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makes our food tasty and our breath smelly, but what are some of the other uses of garlic...? Apart from warding off vampires, of course! Neil and Beth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음식을 맛있게 하고 입냄새를 나게 하지만, 마늘의 다른 용도는 무엇일까...? 물론 뱀파이어를 쫓아내는 것 말고도! 닐과 베스가 이에 대해 이야기하며 새로운 어휘를 가르쳐 드립니다.)

이번주 BBC 러닝잉글리시 - 6분영어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분사(5), 관계대명사(4), 관계부사(3), 동명사(3), it(3), that(2), 접속사(2), 정보 구조 구성(2), 수동태(2),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2), 명사(2), 낱말·구·마디(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문장형식: 4형식, 부정사, 마디[節, clause], 동사, 관사, 의문사, 분열문, 종속접속사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분영어-Do you like garlic?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동사적 바탕 동명사
동명사는 동사적 바탕을 그대로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완료형과 수동태가 되고, 부사의 꾸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1-1-1] 부정형(不定型) 동사적 바탕 동명사
동명사의 부정형은 그 동명사의 바로 앞에 not 이나 never 를 쓰면 됩니다.
<본문예제>
[13] Yeah, it's unimaginable not using garlic.
[설명] 'not using'은 동명사의 부정형을 표현합니다.
(1-2)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바탕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2-1] 주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의 바탕을 갖고 있으므로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5] And Poul thinks cooking without garlic is unimaginable, meaning it's difficult to imagine because it would be so bad.
[설명] 『cooking without garlic』은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41] Jains don't eat garlic because uprooting the plant kills both it and the soil ecosystem it grows in.
[설명] 『uprooting the plant』는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2. 수동태(受動態)
영어의 태(voice, 態)는 능동과 수동을 나타내는 문장의 틀을 일컷는 말입니다. 능동태(active voice, 能動態)는 《타동사+목적어》의 꼴을 갖고, 수동태는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어로 삼고 《be+과거분사》의 꼴을 갖습니다. 능동태의 주어는 《by+명사(구)》로 바뀌거나 판에 따라 간추려져 빠집니다.
(2-1) 동작주 생략 수동태(受動態)
by 주어 즉, 능동태의 주어를 수동태의 동작주(agent)라고 합니다. 동작주는 주어가 뻔하거나 중요하지 않을 때, 동작주를 정확히 모를 때, 동작주 보다 행위 자체에 관심이 클 때, 글의 중간에 주어를 바꾸지 않기 위해. 또는 글쓴 이의 심리적인 이유 등으로 생략하기도 합니다. 공지사항, 언론보도, 제목, 광고 등의 문장 등 항상 수동태로만 쓰이는 문장은 동작주를 언급하지 않기도 합니다.
[2-1-1] 일반 사람일 때 동작주 생략 수동태(受動態)
동작주가 people, we, you they 등일 때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3] According to Hinduism also, garlic is considered a food which is called a 'tamasic' food.
[설명] 『garlic is considered a food』는 동작주가 생략된 수동태 문장입니다. 동작주가 일반 사람이면 거의 생략합니다.
(2-2) 5형식 수동태 수동태(受動態)
5형식 문장의 수동태 구문입니다.
[2-2-1] 명사 목적격보어 5형식 수동태 수동태(受動態)
5형식 문장의 목적격 보어가 명사 어구일 경우 수동태로 전환하면 전환 후 목적격 보어는 동작주와 동격의 관계를 갖습니다.
<본문예제>
[43] According to Hinduism also, garlic is considered a food which is called a 'tamasic' food.
[설명] 『garlic is considered a food』는 5형식 문장의 수동태 구문입니다. 전치사 by 목적어가 동작주인데 이 문장에는 생략되어 있습니다. 'a food' 주어 garlic의 보어입니다.
3.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동사는 문장의 뼈대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짜여지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과 같은 5개의 꼴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쓰이거나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3-1) 동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몇몇 동사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받거나,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가져 옵니다.
