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he world learned to love fast food - 영국 BBC 6분 영어 강좌 [영어독해공부]
어떻게 패스트푸드는 세계적으로 퍼졌습니까? 베스와 필이 이것을 논의합니다. 그리고 당신에게 몇몇의 새로운 낱말들을 가르칩니다.
-이 자료는 BBC Learning English 코너의 6 Minute English가 매주 재공하는 스크립트를 직역한 것입니다. 이번 주 스크립트의 주제는 'How the world learned to love fast food' 입니다.
해석은 철저하게 직역하였습니다. 관계사절 등의 절이나 긴 부정사, 동명사구, 삽입구 등은 이해를 위해 []를 사용해 묶었습니다. 이 글의 목적은 번역이 아니라 원문을 영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본문] [01] Hello.
[직역] 안녕(하세요)
[본문] [02] This is 6 Minute English from BBC Learning English.
[직역] 여기는 BBC 학습 영어의 6분 영어입니다
[본문] [03] I'm Phil.
[직역] 나는 필 입니다.
[본문] [04] And I'm Beth.
[직역] 그리고 나는 베쓰입니다
[본문] [05] Love it or hate it, there's no doubt fast food is popular.
[직역] 그것을 대단히 좋아하던 그것을 몹시 싫어하던 간에, 패스트푸드가 인기 있는 것은 의심할 수 없습니다.
[본문] [06] Are you a fast food fan, Beth?
[직역] 베스, 당신은 패스트푸드 팬입니까?
[본문] [07] Erm, not really, No. I think sometimes it can be quite convenient, obviously because it's quick, but not really.
Erm, not really, No. I think {that} sometimes it can be quite convenient, obviously because it's quick, but not really.
[직역] 어, 실제로는 아닙니다. 아닙니다, 나는 [확실히 그것이 빠르기 때문에,] 때때로 그것이 아주 편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닙니다.
[본문] [08] Well, whatever you think about them, fast food brands like KFC, Domino's and, of course the big one, McDonald's, are incredibly successful.
[직역] 그래요 당신이 그것들에 관해 어떤 생각을 하든 KFC 도미노피자 그리고 물론 제일 큰 거인 맥도널드와 같은 패스트푸드 브랜드들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성공적입니다.
[본문] [09] In this programme, we'll be discussing the global spread of fast food from its beginnings in 1950s America.
[직역] 이 프로그램에서 우리는 그것의 초창기인 1950 대의 마국에서 출발한 패스트푸드의 세계적인 확산에 관해 논의할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본문] [10] As usual, we'll be learning some useful new words and phrases.
[직역] 늘 그렇듯이 우리는 몇몇의 도움이 되는 새로운 단어와 구를 배우고 있을 것입니다.
[본문] [11] But first, I have a question for you, Beth.
[직역] 그런데 베스, 우선 나는 당신에게 물어볼 게 있습니다.
[본문] [12] Roughly how many fast food restaurants are there in the UK?
[직역] 대략 얼마나 많은 패스트푸드 식당이 영국에 있습니까?
[본문] [13] Is it:
[직역] 이것입니다.
[본문] [14] a) 4,000 b) 42,000 or, c) four million?
[직역] ⒜ 4,000 ⒝ 42,000 아니면, ⒞ 4백만?
[본문] [15] I'm going to go for b) 42,000.
[직역] 나는 42,000이라고 할 예정입니다.
[본문] [16] OK, well later on we'll find out the answer.
[직역] 오케이, 그래요 나중에 우리는 대답을 알아낼 것입니다.
[본문] [17] In the United States, cheap and easy food like hamburgers, French fries and milkshakes have been popular since the 1950s.
[직역] 미국에서 햄버거와 프렌치 프라이 그리고 밀크셰이크와 같아 싸고 손쉬운 음식은 1950년대부터 인기 있어 왔습니다.
[본문] [18] Listen as Adam Chandler, author of the book Drive-Thru Dreams, which traces the history of American fast food, tells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how it all got started:
[직역] [[미국(의) 패스트푸드의 역사를 추적한] 'Drive-Thru Dreams' 라는 책의 저자인 Adam Chandler가 비비씨 월드 서비스 프로그램 더후드체인에 [어떻게 그것 모두가 시작되었는지를] 알리는 대로] 들어 보십시오.
[본문] [19] At the heart of the story of fast food is a very 'anyone can do this' sense.
[직역] 패스트푸드 이야기의 중심은 바로 그 ''anyone can do this(누구나 할 수 있다)' 라는 의식입니다
[본문] [20] A lot of the company founders didn't have a college degree, who didn't have a high school degree in a lot of instances, didn't come from money, were oftentimes just people who were ready to plug themselves into a system that would work for them.
[직역] [대학 학위도 없었고,] [많은 경우에 고등학교 학위도 없었고,] 돈도 없었던] 많은 회사 창립자들은 종종 단지 [[그들을 위해 일하는] 시스템 속으로 그들 스스로를 틀어막게 준비가 된] 사람들이었습니다
[본문] [21] And it did.
[직역] 그런데 그것이 작동했습니다.
