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 How the world learned to love fast food [BBC 6분 영어]
How did fast food spread around the world? Beth and Phil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패스트푸드는 어떻게 전 세계로 퍼지게 되었나요? 베스와 필이 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새로운 어휘를 알려드립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7), that(3), 명사(2), 문장형식: 4형식(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문장형식: 5형식, 법조동사, 수동태, 여러낱말 전치사, 전치사, 전치사(명사)구, 접속사, 형용사, 문장부호, 관계부사, 낱말·구·마디,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마디[節, clause]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How the world learned to love fast food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수동태(受動態)
영어의 태(voice, 態)는 능동과 수동을 나타내는 문장의 틀을 일컷는 말입니다. 능동태(active voice, 能動態)는 《타동사+목적어》의 꼴을 갖고, 수동태는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어로 삼고 《be+과거분사》의 꼴을 갖습니다. 능동태의 주어는 《by+명사(구)》로 바뀌거나 판에 따라 간추려져 빠집니다.
(1-1) 3형식 수동태(受動態)
수동태는 흔히 능동태 3형식 문장과 짝이됩니다. 《be동사+과거분사》 글짜임이 뼈대인데, 판에 따라 be 동사를 갈음하여 get, become, grow가 쓰이기도 합니다. 또한 《have+물건+과거분사》의 꼴을 갖기도 합니다. 능동태의 주어는 수동태 by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는 데 동작주라고 부릅니다.
[1-1-1] Get 수동태 구문 3형식 수동태(受動態)
수동태에는 be 동사가 주로 사용되지만 get를 쓴는 경우도 매우 흔합니다. Get 수동태는 be 수동태보다 동작이 좀더 강조됩니다.
<본문예제>
[18] Listen as Adam Chandler, author of the book Drive-Thru Dreams, which traces the history of American fast food, tells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how it all got started:
[설명] 「got started」 get 수동태 글짜임입니다.
2.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영어 동사의 시간 표현은 시제(tense)와 모습(aspect, 相)으로 나타납니다. 시제는 현재, 과거 및 미래의 3가지가 있고 모습(aspect, 相)은 단순-모습(simple aspect), 진행-모습(continuous aspect), 완료-모습(perfect aspect), 완료진행-모습(perfect continuous aspect) 따위의 4가지가 있습니다. 흔히 영어의 12시제는 이 세가지 시제와 4가지 모습을 곱한 것을 일컫습니다.
(2-1) 현재-완료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완료형은 현재 시제의 완료 모습(aspect, 相)을 말합니다. 과거의 어느 때에서부터 비롯된 움직임이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쓰이는 시간·꼴입니다. 보통 `완료`, `경험`, `결과`, `계속` 따위 네 가지 속내로 해석합니다. 현재-완료형은 손쉽게 과거의 일로 표시하는 단순-과거형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완료형은 ago가 들어간 부사구나 의문부사 when과는 함께 쓰지 못합니다.
[2-1-1] 계속 현재-완료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까지 상태나 동작이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주로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쓰이며, 흔히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구) 즉, how long, for, since, during 따위와 함께 쓰입니다.
<본문예제>
[39] Iceland already had a long-standing tradition of eating burgers - a tradition that had existed for a long time.
[설명] 『had existed』는 현재-완료 시제-모습[현재 시제+완료 에스펙트(相)]입니다. 현재까지의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3. 법조동사
《사실》이 아니라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목적, 의무, 필요》 따위로, 말하는-이의 마음 속의 태도를 나타내기 위해 쓰는 조동사를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odal Auxiliary Verbs) 또는 법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would, shall, should, can, could, ought, may, might, must 따위가 여기에 들어갑니다.
(3-1) used to 법조동사
used+to부정사는 과거의 어느 한 때를 밝힙니다 즉, 지금은 더 이어지지 않고 있는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Used+to부정사는 ⑴과거와 현재를 잡도리하려고, ⑵과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⑶과거의 습관적 동작 따위를 보여주려 씁니다.
[3-1-1] 과거의 습관·상태 used to 법조동사
「used to」는 과거의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친 늘 하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에 비해 would는 가끔 하는 습관적 동작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 둘은 거의 나뉨없이 쓰이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33] Andie Sophia Fontaine, who used to work in McDonald's, now edits The Iceland Review.
