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6분영어 문장구조 [23-07-06] – 연결사가 생략된 복잡한 문장, 관계사 vs 의문사

728x90

 

 

 

6 Minute English [BBC Learning English] 2023-07-06 'Should we fear chatbots?'에는 다양한 문법 자료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문법 관련 자료는 다음의 링크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s://softca.tistory.com/2377

 

BBC Learning English 문법강좌 Should we fear chatbots? - 영국 BBC 6분 영어 문법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8), that(4), 분사(3), 의문부사(2), 동명사(2), 문장부호(2), 문장형식: 4형식(2), 문장형식: 5형식(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softca.tistory.com

 

이번 주에는 인터뷰 문장이 다소 어려워 이 문장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또는 해석할 때 헷갈리게 하는 의문사와 관계사를 살펴보겠습니다.

 

1.    의문사 vs. 관계사

관계사와 의문사로 사용되는 who, what은 관계사로 쓰인 것인지 의문사로 쓰인 것인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원어민들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문법적으로 접근해야만 하는 외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어렵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문맥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에 나타난 문장들을 추려 봤습니다.

 

why

[26] Emily M Bender, Professor of Computational Linguistic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explained why it's dangerous to always trust what a chatbot is telling us…

[직역] 워싱턴 대학교의 컴퓨터 언어학 교수인 Emily M bender [[챗봇이 우리에게 알려 주는 것]을 항상 신뢰하는 것이 왜 위험한지를] 설명했습니다.

☞ 『why it's dangerous ~』는 의문사 why 명사절입니다. 이 짜임은 선행()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38] Professor Emma Bender, speaking on the BBC's Word of Mouth programme, explains why we meet feel like that

[직역] 비비씨 워드오브마우스 프로그램에서 이야기를 계속하면서 Emma bender 교수는 [왜 우리가 그렇게 느끼는지를] 설명합니다.

☞ 『why we meet feel ~』은 의문사 why 명사절입니다. 이 글짜임은 선행()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what

[26] Emily M Bender, Professor of Computational Linguistic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explained why it's dangerous to always trust what a chatbot is telling us

[직역] 워싱턴 대학교의 컴퓨터 언어학 교수인 Emily M bender [[챗봇이 우리에게 알려 주는 것]을 항상 신뢰하는 것이 왜 위험한지를] 설명했습니다.

☞ 『what a chatbot is ~』의 what은 관계대명사일 수도 의문대명사일 수도 있습니다. 문맥에 맞추어 골라 쓰면 됩니다. what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부정사 「to trust」의 목적어입니다.

 

 

 

 

2.    매우 복잡한 인터뷰 문장

 

다음은 인터뷰 문장입니다. 매우 복잡해 보입니다. 많은 연결어가 포함된 문장인데, 대부분의 연결어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39/65] ⑴I think what's going on there is the kinds of answers you get depend on the questions you put in, because it's doing likely next word, likely next word, and ⑵so if as the human interacting with the machine you start asking it questions about 'how do you feel, you know, Chatbot?' 'What do you think of this?' And. 'what are your goals?'

 

전체적으로는 2개의 등위절이 and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I think what's going on there is the kinds of answers you get depend on the questions you put in, because it's doing likely next word, likely next word,

 

앞의 문장은 because 종속절을 갖는 복합문장(複文, complex sentence)입니다. 먼저 because절을 보겠습니다.

 

because it's doing likely next word, likely next word,

그것이 아마도 다음 단어, 아마도 다음 단어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 주절을 보겠습니다. 주절이 다소 복잡해 보입니다.

 

I think what's going on {that} there is {that} the kinds of answers you get depend on the questions you put in

 

전체의 짜임새를 보면 I가 주어 think가 목적어 ‘what’s going on’ 종속절이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전치사 on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that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전치사 on의 목적어인 {that} 종속절은 ‘there is ~’의 글짜임을 갖고 있습니다. there is 뒤에도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that 절이 there is 구문의 주어입니다. 이 절을 살펴보겠습니다.

