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Can cows prevent wildfires? [BBC 6분 영어]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728x90

In Spain, a special species of cow has been reintroduced to the wild to help prevent wildfires. A cow firefighter? Now I've 'herd' everything! Neil and Beth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스페인에서는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 특별한 종의 소를 야생에 재도입했습니다. 소 소방관? 이제 모든 것을 '무리'로 만들었습니다! 닐과 베스가 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새로운 어휘를 알려드립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분사(12), 관계대명사(7), 준동사(4), 동사(3),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2), 동사: 디렉시칼동사(2), 부정사(2), that(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비교 구문, 전치사, 전치사(명사)구, 접속사, 종속접속사, 가정법, 관계부사, 마디[節, clause]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Can cows prevent wildfires?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홀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 다루어집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스스로는 노릇(=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몫을 맡아 합니다.

(1-1) 품사 쓰임새[用法]: 부사  부정사
to 부정사의 부사적 쓰임·법에는 목적(~하기 위해서, 하려고), 원인, 이유(~해서, ~때문에), 결과(결국 ~ 했다. ~해서 ~하다), 판단의 근거(~하는 것을 보니, ~한다면), 조건(; ~한다면, ~해 본다면), 형용사 한정(~하는데, ~하기에) 따위가 있습니다.

[1-1-1] 목적  품사 쓰임새[用法]: 부사  부정사
「∼하기 위하여」, to 부정사 부사적 쓰임새 가운데 목적에 해당되는 쓰임·법으로 「∼하기 위하여」라는 뜻을 갖습니다.

<본문예제>
[29]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the forests have been left to grow unchecked as there simply aren't enough animals to feed on all the trees, bushes and grass.
[설명] 『to feed on all ~』은 to부정사의 부사적용법(목적)입니다. '~하기 위하여'의 속내를 나타냅니다.


[1-1-2] 문장부사  품사 쓰임새[用法]: 부사  부정사
to부정사가 글머리에 와서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문장부사로 쓰입니다.

<본문예제>
[14] Not quite, Beth, but you're right about the fires, or wildfires to be exact.
[설명] 「to be exact」는 to부정사구로 문장부사로 쓰였습니다.




2.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동사는 문장의 뼈대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짜여지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과 같은 5개의 꼴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쓰이거나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2-1) 동사+동명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동명사가 동사 뒤에 와서 목적어가 되거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됩니다.

[2-1-1] 동사+목적어+from+V-ing  동사+동명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stop(비격식체), prevent 뒤에는 대체로 목적어+from+ing형을 씁니다.

<본문예제>
[34] If something is left unchecked, nobody controls it or prevents it from increasing.
[설명] 『prevents it from increasing』은 [prevent A from ~ing] 글짜임으로 '[주어]가 [목적어]를 [~ing]하지 못하게 하다'라는 속내를 가진 익은 글짜임입니다.,


(2-2) 동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몇몇 동사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받거나,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가져 옵니다.

[2-2-1] 동사+to부정사  동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많은 동사가 (to)부정사를 받아서 「동사+to부정사」의 틀을 만듭니다. 몇몇 동사는 「동사+목적어+(to)부정사」의 틀을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동사 중 몇몇은 부정사 대신에 V-ing을 받기도 하는데, 이 때는 뜻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동사가 사역동사이면 원형부정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19] And remember, if you like to read along as you listen to the programme, you'll find a script on our website, bbclearningenglish.com.
[설명] 『like to read ~』는 「like+to 부정사] 글짜임으로 동사 like가 to부정사 'to read'를 목적어로 가져갑니다.


3. 동사
동사는 문장의 뼈대가 되는 요소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되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 등 5개의 활용형(活用形, conjugation)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또는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어)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이나 행위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3-1) 연결동사  동사
연결동사는 주어를 다시 뜻매김하거나 풀어 말하려고 할 떼 골라 쓰는 동사입니다. 연결 동사는 주어를 주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에 이어주기 때문에 연결동사라고 합니다. 연결동사는 “주어가 무엇을 하려는 지(=3형식 문장)”가 아니라, “주어가 무엇인지(=2형식 문장)를” 말합니다.