[설명] (서)법조동사 「used to」는 비교적 긴 기간에 걸친 과거의 상습적인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4. 전치사(명사)구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로 짜여지며 흔히 부사구와 형용사구로 쓰입니다. 영어로 Prepositional Phrase이라 합니다. 전치사 노릇을 하는 구(Phrase)인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와 가름하려고 「전치사명사구(전명구)」란 말을 씁니다. 한국에서는 흔히 전치사구라고 부릅니다.
(4-1) 명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로 만들어진 구가 명사로 쓰이는 판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쓸모를 가집니다.
[4-1-1] 주어 명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구의 명사적 용법으로 문장성분이 주어입니다.
<본문예제>
[19] At the heart of the story of fast food is a very 'anyone can do this' sense.
[설명] 『At the heart of the story of fast food』는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되는 전치사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5. 문장형식: 5형식
5형식이란 《주어+동사+목적어+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뼈대를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손꼽는 5형식 동사에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따위가 있습니다.
(5-1)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불완전타동사란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있어야 하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사역동사, 지각동사, 인지동사 따위가 이 테두리의 동사들입니다. 이들 밖에도 5형식을 만드는 동사들이 여럿 있습니다.
[5-1-1] make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make는 손꼽히는 사역동사입니다. make가 5형식 글짜임을 만들 때 선행(명)사가 부정사이면 to 없는 원형부정사를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2] It made opportunity very, very easy in a time when that was a new part of the American experience.
[설명] 『It made opportunity very ~』는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opportunity,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very, very easy'입니다.
6. 문장부호
문장의 뜻을 돕거나 문장을 나누어 읽고 알아보기 쉽게 하려고 쓰는 여러 가지 부호를 맣합니다. 영어의 문장 부호에는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콜론(:), 세미콜론(;), 쉼표(,), 대시(-), 인용부호(', "") 따위가 있습니다.
(6-1) 대시(dash, 줄표) 문장부호
보통 dash는 다음과 같은 쓸모를 가집니다. 삽입구 앞뒤나 괄호 대신에, 나중에 생각된 것과 격식을 차리지 않은 글에, 총체적인 어구 앞에서, 앞에서 말한 것을 고칠 때, 덧붙여 다시 강조할 때, 항목을 늘어놓은 다음에 그것을 간추릴 때 따위입니다. 대체로 비격식문장에서 가볍게 이어주기를 한다고 보면 됩니다.
[6-1-1] 동격 대시(dash, 줄표) 문장부호
대시(줄표)가 동격을 나타냅니다.
<본문예제>
[37] Yeah, so McDonald's - they struggled to try to maintain a market.
[설명] 대시(줄표)는 동격 관계를 나타냅니다. 「McDonald's」와 「they」는 동격입니다. 대시가 '(관계)대명사+be동사'의 기능을 합니다.
7.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말을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7-1) of 전치사
전치사 of는 본질과 분리의 전치사입니다. A of B의 관계에서 B는 A의 본질이라는 개념과 함께 A가 B에서 분리되어 있다는 개념이 함께 있습니다. 즉, A와 B는 불가분의 관계 또는 같은 개체의 부분과 전체라는 개념을 갖습니다. B가 본질인 A의 상태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7-1-1] 동격의 of of 전치사
~라는, ~와(과) 같은, ~하는. A of B => A = B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특히 「A of+V-ing(동명사)」 구문일 경우 'A=하는 것'의 의미를 갖습니다.
<본문예제>
[32] But not every country opened its arms in welcome - the tiny island of Iceland for one.
[설명] 「the tiny island」와 「Iceland」는 동격관계입니다. 이를 동격의 of라고 합니다. '~라는, ~와(과) 같은'으로 해석합니다.
8. 명사
명사(名詞, noun)는 흔히 보통, 고유, 집합, 물질, 추상 따위의 5가지로 나누며, 이 가운데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를 셈·명사(可算名詞, Countable, countable noun)와 못셈·명사(不可算名詞, Uncountable, uncoutable noun)로 나눕니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명사 또는 명사말이 이어주는 말뭉치없이 풀이하고, 덧붙여지면 이 둘을 동격이라 합니다.