[3-1-1] 동사+to부정사 동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많은 동사가 (to)부정사를 받아서 「동사+to부정사」의 틀을 만듭니다. 몇몇 동사는 「동사+목적어+(to)부정사」의 틀을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동사 중 몇몇은 부정사 대신에 V-ing을 받기도 하는데, 이 때는 뜻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동사가 사역동사이면 원형부정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44] It is believed to stimulate desire, passion, aggression.
[설명] 『believed to stimulate』는 「동사+부정사」 꼴로 부정사가 believe의 목적어가 되는 3형식 글짜임입니다.
[37] In Ancient Greece, garlic was also used as an aphrodisiac - a food or drink believed to increase sexual desire.
[설명] 『believed to increase ~』는 「동사+부정사」 꼴로 부정사가 believe의 목적어가 되는 3형식 글짜임입니다.
4. 동사
동사는 문장의 뼈대가 되는 요소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되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 등 5개의 활용형(活用形, conjugation)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또는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어)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이나 행위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4-1) 연결동사 동사
연결동사는 주어를 다시 뜻매김하거나 풀어 말하려고 할 떼 골라 쓰는 동사입니다. 연결 동사는 주어를 주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에 이어주기 때문에 연결동사라고 합니다. 연결동사는 “주어가 무엇을 하려는 지(=3형식 문장)”가 아니라, “주어가 무엇인지(=2형식 문장)를” 말합니다.
[4-1-1] be 동사 유형(상태의 유지) 연결동사 동사
주어(행위자)의 현재의 상태가 지켜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Be 동사가 손꼽히며, look, seem, apear, feel, sound, smell, taste 따위가 연결동사로 쓰여질 때 이 테두리 안으로 들어갑니다.
<본문예제>
[04] It smells delicious sizzling in oil and it's great for keeping vampires away, but don't eat it on a first date!
[설명] 이 문장에서 smell은 be 동사 틀의 연결동사로 쓰이고 있습니다.
5.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제멋대로 바뀌기도 합니다.
(5-1)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은 분사가 뼈가 되어 주절 모두를 부사말로 꾸며주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주절 모두를 꾸민다는 것이 대수로운데, 여기에서 분사구와 나뉩니다. 분사 구문은 《현재분사 구문》과 《과거분사 구문》으로 나뉘며, 또 다른 꼴로.는 《독립 분사구문》과 《부대상황 구문》이 있습니다. 분사구문은 보통 《이유, 양보, 조건, 시간, 부대상황》 따위의 뜻을 갖습니다
[5-1-1] 계속용법의 관계사절 분사구문 분사
계속용법의 관계사절을 분사구문으로 줄여 씁니다.
<본문예제>
[14] Jason loves garlic because it's versatile, meaning it can be used in many different ways.
[설명] 분사구문 『meaning it can be ~』은 계속용법의 관계사절을 분사구문으로 줄여 쓴 것입니다. 원래 문장은 『which means it can be ~ 』 입니다.
[15] And Poul thinks cooking without garlic is unimaginable, meaning it's difficult to imagine because it would be so bad.
[설명] 『meaning it's difficult to ~』의 「meaning ~」은 분사구문으로 계속용법의 관계사절인 'which means ~'를 분사구문으로 줄여 쓴 것입니다.
[5-1-2] 연속 동작 분사구문 분사
주절과 연이어진 짓을 보여주는 분사구문입니다. 주로 and 따위로 연이어진 등위절을 분사구문으로 바꾼 글짜임입니다.
<본문예제>
[42] Here's Sonal Ved, a Mumbai-based cooking-show host and author of many books on Indian cuisine, explaining another reason why Jains avoid garlic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설명] 『explaining another reason ~』은 주로 and로 이어진 등위절을 분사구문으로 만든 것으로 연이어진 동작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5-1-3] being 생략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에서 Being은 주로 생략됩니다. Being이 생략되면 문장에 다양한 변이가 생깁니다.
<본문예제>
[04] It smells delicious sizzling in oil and it's great for keeping vampires away, but don't eat it on a first date!
[설명] 『sizzling in oil ~』은 분사구문으로 접속사와 현재분사 being이 간추려진 형태입니다.
(5-2)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란 동사에 ing를 붙여 만듭니다. 따라서 동사의 현재진행형과, 동명사와 똑같은 v-ing 꼴입니다. 동명사와 달리 현재분사는 거의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현재분사는 ⑴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로서 ⑵ Be 동사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⑶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입니다.