[3-1-1] 낱말 연결동사  연결동사  동사
연결동사란 2형식의 문장(주어+동사+보어)에서 사용되는 동사로, 상태 동사 또는 불완전자동사라고도 합니다. 보어로는 형용사와 명사를 취하며. 연결동사는 기능상으로 주어의 존재와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동사(be동사 유형)와 변화를 보여 주는 동사(become 동사 유형)로 구분합니다. 순수하게 연결 기능한 수행하는 동사 외에 일부 동작 동사는 문장에 따라 연결동사 기능을 수행합니다.

<본문예제>
[29]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the forests have been left to grow unchecked as there simply aren't enough animals to feed on all the trees, bushes and grass.
[설명] 『grow unchecked』의 grow는 2형식 연결동사입니다.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unchecked'입니다.


[3-1-2] become 유형(상태의 변화)  연결동사  동사
주어(행위자)의 모양이 바뀌는 모습을 보여주는 연결동사입니다. become, grow, turn, get 따위가 여기에 들어맞습니다.

<본문예제>
[33] Many European forests have grown unchecked.
[설명] 『have grown unchecked』의 grow은 2형식 문장을 만드는 연결동사로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34] If something is left unchecked, nobody controls it or prevents it from increasing.
[설명] 『is left unchecked』의 leave는 2형식 문장을 만드는 연결동사로 '상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4. 준동사
준동사(準動詞)란 흔히 「동사의 활용」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말 그대로 동사에 준(準)하지만 동사는 아닌 문장요소를 말하며, 영어로는 verbid 또는 verbal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to) 부정사, 동명사, 분사(현재분사, 과거분사) 따위가 여기에 들어갑니다. 준동사는 문장 안에서는 명사(또는 형용사, 부사)로 다루어야 하지만, 동사로서의 바탕은 그대로 갖고 있기 때문에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 또는 수식어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4-1) 동사+준동사 구문  준동사
준동사는 명사나 형용사의 품사를 가지므로, 문장에서 목적어가 되거나 목적어보어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때 동사에 따라 (to)부정사와 동명사를 제한 없이 쓸 수도 있고, 어느 한쪽만 쓸 수도 있습니다. 또 두 개를 다 쓸 수 있는 경우라도 그 뜻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29]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the forests have been left to grow unchecked as there simply aren't enough animals to feed on all the trees, bushes and grass.
[설명] 『have been left to grow ~』의 동사 leave가 to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35] The problem is that when trees, grass and vegetation are left to grow, they're more likely to catch fire.
[설명] 『are left to grow』의 동사 leave가 to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40] And as numbers of grazing wild animals decrease, forest and grasslands continue to grow unchecked, leading to the large wildfires which now regularly happen in Spain.
[설명] 『continue to grow』의 동사 continue가 to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40] And as numbers of grazing wild animals decrease, forest and grasslands continue to grow unchecked, leading to the large wildfires which now regularly happen in Spain.
[설명] 『grow unchecked』의 동사 grow가 to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5.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제멋대로 바뀌기도 합니다.

(5-1)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은 분사가 뼈가 되어 주절 모두를 부사말로 꾸며주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주절 모두를 꾸민다는 것이 대수로운데, 여기에서 분사구와 나뉩니다. 분사 구문은 《현재분사 구문》과 《과거분사 구문》으로 나뉘며, 또 다른 꼴로.는 《독립 분사구문》과 《부대상황 구문》이 있습니다. 분사구문은 보통 《이유, 양보, 조건, 시간, 부대상황》 따위의 뜻을 갖습니다

[5-1-1] 계속용법의 관계사절  분사구문  분사
계속용법의 관계사절을 분사구문으로 줄여 씁니다.