(8-1)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따로 이어주는 것 없이 병렬로 다루어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풀이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
[8-1-1] 동격의 명사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아무런 잇는 연모없이 병렬로 마무리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설명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사이에 있다고 합니다. .
<본문예제>
[18] Listen as Adam Chandler, author of the book Drive-Thru Dreams, which traces the history of American fast food, tells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how it all got started:
[설명] 「the book」과 「Drive-Thru Dreams」는 동격입니다.
[8-1-2] 동격의 that 동격 글짜임 명사
동격절이란 명사 뒤에 와서 그 명사의 내용을 동격적으로 풀이해 주는 명사절을 말합니다.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대부분 that입니다.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을 '동격의 that'이라 부릅니다. '~이라는' 속내를 겆습니다.
<본문예제>
[29] For many, these fast food brands symbolised The American dream - the idea that anyone in the United States can achieve success through hard work and determination.
[설명] 『that anyone in the ~』 절의 접속사 that은 동격의 that입니다. 'the idea'와 that 명사절은 동격관계에 있습니다.
9. 형용사
형용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나 특징을 나타내 주는 노릇을 하는 품사입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고, 주어나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되며, very의 꾸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들 수 있습니다.
(9-1) 위치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할 때는 대개 명사의 앞에 옵니다. 경우에 따라 명사의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형용사가 서술을 위해 사용될 때는 동사의 뒤에 위치합니다. 간혹 【동사+목적어+형용사】의 구문처럼 목적어의 보어 역할을 할 때도 있습니다.
[9-1-1] 한정적 용법만 [명사 앞] 위치 형용사
몇몇 형용사는 명사 앞에서 꾸며주는 하정적 쓰입법으로만 쓰입니다.
<본문예제>
[19] At the heart of the story of fast food is a very 'anyone can do this' sense.
[설명] 『very 'anyone can ~』의 very는 형용사입니다. very가 형용사를 쓰일 때는 앞에서 명사를 꾸미는 한정적 쓰입법으로만 씁니다.
10. 낱말·구·마디
낱말은 구, 마디와 함께 문장을 이루는 문장구성단위(Sentence Fragment)입니다. 낱말(word)은 뜻과 품사를 갖는 문장의 가장 작은 구성단위이고, 구(句, phrase)는 여러 개의 낱말이 모여 어떤 뜻과 품사를 갖는 낱말 뭉치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주어와 동사를 갖고 있으며, 관계사나 접속사에 의해 다른 문장의 속으로 들어갑니다. 문장의 구성단위가 되는 절(=마디)은 종속절을 말합니다. 낱말/구/마디[節, clause]는 품사를 갖고, 문장 성분을 구성합니다. 마디는 절(節)의 토박이 우리말입니다.
(10-1) many 낱말·구·마디
어원적 뜻으로는 “많은 수의 유닛이나 사람이 있는 또는 이루어진”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셀 수 있는 명사에 씁니다. '많은'이란 뜻의 형용사로 주로 쓰이고 명사 또는 대명사로도 쓰입니다.
[10-1-1] 명사, 대명사 many 낱말·구·마디
many가 명사 또는 대명사로 쓰일 때는 '많은 사람들', 또는 '많은 것들'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복수로 여겨줍니다.
<본문예제>
[29] For many, these fast food brands symbolised The American dream - the idea that anyone in the United States can achieve success through hard work and determination.
[설명] 『For many』의 many는 명사로 '많은 사람들'이란 뜻입니다.
11.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11-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11-1-1]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25] When Adam says that this lies at the heart of the story, he means it'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tory.
[설명] 'he mean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1-1-2] 목적절 생략 글짜임 that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은 문장에서 흔히 간추립니다.
<본문예제>
[07] Erm, not really, No. I think sometimes it can be quite convenient, obviously because it's quick, but not really.