[5-2-1]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는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따라서 명사를 앞 또는 뒤에서 꾸밀 수 있습니다. 명사의 앞에서 꾸며주는 것을 앞-꾸밈[傳位修飾], 명사의 뒤에서 꾸며주는 것을 뒷·꾸밈[後位修飾]이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10] Here is Jason Chan, an Australian chef who specialises in Asian cuisine, and Poul Erik Jensen, a Danish chef living in France, talking about their love of garlic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설명] 『living in ~』은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a Danish chef'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6. 관사
관사는 명사 앞에서 명사를 한정해 주는 형용사의 한 종류입니다. 관사를 별도의 품사로 구분하면 영어는 9품사가 됩니다. 관사를 쓸 때는 특정한 것에는 the(= only one ; the very one)를 쓰고, 임의의 것에는 a(= one among many)를 씁니다.
(6-1) 무관사 관사
명사가 관사를 동반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
[6-1-1] 일상 생활 (3) [병명] 무관사 관사
병명은 일반적으로 무관사입니다. 다만, cold, stroke(뇌졸증), heart attack(심장발작) 그리고 ~ache로 끝나는 병명(headache, toothache 등)에는 부정관사가 붙습니다.
<본문예제>
[34] Everything from cancer, scurvy, the plague, respiratory ailments… it was used as an aphrodisiac.
[설명] 'cancer, scurvy'은 병명이기 때문에 무관사입니다.
7. 명사
명사(名詞, noun)는 흔히 보통, 고유, 집합, 물질, 추상 따위의 5가지로 나누며, 이 가운데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를 셈·명사(可算名詞, Countable, countable noun)와 못셈·명사(不可算名詞, Uncountable, uncoutable noun)로 나눕니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명사 또는 명사말이 이어주는 말뭉치없이 풀이하고, 덧붙여지면 이 둘을 동격이라 합니다.
(7-1)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따로 이어주는 것 없이 병렬로 다루어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풀이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
[7-1-1] 동격의 명사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아무런 잇는 연모없이 병렬로 마무리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설명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사이에 있다고 합니다. .
<본문예제>
[32] Here, BBC presenter Rumella Dasgupta asks author and garlic expert Robin Cherry about garlic's medicinal uses, on BBC World Service's The Food Chain:
[설명] 「BBC presenter」와 「Rumella Dasgupta」는 동격입니다. 또한 「garlic expert」와 「Robin Cherry」도 동격입니다.
[7-1-2] 동격의 콤마 동격 글짜임 명사
동격 관계를 나타내 주는 콤마로 뒤의 내용이 앞의 내용을 덧붙여 풀어 말하거나 한정합니다. 관계대명사의 한정적 쓰임법과 비슷한 구실을 합니다.
<본문예제>
[10] Here is Jason Chan, an Australian chef who specialises in Asian cuisine, and Poul Erik Jensen, a Danish chef living in France, talking about their love of garlic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설명] 「Jason Chan」과 「an Australian chef」가 동격입니다. 콤마가 동격을 나타냅니다. 「Poul Erik Jensen」과 「a Danish chef」도 동격입니다
8.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 쓰임·법에 여러가지 다른 문법적 쓰임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손꼽히는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짜주어 it(it to, it that글짜임), 가짜목적어 it(it to, it that 글짜임), 분열문(it be that 강조 글짜임) 따위가 있습니다.
(8-1) 가짜-주어 it it
주어가 길 때 주어 자리에 형식적인 주어 it를 놓고 내용상 주어를 문장 뒤로 뺍니다. 흔히 [it+be+형용사] 글짜임으로 쓰입니다.
[8-1-1] it be 형용사 to 글짜임 가짜-주어 it it
to부정사(구)가 문장의 주어일 때 it를 형식·주어로 앞에 세우고 진짜 주어인 to부정사(구)를 뒤에 오게 합니다. 이러한 글짜임을 it to 형식·주어(假주어) 구문이라고 합니다. to부정사구가 주어이고 형용사가 보어[補語, complement]일 때 [be+형용사+to]의 짜임새를 씁니다.