<본문예제>
[47] What's more, by wandering freely around the forest they trample down dead trees, reducing the amount of flammable, meaning easily burned, vegetation.
[설명] 분사구문 『meaning easily burned ~』는 계속용법의 관계사절을 분사구문으로 줄여 쓴 것입니다. 원래 문장은 『which means ~』 입니다.




[5-1-2] 덧붙임[附帶狀況]  분사구문  분사
'~하면서'의 뜻, 분사구문이 주절과의 동시에 나타나는 상황임을 나내냅니다. 주로 as나 while마디[節, clause]를 분사구문으로 바꾼 것입니다.

<본문예제>
[47] What's more, by wandering freely around the forest they trample down dead trees, reducing the amount of flammable, meaning easily burned, vegetation.
[설명] 『reducing the amount of ~』는 '~하면서'의 뜻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입니다. 주절과 같은 때의 상황을 나타내 줍니다. 거의 as나 while 절이 분사구문이 된 부사구입니다.


[5-1-3] 주어 표시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르면 주어를 표시해야 합니다.

<본문예제>
[45] Tauros eat everything from grass and leaves to tree branches and bark, each consuming over 30 kilos a day.
[설명] 『each consuming over ~』는 분사구문으로 분사구문의 주어 each가 나타나 있습니다.


[5-1-4] being 생략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에서 Being은 주로 생략됩니다. Being이 생략되면 문장에 다양한 변이가 생깁니다.

<본문예제>
[42] Supported by Rewilding Spain, Pablo has reintroduced herds of tauros - the species of cow similar to the now-extinct wild aurochs, the ancestor of the modern domestic cow - into the forests of central Spain.
[설명] 『Supported by ~ 』은 분사구문으로 being이 간추려진 형태입니다.


(5-2) 과거분사  분사
몇몇 불규칙 동사를 빼고는, 동사에 -ed를 붙여 만듭니다. 시제로 쓰이면 have 동사와 함께 과거 완료형 시제를 만들고, 시제와 관련 없이 쓰일 때는 형용사의 노릇을 합니다. 주로 수동과 완료의 뜻을 갖습니다.

[5-2-1] 명사의 뒷·꾸밈[後位 修飾]  과거분사  분사
분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줍니다. 특히 수식어나 목적어 따위를 가지고 있는 분사 즉 분사구는 앞에서 꾸며 줄 수가 없으므로, 뒤에서 꾸며 줍니다. 과거분사 앞에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빠져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본문예제>
[27] Thanks to increasing temperature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wildfires happening today are more intense and more destructive than ever before.
[설명] 『caused ~』는 과거분사(구)로 'increasing temperatures'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06] The show's hero was a dog named Lassie.
[설명] 『~ named』는 과거분사(구)로 'a dog'를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5-3)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란 동사에 ing를 붙여 만듭니다. 따라서 동사의 현재진행형과, 동명사와 똑같은 v-ing 꼴입니다. 동명사와 달리 현재분사는 거의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현재분사는 ⑴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로서 ⑵ Be 동사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⑶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입니다.

[5-3-1]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는 형용사처럼 쓰입니다. 따라서 명사를 앞 또는 뒤에서 꾸밀 수 있습니다. 명사의 앞에서 꾸며주는 것을 앞-꾸밈[傳位修飾], 명사의 뒤에서 꾸며주는 것을 뒷·꾸밈[後位修飾]이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11] In this programme, we'll be discussing some real-life animals helping people in trouble.
[설명] 『helping ~』은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some real-life animals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7] Thanks to increasing temperature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wildfires happening today are more intense and more destructive than ever before.
[설명] 『happening ~』은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the wildfires'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28] Here, Craig Langran, reporter for BBC World Service programme, People Fixing the World, discusses the problem with Pablo Schapira, of Rewilding Spain, an organisation combating wildfires in central Spain:
[설명] 『combating ~』은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an organisation'을)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13] Well, now I have a picture in my head of a cow wearing a fireman's helmet, but I guess that's not what you mean, Neil.
[설명] 『wearing a ~』는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a cow'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7] To graze means to eat grass and other wild plants, and grazers are the animals, including horses, cows and goats, which do this.
[설명] 『including horses ~』는 현재분사 글짜임으로 'the animals'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