[설명] 'I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1-2) 명사절 that
that은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가장 많이 쓰입니다.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주로 목적어로 가장 많이 쓰이고 가끔 보충·어[補語, complement] 또는 동격절로 쓰입니다. 그러나 주어로는 잘 쓰이지 않고 전치사의 목적어로는 쓰이지 않습니다. 접속사로 쓰이는 that은 자주 간추려져 빠집니다.
[11-2-1] 목적어 명사절 that
접속사 that아 이끄는마디[節, clause]가 문장에서 목적어로 자주 쓰입니다. 이때 접속사 that은 자주 간추려져 빠집니다.
<본문예제>
[25] When Adam says that this lies at the heart of the story, he means it'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tory.
[설명] 『that this lies ~』는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입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2.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말합니다.
(12-1)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4형식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쓰이는 동사를 수여동사 또는 여격동사라고 합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주다'라는 뜻을 품고 있지만, 아니기도 합니다.
[12-1-1] 수여 동사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4형식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대수로운 4형식 동사에는 give, send, pass, lend, tell, show, deliver, throw, offer 따위가 있습니다. 이들 동사 밖에도 많은 동사들이 수여 동사의 구실을 하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45] I asked you how many fast food restaurants there are in Britain.
[설명] 이 월(=文章)은 ask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you, 직접목적어는 how 명사절입니다.
[46] I asked you if there were 4,000, 42,000 or four million.
[설명] 이 월(=文章)은 ask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는 you, 직접목적어는 if 명사절입니다.
13.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13-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꾸밈말이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고릅니다.
[13-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39] Iceland already had a long-standing tradition of eating burgers - a tradition that had existed for a long time.
[설명] 『that had existed for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a tradition'입니다.
(13-2)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가 be동사와 함께 쓰이거나,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 있는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려 뺼 수 있습니다.
[13-2-1] 목적격 which/that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빼고 써도 됩니다. 명사 뒤에 접속사 없이 《주어 + 동사》가 왔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빠져 있는 판이 많습니다.
<본문예제>
[26] In the 1950s, when the famous brands we know today were just beginning, anyone with a can-do attitude could sell fast food.
[설명] 선행(명)사 'the famous brands'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13-3) what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는 관계대명사로 the thing(s) which의 뜻을 갖습니다. 또한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따위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at은 선행(명)사를 곁들이기 때문에 what 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입니다.
[13-3-1] 주격 what 관계대명사
what관계대명사는 주격과 목적격의 글자가 다르지는 않습니다. 다만, 관계대명사 what이 스스로가 들어간 문장에서 주어이면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28] Which is exactly what happened at successful restaurants like Kentucky Fried Chicken and McDonald's.
[설명] 『what happened at ~』는 what 주격 관계대명사절입니다. 절의 문장성분은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13-4)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13-4-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2] And the global financial crash of 2008 was the final nail in the coffin, an event which caused the failure of something that had already started to go wrong.
[설명] 『which caused the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an event'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 쓰임법입니다.
(13-5)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반드시 사람을 선행(명)사로 합니다. 목적격은 whom이고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wh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o는 한정용법(제한용법) 계속 용법 모두 있습니다.
[13-5-1] 비제한용법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의 비(非)제한 쓰임법은 선행명사에 덧붙이는 정보를 주는 관계대명사 쓰임새로 마치 삽입절과 같이 콤마로 둘러싼 틀을 갖습니다. 선행명사를 꾸민다는 점에서는 한정용법과 비슷하지만 한정용법처럼 선행명사의 뜻을 좁히기 보다는 속내를 보태는 것에 더 무게를 두려 합니다.
<본문예제>
[33] Andie Sophia Fontaine, who used to work in McDonald's, now edits The Iceland Review.
[설명] 『who used to work ~』의 who는 선행(명)사 'Andie Sophia Fontaine'의 속뜻을 더해 주는 비제한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흔히 콤마로 둘러싸인 삽입절의 꼴을 갖습니다.
[13-5-2] 제한적 용법 who 관계대명사
who가 계속용법이면 and(또는but)+he/she/they 따위의 주격의 인칭대명사와 똑같은 몫을 합니다. who는 주격의 꼴이지만 흔히 whom을 갈음하기도 합니다. whom 갈음으로 쓰였다면 인칭대명사는 him, her, them 따위와 같이 목적격이어야 합니다.