<본문예제>
[15] And Poul thinks cooking without garlic is unimaginable, meaning it's difficult to imagine because it would be so bad.
[설명] 『it's difficult to ~』는 to부정사(구)가 문장의 진짜·주어(眞주어)입니다. 형용사가 보어[補語, complement]일 때 대체로 이러한 글짜임을 갖습니다.
[8-1-2] it that 글짜임 가짜-주어 it it
that 명사절이 진짜 주어인 it 가짜 주어 구문입니다.
<본문예제>
[20] It's a little-known fact that of the 600 varieties of garlic, many grew only in the former Soviet Union and were unavailable in the West until the fall of communism in the 1990s.
[설명] 이 월(=文章)은 「that of the 600 varieties of garlic, many grew ~」 that 명사절이 진짜주어인 「it 가짜주어」 글짜임입니다.
[8-1-3] V-ing 구문 가짜-주어 it it
문장의 주어가 동명사(V-ing형)일 경우 it를 가짜`주어로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3] Yeah, it's unimaginable not using garlic.
[설명] 이 문장은 동명사가 진짜`주어인 it 가짜`주어 글짜임입니다. 진짜`주어는 「not using garlic」입니다.
9. 낱말·구·마디
낱말은 구, 마디와 함께 문장을 이루는 문장구성단위(Sentence Fragment)입니다. 낱말(word)은 뜻과 품사를 갖는 문장의 가장 작은 구성단위이고, 구(句, phrase)는 여러 개의 낱말이 모여 어떤 뜻과 품사를 갖는 낱말 뭉치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주어와 동사를 갖고 있으며, 관계사나 접속사에 의해 다른 문장의 속으로 들어갑니다. 문장의 구성단위가 되는 절(=마디)은 종속절을 말합니다. 낱말/구/마디[節, clause]는 품사를 갖고, 문장 성분을 구성합니다. 마디는 절(節)의 토박이 우리말입니다.
(9-1) many 낱말·구·마디
어원적 뜻으로는 “많은 수의 유닛이나 사람이 있는 또는 이루어진”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셀 수 있는 명사에 씁니다. '많은'이란 뜻의 형용사로 주로 쓰이고 명사 또는 대명사로도 쓰입니다.
[9-1-1] 명사, 대명사 many 낱말·구·마디
many가 명사 또는 대명사로 쓰일 때는 '많은 사람들', 또는 '많은 것들'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복수로 여겨줍니다.
<본문예제>
[20] It's a little-known fact that of the 600 varieties of garlic, many grew only in the former Soviet Union and were unavailable in the West until the fall of communism in the 1990s.
[설명] 『many grew only ~』의 many는 명사/대명사로 '많은 사람들/것들'이란 뜻입니다.
(9-2) plague 낱말·구·마디
plague는 역병, 전염병의 의미로 쓰일때는 불가산명사로 관사없이 쓰지만 the ~와 같이 정관사와 함께 쓰이면 역사적 전염병 즉, 페스트를 가리킵니다. 구어적으로 '성가신 사람, 귀찮은 일, 고생거리' 등의 뜻으로 쓰일 때는 관사를 씁니다.
[9-2-1] the plague plague 낱말·구·마디
plague가 the ~와 같이 정관사와 함께 쓰이면 역사적 전염병 즉, 페스트를 가리킵니다.
<본문예제>
[34] Everything from cancer, scurvy, the plague, respiratory ailments… it was used as an aphrodisiac.
[설명] plague가 the ~와 같이 정관사와 함께 쓰이면 역사적 전염병 즉, 페스트를 가리킵니다.
10. 분열문
문장의 얼마를 강조하기 위해 쓰는 글짜임입니다. 《It is/was ~ that ~》이 손꼽히며 때로는 that 갈음으로 when 따위를 사용합니다. 강조할 수 있는 문장성분은 주어, 목적어, 부사(구, 절)입니다. 보충·어[補語, complement]와 동사`말은 강조할 수 없습니다.
(10-1) it be 분열문 분열문
「It is/was ~ that ~」 꼴은 손꼽히는 분열문 글짜임으로 강조하고자 하는 말구를 that 앞에 넣어 하나의 관계대명사절을 만듭니다.