[5-3-2] 부사적 용법  현재분사  분사
현재분사가 문장에서 부사·말로 쓰이는 쓸모를 말하며, 흔히 분사구 또는 분사구문이라고 합니다. 대부분 콤마와 함께 꼴을 갖추고 있지만 일부는 문장 내에서 콤마가 없이 부사구로 쓰이기도 하므로, 형용사로 쓰이는 일반적인 현재분사와는 글발(文脈)으로 가려야 할 판이 많이 있습니다.

<본문예제>
[07] And Lassie went round helping people in trouble.
[설명] 『helping ~』은 현재분사로 부사말(구)로 쓰이고 있습니다. 동사 'went round'를 꾸며줍니다. '도우면서'의 뜻을 갖습니다.


6. 동사: 디렉시칼동사
make, have, take, give, get, do 따위의 동사가 동작을 품은 명사와 맞추어 새로운 (술어)동사구를 만듭니다. 짜맞추는 꼴은 《동사+관사(또는 소유격 인칭대명사)+명사》입니다. 이 때 앞의 동사는 디렉시칼 동사(delexical verb)라고 하고, 뒤의 명사는 그냥 쉽게 "동작명사"라고 합니다.

(6-1) 디렉시칼 동사  동사: 디렉시칼동사
make, have, take, give, get, do 따위의 동사가 움직임을 품은 명사와 묶여 새로운 동사를 만듭니다. 묶임 꼴은 《동사+관사(또는 소유격 인칭대명사)+명사》입니다. 이 때 앞의 동사는 디렉시칼 동사(delexical verb)라고 하고, 뒤의 명사는 그냥 쉽게 "동작명사"라고 합니다.

[6-1-1] have  디렉시칼 동사  동사: 디렉시칼동사
동사 have가 동작명사를 목적어로 가져오면 명사를 동사처럼 씁니다. 이때, have의 뜻은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have를 디렉시칼 동사라고 합니다.

<본문예제>
[13] Well, now I have a picture in my head of a cow wearing a fireman's helmet, but I guess that's not what you mean, Neil.
[설명] 『have a picture』는 have 디렉시컬 동사 글짜임입니다. '그림을 그리다'라는 뜻입니다.


[20] But now I have a question for you, Beth.
[설명] 『have a question』은 have 디렉시컬 동사 글짜임입니다. '질문하다'라는 뜻입니다.


7. 전치사(명사)구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로 짜여지며 흔히 부사구와 형용사구로 쓰입니다. 영어로 Prepositional Phrase이라 합니다. 전치사 노릇을 하는 구(Phrase)인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와 가름하려고 「전치사명사구(전명구)」란 말을 씁니다. 한국에서는 흔히 전치사구라고 부릅니다.

(7-1) 형용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로 짜여진 구가 형용사로 쓰일 때, 2형식 문장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 5형식의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따위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사가 꾸며줄 수 있습니다.

[7-1-1]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형용사구  전치사(명사)구
샘김새는 《전치사+목적어》 구의 모습이면서 문장에서 형용사로 쓰이는 구(句)를 말합니다. 명사를 꾸미거나 보어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07] And Lassie went round helping people in trouble.
[설명] 『in trouble』은 전치사명사구로 형용사의 쓸모를 합니다. people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8. 가정법
말하는 이의 기분(mood)을 기준으로 가령 '~한다면'의 느낌을 가지면 가정법을 씁니다. 가정법은 (주절의) 동사의 시제를 기준으로 가정법 현재,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 완료, 가정법 미래 등으로 구분합니다.