<본문예제>
[27] A can-do attitude describes someone who is confident and determined to fix problems and achieve results.
[설명] 『who is confident ~』의 who는 한정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someone입니다.
(13-6)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걸려있는 명사(구)로 두 개의 월(=文章)을 이어준 월입니다. 이 때 명사(구)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선행명사라고 하고 이를 받아 월을 이어주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연결 쓰임법에는 한정사 종속절을 만드는 한정용법, 명사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 쓰임법, 등위절을 만드는 계속용법, 삽입절을 만드는 비제한용법, 앞의 문장의 일부를 받는 접속 대명사적인 쓰임법 따위가 있습니다.
[13-6-1] 비제한용법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비(非)제한 쓰임법은 선행명사에 덧붙이는 정보를 주는 관계대명사 쓰임새로 마치 삽입절과 같이 콤마로 둘러싼 틀을 갖습니다. 선행명사를 꾸민다는 점에서는 한정용법과 비슷하지만 한정용법처럼 선행명사의 뜻을 좁히기 보다는 속내를 보태는 것에 더 무게를 두려 합니다.
<본문예제>
[18] Listen as Adam Chandler, author of the book Drive-Thru Dreams, which traces the history of American fast food, tells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how it all got started:
[설명] 『which traces ~』의 which는 선행(명)사에 정보를 보태는 비제한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는 'the book Drive-Thru Dreams'입니다. 비한정용법은 쉼표로 둘러싼 삽입절의 꼴을 갖습니다.
14.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한꺼번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디[節, clause](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14-1) 종류 관계부사
관계부사에는 where, when, how(the way), why 따위가 있습니다.
[14-1-1] when 종류 관계부사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를 선행(명)사로 하는 관계부사절을 이끕니다. 선행(명)사가 간추려지면 접속사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when의 선행(명)사는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 밖에도 circumstance나 occasion 따위도 올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2] It made opportunity very, very easy in a time when that was a new part of the American experience.
[설명] 『when that was a new ~』의 when은 한정용법의 관계부사입니다. 선행(명)사는 「a time」입니다.
15.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15-1) wh~ever 접속사
wh~ever류의 접속사는 복합관계사라고 하기도 합니다. wherever, whatever, whichever 따위를 복합관계대명사, wherever, whenever, however 등을 복합관계부사라고 합니다. 이들은 문장에서는 관계사와 접속사의 노릇을 합니다. whoever가 접속사로 쓰일 때는 '누구나, 어떤 사람이든지, 누가 ~하더라도'의 속내를 갖습니다. wherever, 'whatever, however, whenever, wherever 따위도 비슷한 속내를 갖습니다. 부사절 또는 명사절(복합관계대명사라면)를 이끕니다.
[15-1-1] 부사절 wh~ever 접속사
whoever가 부사절을 이끌면 「no matter who」와 같이 '누구나', '어떤 사람이든지', '누가 ~하더라도'의 속내를 나타냅니다. whatever, whichever, however, wherever, whenever 따위도 비슷한 뜻으로 쓰입니다. 「no matter wh~」로 바꿀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08] Well, whatever you think about them, fast food brands like KFC, Domino's and, of course the big one, McDonald's, are incredibly successful.
[설명] whatever가 접속사로 「어떤 …일지라도, 어떤 …이든」의 의미를 갖는 부사절을 인도합니다.
16. 마디[節, clause]
《주어 + 동사》를 갖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요소로 쓰이는 것을 종속절(節, Clause)이라고 합니다. 마디[節, clause]는 절의 우리 말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구성된 모습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따위로 말하기도 하고, 품사 쓰임새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16-1) if 명사절 마디[節, clause]
if접속사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흔히 yes/No 꼴의 의문문을 간접의문문으로 바꿀 때 접속사 if를 씁니다.
[16-1-1] 목적어 if 명사절 마디[節, clause]
접속사 if가 이끄는 명사절이 문장에서 목적어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46] I asked you if there were 4,000, 42,000 or four million.
[설명]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직접)목적어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069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wordstudy.tistory.com/679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3070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071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https://softca.tistory.com/3072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073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입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3069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