[10-1-1] It is ∼ that … 강조구문 it be 분열문 분열문
분열문은 It is ∼ that … 강조구문이라고도 하며, it is/was 와 that 사이의 내용(focus, focal point/position)을 강조하기 위하여 문장의 다른 요소와 분리하기 때문에 분열문(Cleft Sentence)이라고도 합니다. 강조할 수 있는 대상은 주어, 목적어 및 부사이며 동사와 보어는 강조할 수 없습니다. 구어체에서 that은 생략되기도 합니다. 주어가 사람일 경우 that 대신에 who를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30] It was the Roman Empire that brought garlic to European countries like France.
[설명] 이 문장은 주어를 강조하는 it that 강조 구문입니다. 원래 문장은 'The Roman Empire brought garlic to European countries like France.'입니다.
11.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11-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11-1-1]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생략되었습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생략됩니다.
<본문예제>
[15] And Poul thinks cooking without garlic is unimaginable, meaning it's difficult to imagine because it would be so bad.
[설명]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48] For example, you might abstain from tobacco or alcohol because you know they're bad for your health.
[설명] 'you know'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2.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말합니다.
(12-1)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4형식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쓰이는 동사를 수여동사 또는 여격동사라고 합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주다'라는 뜻을 품고 있지만, 아니기도 합니다.
[12-1-1] 수여 동사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4형식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대수로운 4형식 동사에는 give, send, pass, lend, tell, show, deliver, throw, offer 따위가 있습니다. 이들 동사 밖에도 많은 동사들이 수여 동사의 구실을 하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54] I asked you which variety of garlic grew in the former USSR.
[설명] 이 월(=文章)은 ask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you, 직접목적어는 which 절입니다.
13. 정보 구조 구성
문장의 뜻은 그대로 두고, 정보의 초점을 바꾸는 어순 조정 장치. 즉, 문장에서 주어진 정보(given information)와 새로운 정보(new information)의 흐름을 조정하기 위해 어순이나 구조를 바꾸어 화제(theme)와 초점(focus)을 명확히 드러내는 문법적 장치입니다. 여기에는 Fronting(전치) , Inversion(도치), Cleft / Pseudo-cleft, Extraposition, Dislocation 등 5개의 범주가 있습니다.
(13-1) Fronting (전치) 정보 구조 구성
Fronting 은 문장 안의 어떤 성분(예: 전치사명사구, 부사구, 목적어 등)을 글머리로 옮겨 화제를 만들거나 주제화 하여 대조·강조 효과를 주는 문장 구조입니다. 즉, “Fronting은 문장의 한 성분을 앞에 내세워 주제(theme)나 초점(focus)을 부각시키는 어순 변화를 말합니다.
[13-1-1] 부사구+주어+동사 [부사어구 전치(前置, Fronting)] Fronting (전치) 정보 구조 구성
깅조하고 싶은 부문을 문장의 앞 부분으로 옮기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부사어구를 강조하고 싶을 때 많이 활용합니다.
<본문예제>
[29] For centuries, garlic was an important food throughout ancient Egypt, Greece and Rome, as well as India and China.
[설명] 부사구 「For centuries,」를 강조를 위해 글머리로 옮겼습니다. 이것을 전치(前置, fronting)이라고 합니다.
[13-1-2] 전치사명사구 전치 Fronting (전치) 정보 구조 구성
「A of B」와 같은 구조의 명사구를 「of B, A」의 형태로 쓰는 글짜임입니다. 주로 뒤의 '전치사+명사'구가 한정적인 뜻을 가질 경우에 문맥에서 A에 초점(focus)를 주고 싶을 때 씁니다. 앞으로 이동 한 다음에 일기 쉽게 콤마를 더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0] It's a little-known fact that of the 600 varieties of garlic, many grew only in the former Soviet Union and were unavailable in the West until the fall of communism in the 1990s.
[설명] 『of the 600 varieties of garlic, many』에서 「of the 600 varieties of garlic」는 전치(fronting)된 전치사명사구로 문장에서 「many」에 초점을 주고 싶을 때 이렇게 씁니다. 원래는 『many of the 600 varieties of garlic』였습니다.
14.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14-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꾸밈말이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고릅니다.