(8-1) 가정법 과거  가정법
가정법 과거는 현재사실에 대한 가정[假定]하는 글짜임입니다. if 절에 동사의 과거형(be 동사는 were)을 쓰고, 결과절(주절)에 조동사의 과거형(should, would 등)이 맞게 쓰입니다.

[8-1-1] 현재사실의 반대  가정법 과거  가정법
현재 사실에 반대되는 가정(假定). 현재 또는 미래에서의 실현성이 너무나 희박한 판의 가정(假定)에 쓰입니다. 주절은 동사의 과거형(be 동사는 were), 결과절은 조동사의 과거형이 쓰입니다.. [If + 주어 + 동사의 과거형 ~, 주어 +조동사의 과거형 + 동사원형 ···.]

<본문예제>
[09] Well, if you watched Lassie as a child, you might also remember the TV shows, Flipper the Dolphin, and Skippy the Kangaroo.
[설명] 이 월(=文章)은 《가정법 과거》 글짜임입니다.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假定)합니다.




9.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말을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9-1) by  전치사
전치사 by는 근접과 힘의 전치사입니다. A by Y의 관계에서 기본 개념은 힘과 그 힘의 근접에 의한 영향력입니다. 즉, A가 B의 영향이 미치는 곳에 있을 때 by가 쓰입니다. 연못에 돌이 B의 곳에 떨어졌다고 가정하면 돌이 떨어진 곳에서부터 파장일 일 것이고 그 파장의 영역권 안에 A가 있다면 A는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 관계가 A by B의 기본 개념입니다.

[9-1-1] by V-ing 글짜임  by  전치사
by 뒤에 동명사를 써서 '-함으로써, -해서, -(하는 것)으로'라는 속내를 나타냅니다. 「by V-ing ~」 는 앞에 나온 내용을 실행하는 방법이나 수단을 설명합니다.

<본문예제>
[47] What's more, by wandering freely around the forest they trample down dead trees, reducing the amount of flammable, meaning easily burned, vegetation.
[설명] 『by wandering freely around ~』의 「by V-ing ~」 글짜임은 앞에 나온 내용을 실행하는 방법이나 수단을 설명합니다. '-함으로써, -해서, -(하는 것)으로'라고 풀어줍니다.


10. 비교 구문
형용사, 부사의 비교 변화에는 원급(Positive degree), 비교급(Comparative degree), 최상급(Superlative degree)이 있고, 비교급은 다시 동등비교(more ~ than)와 열등비교(less ~ than)로 나뉩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은 1 소리마디와 몇몇 2 소리마디는 ~er, ~est를 붙여 만들고, 그 밖의 2 소리마디와 그 보다 많은 소리마디를 갖는 낱말에는 more와 most를 원급에 붙입니다.

(10-1) 비교급  비교 구문
비교급은 ~er를 붙여 만들거나 more를 형용사/부사 앞에 붙여 사용합니다. 몇몇 낱말은 제멋대로 버뀌기도 합니다. 비교급은 「비교급 ~ + than ~」 글짜임을 씁니다. 비교 과녁은 명사구, 부사, 마디[節, clause] 따위입니다. 비교 문장에서 크게 보아 than 다음에 또 다시 나오는 낱말이나 뻔한 내용, 「주어 + 동사」는 거의 뺍니다. as ~ as 글짜임을 빌린 원급 비교 글짜임은 동등비교문이라고도 합니다.

[10-1-1] The + 비교급, the + 비교급  비교급  비교 구문
「the+비교급+주어+동사, the+비교급+주어+동사」 문형으로 「~하면 할수록 더욱 … 하다」의 의미를 갖습니다. 앞의 the는 관계부사이고 뒤의 the는 지시 부사입니다. 비교급 뒤에 명사가 올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30] And the more dense this vegetation is, the more likely it is to catch fire.
[설명] 이 월(=文章)은 「the 비교급+S+V, the 비교급+S+V」 글짜임으로 「~하면 할수록 더욱 … 하다」의 뜻을 갖습니다. .


