「분리된 부정사」라고 합니다.
⑶ 『why it's dangerous ~』는 의문사 why 명사절입니다. 이 짜임은 선행(명)사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⑷ 『what a chatbot is ~』의 what은 관계대명사일 수도 의문대명사일 수도 있습니다. 문맥에 맞추어 골라 쓰면 됩니다. what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부정사 「to trust」의 목적어입니다.
[참조 링크]What Are Split Infinitives?
[참조 링크]to 부정사 수식 부사의 위치 - 분리부정사 - 논란?
[참조 링크]분리 부정사란 무엇일까요?

[본문] [27] We tend to react to grammatical fluent coherent seeming text as authoritative and reliable and valuable - and we need to be on guard against that, because what's coming out of ChatGTP is none of that.
[설명] ⑴ 『as authoritative and reliable and valuable』 짜임은 as 형용사구입니다. text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⑵ 『what's coming out of ChatGTP 』의 w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⑶ is none of that.
⑷ that =〉 text를 가리킵니다.
★ come out of '~에서 (발전되어) 나오다'
★ on guard against
[참조 링크]as 뒤에 형용사, 분사, 명사를 취하는 문장 형식은?

[본문] [28] So, Professor Bender says that well written text that is coherent - that means it's clear, carefully considered and sensible - makes us think what we are reading is reliable and authoritative.
So, Professor Bender says that well written text that is coherent - that means it's clear, carefully considered and sensible - makes us think {that} what we are reading is reliable and authoritative.
[설명] ⑴ Professor Bender가 주어 says가 동사 that종속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⑵ 『that 종속절』은 make 5형식 구문입니다. 목적어가 us,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think ~'입니다.
⑶ 두 개의 대시로 둘러싸인 글짜임 『that means ~』은 삽입절입니다.
⑷ 'makes us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원형부정사 think의 목적어입니다.
⑸ 『what we are reading』의 what 관계대명사절이 주어입니다. 동사는 is입니다.

[본문] [30] Yes, chatbots might appear to write in this way, but really, they are just predicting one word after another,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t.
Yes, chatbots might appear to write in this way, but really, they are just predicting one word after another, {being}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t.
[설명] ⑴ 『predicting』은 현재분사로 서술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품사는 형용사이고 문장성분은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⑵ 『based』는 분사구문으로 being이 생략된 형태입니다.

[본문] [31] We should, therefore, be on guard - be careful and alert about the accuracy of what we are being told.
[설명] 『what we are being told』는 관계대명사절입니다. what절은 전치사 of의 목적어입니다.

 

 



[본문] [32] One concern is that chatbots - a form of artificial intelligence - work a bit like a human brain in the way it can learn and process information.
[설명] 두 개의 대시로 둘러싸인 글짜임은 앞의 말을 덧붙여 설명하기 위한 삽입구입니다.

[본문] [34] A cognitive psychologist and computer scientist called Geoffrey Hinton, recently said he feared that chatbots could soon overtake the level of information that a human brain holds.
A cognitive psychologist and computer scientist called Geoffrey Hinton, recently said {that} he feared that chatbots could soon overtake the level of information that a human brain holds.
[설명] ⑴ 『called』는 과거분사(구)로 'A cognitive psychologist and computer scientist'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빠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⑵ 'recently said'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⑶ 『that a human brain ~』의 that은 관계대명사 입니다. 선행(명)사는 information이고,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본문] [36] For now, chatbots can be useful for practical information, but sometimes we start to believe they are human, and we interact with them in a human-like way.
For now, chatbots can be useful for practical information, but sometimes we start to believe {that} they are human, and we interact with them in a human-like way.
[설명] 'start to believe'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본문] [37] This can make us believe them even more.
[설명] 이 문장은 make 5형식 문장입니다. 목적어가 us 목적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believe입니다. make가 사역동사라서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원형부정사가 오고 있습니다.

[본문] [38] Professor Emma Bender, speaking on the BBC's Word of Mouth programme, explains why we meet feel like that…
[설명] 『why we meet feel ~』은 의문사 why 명사절입니다. 이 글짜임은 선행(명)사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2373을 클릭하세요.

[Blog Home]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softca.tistory.com/2374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2375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https://softca.tistory.com/2376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이 글입니다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2373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PDF로 된 대본(Script)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영어 문장 공부] 자료를 처음 보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공부법」을 먼저 보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영어문장공부] 학습법 보기



오디오 듣기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