[14-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11] I love garlic because it's a versatile ingredient that can be used for cooking and offers various health benefits.
[설명] 『that can be used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a versatile ingredien'입니다.
(14-2)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가 be동사와 함께 쓰이거나,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 있는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려 뺼 수 있습니다.
[14-2-1] 목적격 which/that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빼고 써도 됩니다. 명사 뒤에 접속사 없이 《주어 + 동사》가 왔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문예제>
[41] Jains don't eat garlic because uprooting the plant kills both it and the soil ecosystem it grows in.
[설명] 선행(명)사 'the soil ecosystem'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14-3) which 제한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14-3-1] 주격 which 제한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3] According to Hinduism also, garlic is considered a food which is called a 'tamasic' food.
[설명] 『which is called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a food'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 쓰임법입니다.
(14-4)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반드시 사람을 선행(명)사로 합니다. 목적격은 whom이고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wh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o는 한정용법(제한용법) 계속 용법 모두 있습니다.
[14-4-1] 제한적 용법 who 관계대명사
who가 계속용법이면 and(또는but)+he/she/they 따위의 주격의 인칭대명사와 똑같은 몫을 합니다. who는 주격의 꼴이지만 흔히 whom을 갈음하기도 합니다. whom 갈음으로 쓰였다면 인칭대명사는 him, her, them 따위와 같이 목적격이어야 합니다.
<본문예제>
[10] Here is Jason Chan, an Australian chef who specialises in Asian cuisine, and Poul Erik Jensen, a Danish chef living in France, talking about their love of garlic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설명] 『who specialises in ~』의 who는 한정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an Australian chef'입니다.
15.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한꺼번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디[節, clause](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15-1) 종류 관계부사
관계부사에는 where, when, how(the way), why 따위가 있습니다.
[15-1-1] why 종류 관계부사
관계부사 why의 선행(명)사는 reason 뿐이며, 계속용법은 없습니다. 선행(명)사 the reason은 생략될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42] Here's Sonal Ved, a Mumbai-based cooking-show host and author of many books on Indian cuisine, explaining another reason why Jains avoid garlic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설명] 『why Jains avoid ~』는관계부사 why가 이끄는 관계사절입니다. 선행(명)사는 'another reason'입니다.
[38] But interestingly, this was the same reason why some cultures avoided eating garlic altogether, including a religious group from India called Jains.
[설명] 『why some cultures avoided ~』는관계부사 why가 이끄는 관계사절입니다. 선행(명)사는 'the same reason'입니다.
(15-2) 선행사 생략 관계부사
선행사가 일반적인 선행사 즉 the time, the place, the reason, the way 등일 경우 선행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단, how는 반드시 생략해야 하며, when은 선행사가 생략되면 접속사 when의 기능만 남게 됩니다.
[15-2-1] the reason 생략 [why] 선행사 생략 관계부사
관계부사 why의 선행사 the reason은 셍략할 수 있습니다. the reason이 생략되면 관계부사 why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why와 구분이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문맥으로 구분합니다.
<본문예제>
[45] And that's why they abstain from eating those kinds of food: because it is believed to impact your spiritual growth and also your mental clarity.
[설명] 『why they abstain ~』 절은 why 관계부사절로 선행(명)사 'the reason'이 생략되었습니다.
16. 종속접속사
종속접속사란 문장 안에 들어가 명사, 형용사, 부사 따위의 품사적 노릇을 하는 종속절을 이끄는 접속사를 말합니다.
(16-1) 종속접속사^ 종속접속사
종속절을 이끌어 그 종속절을 주절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접속사입니다. 종속절은 명사절일 수도 있고 또는 형용사절이거나 부사절일 수 있습니다. 종속절의 품사를 알면 문장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6-1-1] 부사절 종속접속사^ 종속접속사
종속접속사가 이끄는 절을 종속절이라고 합니다. 종속절은 명사절일 수도 있고 또는 형용사절일 수도 있지만 대개는 부사절입니다. 대부분의 종속접속사는 종속절(부사절)을 이끌어 주절에 연결시켜 복문(複文, complex sentence)을 만듭니다.
<본문예제>
[31] And everywhere garlic grew, it was praised for its health-giving powers.