11.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11-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11-1-1]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13] Well, now I have a picture in my head of a cow wearing a fireman's helmet, but I guess that's not what you mean, Neil.
[설명] 'I gues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38] In English, you can also say a person is grazing if they continually eat snacks or little bites of food.
[설명] say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12.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12-1) what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는 관계대명사로 the thing(s) which의 뜻을 갖습니다. 또한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따위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기 때문에 what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입니다.

[12-1-1] 목적격  w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은 주격과 목적격에 글자가 바뀌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이 관계사절의 목적어일 때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됩니다.

<본문예제>
[31] What we had before in our ecosystems here in Europe is that we had big grazers: we had bison, we had tauros, we had wild horses.
[설명] 『What we had before ~』는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12-1-2] 문장성분 보어  w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은 명사절인 종속절을 만듭니다. what 명사절은 문장에서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끌모를 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3] Well, now I have a picture in my head of a cow wearing a fireman's helmet, but I guess that's not what you mean, Neil.
[설명] 『what you mean』은 w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절의 문장성분은 보어입니다.


(12-2) which 계속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가 계속용법으로 쓰일 때는 「and that/it」의 몫을 합니다. 여기서 that 또는 it는 선행(명)사를 말합니다. 관계대명사에서 선행(명)사는 두 문장을 연결하는 고리로, 바탕은 명사(구)입니다. 그런데 계속용법에 사용된 which는 that 또는 it 대명사의 성질을 갖고 있어, 명사 뿐 이니라 앞의 문장 전체 또는 일부를 선행(명)사로 받기도 합니다.

[12-2-1] 주격  which 계속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주격과 목적격의 글자가 다르지 않습니다. which가 딸린마디[從屬節, clause]에서 주어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37] To graze means to eat grass and other wild plants, and grazers are the animals, including horses, cows and goats, which do this.
[설명] 『which do this』에서 which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쓰임법으로 격은 주격입니 선행(명)사는 'horses, cows and goats'입니


[40] And as numbers of grazing wild animals decrease, forest and grasslands continue to grow unchecked, leading to the large wildfires which now regularly happen in Spain.
[설명] 『which now regularly ~』 글짜임의 which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쓰임법으로 격은 주격입니다. 선행(명)사는 'the large wildfires'입니다.


(12-3)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반드시 사람을 선행(명)사로 합니다. 목적격은 whom이고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wh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o는 한정용법(제한용법) 계속 용법 모두 있습니다.

[12-3-1] 의인화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whom/whose는 사람을 선행(명)사로 하는 관계사입니다. 그러나 비록 사물이 선행명사이더라도 이를 사람인 것처럼 취급하는 의인화 표현일 때는 who/whom/whose을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10] The stars of these shows were animals who would also come to the rescue of humans in trouble.
[설명] 『who would also ~』의 관계대명사 who는 선행(명)사로 animals를 받습니다. 선행(명)사 animals가 동물이지만 의인화 표현일 때는 who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2-3-2] 제한적 용법  who  관계대명사
who가 계속용법이면 and(또는but)+he/she/they 따위의 주격의 인칭대명사와 똑같은 몫을 합니다. who는 주격의 꼴이지만 흔히 whom을 갈음하기도 합니다. whom 갈음으로 쓰였다면 인칭대명사는 him, her, them 따위와 같이 목적격이어야 합니다.

<본문예제>
[10] The stars of these shows were animals who would also come to the rescue of humans in trouble.
[설명] 『who would also ~』의 who는 한정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animals입니다.




(12-4)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걸려있는 명사(구)로 두 개의 월(=文章)을 이어준 월입니다. 이 때 명사(구)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선행명사라고 하고 이를 받아 월을 이어주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연결 쓰임법에는 한정사 종속절을 만드는 한정용법, 명사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 쓰임법, 등위절을 만드는 계속용법, 삽입절을 만드는 비제한용법, 앞의 문장의 일부를 받는 접속 대명사적인 쓰임법 따위가 있습니다.