 

The kinds of answers {that/which} you get depend on the questions {that/which} you put in,

 

이 절은 ‘The kinds of answers’가 주어 depend on이 동사(), ‘the questions’가 목적어인 3형식 문장입니다. 주어와 목적어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이 절을 직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당신이 얻은] 일종의 대답들이 [당신이 제기한] 질문에 종속됩니다.

 

* put in 제기[제출]하다

 

there is 글짜임을 직역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There is (that) the kinds of answers you get depend on the questions you put in.

[[당신이 얻은] 일종의 대답들이 [당신이 제기한] 질문에 종속된다는 것]이 있습니다

 

‘What's going on ~’절은 또 다음과 같이 직역됩니다.

 

What's going on there is (that) the kinds of answers / you get / depend on the questions / you put in.

[[[당신이 얻은] 일종의 대답들이 [당신이 제기한] 질문에 종속된다는 것]이 있다]는 것이 무슨 일입니까?

 

이제 I think까지 포함한 주절 전체를 직역하면 대략 다음과 같이 됩니다.

 

I think what's going on there is the kinds of answers you get depend on the questions you put in.

나는 [[[[당신이 얻은] 일종의 대답들이 [당신이 제기한] 질문에 종속된다는 것]이 있다]는 것이 무슨 일입니까] 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because 종속절까지 포함한 문장을 직역하면 다음과 비슷하게 됩니다.

 

1) 그것이 아마도 다음 단어, 아마도 다음 단어를 하고 있기 때문에, 나는 [[[[당신이 얻은] 일종의 대답들이 [당신이 제기한] 질문에 종속된다는 것]이 있다]는 것이 무슨 일입니까] 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해석할 때는 의역을 많이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제 두번째 등위절을 보겠습니다.

 

and so if as the human interacting with the machine you start asking it questions about 'how do you feel, you know, Chatbot?' 'What do you think of this?' And. 'what are your goals?'

 

이 절은 if절을 종속절로 같은 복합문장의 if절에 해당하는 글 마디입니다. 주절은 다음 문장입니다. 인터뷰 문장이기 때문에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절의 핵심 글귀는 다음과 같습니다.

 

As the human interacting with the machine, you start asking it questions.

 

as 종속절을 갖는 복문이었는데 as 종속절이 분사구문으로 바뀌었습니다. .

 

인간은 기계와 상호작용하면서, 당신은 그것에게 질문하기 시작합니다.

 

 

questionsabout 전치사 명사구의 뒷꾸임을 받습니다. 다음은 전체 if 절을 직역한 것입니다.

 

⑵만약 인간이 기계와 상호작용하면서, 당신이 그것에게 'how do you feel, you know, Chatbot?', What do you think of this?', 'what are your goals?'라는 질문들을 묻기 시작하면,

 

답변은 다음 문장에서 이어집니다.

 

 

 

 

[40/65] You can provoke it to say things that sound like what a sentient entity would say… We are really primed to imagine a mind behind language whenever we encounter language.

 

말 줄임표를 기준으로 의미적으로 두개의 문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앞의 문장을 보면 좀 복잡해 보입니다. 우선 핵심 글귀는 아래처럼 보입니다.

 

You can provoke it to say things.

당신은 그것에게 이것저것들을 말하도록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은 주어가 you, provoke가 동사 목적어가 it입니다. ‘to say things’to부정사구로 목적어 보어입니다.

 

thingsthat 관계사절의 꾸임을 받습니다. that은 관계대명사로 주격입니다. 이를 포함해 전체 문장을 직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You can provoke it to say things that sound like what a sentient entity would say…

당신은 그것이 [지각이 있는 존재가 말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이것저것들을 말하도록 유발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문장은 다음과 같이 직역됩니다.

 

We are really primed to imagine a mind behind language whenever we encounter language.

[우리가 언어를 마주할 때마다] 언어 뒤에 있는 마음을 상상하도록 준비를 합니다.

 

()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