[설명] 『everywhere garlic grew』의 everywhere는 접속사입니다. '모든 곳에서, 어디서나'와 같은 뜻의 종속 부사절을 이끕니다.
17.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17-1) whether 접속사
접속사 whether는 if와 함께 의문사가 들어 있지 않은 의문문의 간접의문문(의문사절)을 만듭니다. 이 때의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 됩니다.
[17-1-1] (whether) A (주어) or B 양보절 축약형 구문 whether 접속사
「whether A 주어 or B 양보절」 구문에서 whether나 주어가 간추려진 형태로 {동사 or} 구조로 쓰입니다. 이것은 주어와 접속사가 간추려진 관용된 구조입니다.
<본문예제>
[16] Love garlic or hate it, in this episode we'll be finding out more about this versatile, strong-smelling food.
[설명] 『Love garlic or hate it』는 「whether A 주어 or B 양보절」 구문에서 whether나 주어가 생략된 형태로 「동사 or」 구조입니다.
(17-2) so 접속사
So가 단독으로 접속사로 사용되면 등위 접속사로 쓰입니다. Therefore, with the result that 등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17-2-1] 대답(그래서) so 접속사
So는 상대방의 반응을 보거나 대답하면서 '그래서, 그렇다면' 정도의 속내로 문장을 있는 등위 접속사입니다.
<본문예제>
[36] An ailment is another word for an illness or minor health problem, so a respiratory ailment is an illness of the lungs.
[설명] so는 상대방의 반응을 보거나 대답하면서 '그래서, 그렇다면' 정도의 속내로 문장을 잇는 등위 접속사입니다.
18. 의문사
의문사에는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에는 who, whose, whom, what, which 따위가 있고 의문부사에는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의문 대명사와 의문 부사는 쓰임법이 거의 같습니다.
(18-1) 의문한정사 의문사
의문한정사에는 which, what, whose 따위가 있습니다. whose는 who의 소유격이며, what과 which는 명사를 꾸미는 짜임을 갖습니다. 이 때 which는 대상이 정해진 것(일정수) 가운데 어느 것(또는 어느 누구)을 물을 때 고르고 what은 대상이 정해지지 않는 상태(부정수, 否定數) 가운데 어느 것(또는 어느 누구)을 물을 때 골라집니다.
[18-1-1] which 의문한정사 의문사
which는 명사를 한정해서 꾸며줍니다. 이 때 which는 대상이 정해진 것(일정수) 가운데 어느 것(또는 어느 누구)를 물을 때 씁니다.
<본문예제>
[54] I asked you which variety of garlic grew in the former USSR.
[설명] 『which variety of ~』의 which는 의문형용사(한정사)입니다.
19. 마디[節, clause]
《주어 + 동사》를 갖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요소로 쓰이는 것을 종속절(節, Clause)이라고 합니다. 마디[節, clause]는 절의 우리 말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구성된 모습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따위로 말하기도 하고, 품사 쓰임새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19-1) if 명사절 마디[節, clause]
if접속사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흔히 yes/No 꼴의 의문문을 간접의문문으로 바꿀 때 접속사 if를 씁니다.
[19-1-1] 목적어 if 명사절 마디[節, clause]
접속사 if가 이끄는 명사절이 문장에서 목적어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27] We'll find out if you're right at the end of the programme.
[설명]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401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softca.tistory.com/3402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3403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404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https://softca.tistory.com/3405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406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입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3401
[끝]
'BBC 6분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분영어] How important is play? - 금주(2025-11-13) 의 BBC 러닝잉글리시 다운로드 PDF 파일 목록 (0) | 2025.11.17 |
|---|---|
| 구동사(Phrasal Verb) 공부하기 - Do you like garlic?, 금주의 BBC 러닝잉글리시 (1) | 2025.11.13 |
| [BBC 영어] 6분영어, 금주의 어휘 - Do you like garlic? (0) | 2025.11.12 |
| BBC 러닝잉글리시 문법강좌 Do you like garlic? - BBC 6분영어 문법 (0) | 2025.11.11 |
| Do you like garlic? - BBC 6분영어 강좌 [영어독해공부] (1) | 2025.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