[12-4-1] 비제한용법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비(非)제한 쓰임법은 선행명사에 덧붙이는 정보를 주는 관계대명사 쓰임새로 마치 삽입절과 같이 콤마로 둘러싼 틀을 갖습니다. 선행명사를 꾸민다는 점에서는 한정용법과 비슷하지만 한정용법처럼 선행명사의 뜻을 좁히기 보다는 속내를 보태는 것에 더 무게를 두려 합니다.

<본문예제>
[15] Wildfires are unplanned fires, in areas like forests or grasslands, which spread out of control.
[설명] 『which spread out ~』의 which는 주격의 비제한적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unplanned fires'입니다. 콤마롤 둘러싼 삽입절의 꼴을 갖고, 선행(명)사에 정보를 보탭니다.


13.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한꺼번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디[節, clause](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13-1) 선행사 생략  관계부사
선행사가 일반적인 선행사 즉 the time, the place, the reason, the way 등일 경우 선행사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단, how는 반드시 생략해야 하며, when은 선행사가 생략되면 접속사 when의 기능만 남게 됩니다.

[13-1-1] the place 생략 [where]  선행사 생략  관계부사
관계부사 where의 선행(명)사 the place는 뺄 수 있습니다. the place가 빠지면 관계부사 where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where와 가름하기가 어려워질 수가 있습니다. 이 때는 글발(=脈絡)로 가늠합니다.

<본문예제>
[41] And that's where our four-legged friends, the cows, come to the rescue.
[설명] 『where our four-legged ~』는 선행(명)사 the place가 간추려진 where 관계부사절입니다.


14. 종속접속사
종속접속사란 문장 안에 들어가 명사, 형용사, 부사 따위의 품사적 노릇을 하는 종속절을 이끄는 접속사를 말합니다.

(14-1) so that  종속접속사
so that은 목적, 정도의 속내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끕니다.

[14-1-1] so that 부사절 - that 생략  so that  종속접속사
부사절을 이끄는 so that 접속사의 that은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이때 등위접속사 so와 문맥으로 구분해 주어야 합니다.

<본문예제>
[44] Along with the cows' voracious appetite, they trample on the vegetation, and it's that trampling that helps to open up the forest so it's not so densely packed full of flammable vegetation.
[설명] "so it's not so densely ~"의 부사절을 이끄는 so that 접속사의 that은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이때 등위접속사 so와 글발(文脈)으로 구분해 주어야 합니다.


15.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15-1) how  접속사
how가 접속사로 사용되면 종속절을 이끕니다. 접속사가 이끄는 종속절은 주로 부사절이지만 명사절 또는 형용사절일 경우도 있습니다.

[15-1-1] 명사절 (목적어)  how  접속사
의문사 how절이 명사절이면 문장에서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2] It might sound strange, but we'll be hearing how cows are helping to stop fires in Spain!
[설명] 명사절인 how절 『how cows are ~』의 문장 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6. 마디[節, clause]
《주어 + 동사》를 갖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요소로 쓰이는 것을 종속절(節, Clause)이라고 합니다. 마디[節, clause]는 절의 우리 말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구성된 모습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따위로 말하기도 하고, 품사 쓰임새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16-1)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몫을 맡습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것에는 that, whether, if 따위의 접속사, whatever, whoever 따위의 복합관계사 그리고 who, whom, which, why, what 따위의 의문사가 있습니다.

[16-1-1] 보어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이 문장에서 보충·어[補語, complement] 쓸모를 맡습니다.

<본문예제>
[31] What we had before in our ecosystems here in Europe is that we had big grazers: we had bison, we had tauros, we had wild horses.
[설명] 이 월(=文章)은 주어가 what 관계사절, 동사가 is,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글짜임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167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