[본문] [22] It made opportunity very, very easy in a time when that was a new part of the American experience.
[직역] 그것은 [그것이 미국(의) 경험의 새로운 부분이었을] 때에 기회를 매우, 매우 쉽게 만들었습니다.
[본문] [23] So it was the American dream in a very small way, that became the American dream in a very big way.
[직역] 그래서 그것은 아주 작은 방법의 아메리칸 드림이었는데, 그것이 아주 큰 방법의 아메리칸 드림이 되었습니다.
[본문] [24] The rise of fast food reflected the rise of American economic power after the Second World War.
[직역] 패스트푸드의 증가는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미국(의) 경제의 힘의 증가를 반영합니다.
[본문] [25] When Adam says that this lies at the heart of the story, he means it'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tory.
[직역] Adam이 [이것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게 되다] 라는 것을 말할 때에, 그는 [그것은 이야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라는 의미입니다.
[본문] [26] In the 1950s, when the famous brands we know today were just beginning, anyone with a can-do attitude could sell fast food.
In the 1950s, when the famous brands {which/that} we know today were just beginning, anyone with a can-do attitude could sell fast food.
[직역] 1950년대에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유명한 브랜드들이 그저 시작이었을 때, 할 수 있다는 태도를 가진 누구는 패스트푸드를 팔 수 있었습니다.
[본문] [27] A can-do attitude describes someone who is confident and determined to fix problems and achieve results.
[직역] 'can-do can-do'는 자신감 있고 문제를 고치고 결과를 성취하려고 단단히 결심한 누군가를 풀어 말합니다.
[본문] [28] Which is exactly what happened at successful restaurants like Kentucky Fried Chicken and McDonald's.
[직역] 그리고 그것이 정확히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과 맥도널드와 같은 성공적인 레스토랑에서 일어난 것입니다.
[본문] [29] For many, these fast food brands symbolised The American dream - the idea that anyone in the United States can achieve success through hard work and determination.
[직역] 많은 사람들에게 이들 패스트푸드 상표들은 아메리칸 드림을 상징합니다 (즉, American dream운) [미국에 사는 누군가는 열심히 일하는 것과 투지를 통해 성공을 성취할 수 있다] (라는) 생각(입니다).
[본문] [30] The success of KFC, McDonald's and the rest wasn't limited to America.
[직역] KFC나 맥도널드 그리고 나머지 것들의 성공은 메국에서만 한정되지 않았습니다.
[본문] [31] Nowadays, you can visit two McDonald's on opposite sides of the planet and eat exactly the same meal.
[직역] 요즘에 당신은 지구의 반대쪽에 있는 두 개의 맥도널드(가게)를 방문하여, 동일한 끼니를 정확히 먹을 수 있습니다
[본문] [32] But not every country opened its arms in welcome - the tiny island of Iceland for one.
[직역] 그러나 모든 나라가 환영하려고 그것의 팔을 벌린 것은 아닙니다. 그 중 하나는 아이슬랜드라는 아주 작은 섬이었습니다.
[본문] [33] Andie Sophia Fontaine, who used to work in McDonald's, now edits The Iceland Review.
[직역] [맥도널드에서 일했던] Andie Sophia Fontaine는 이제 'The Iceland Review'를 편집합니다
[본문] [34] Here, she tells BBC World Service programme, The Food Chain, how McDonald's got a frosty reception when it started selling burgers in Iceland's capital, Reykjavik.
[직역] 여기에서 그녀는 비비씨 월드 서비스 프로그램 더후드체인에 [어떻게 맥도널드가 [그것이 아이슬랜드의 수도인 Reykjavik에서 햄버거를 팔기 시작했을 때에] 찬 서리 같은 환영을 받았는지를] 알립니다.
[본문] [35] There's been a long-standing burger culture in Iceland.
[직역] 아이슬랜드에는 오래된 버거 문화가 있습니다.
[본문] [36] They have their own take on the hamburger wherein they'll use lettuce, and raw cucumbers, and a type of fry sauce - that's called a shalpuborgari, or a shop burger, and that's been around for ages.
[직역] 그들은 [그들이 상추와 날 오이 그리고 일종의 어린 물고기 소스를 사용하는] 그들 자신의 진짜배기 햄버거를 갖고 있습니다. 그것은 shalpuborgari 또는 가게 버거라고 불립니다. 그리고 그것은 오래되었습니다
[본문] [37] Yeah, so McDonald's - they struggled to try to maintain a market.
[직역] 그래요 그래서 그들 맥도널드는 시장을 지켜내려고 피 터지게 노력했습니다.
[본문] [38] The final nail in the coffin w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2009.
[직역] 최후의 결정타는 2008 2009년의 세계적인 금융(의) 위기였습니다
[본문] [39] Iceland already had a long-standing tradition of eating burgers - a tradition that had existed for a long time.
[직역] 아이슬랜드는 이미 먹는 햄버거의 오래된 전통을 갖고 있었습니다. (즉, long-standing tradition은) 오랫동안 거기 있었던 전통입니다.
[본문] [40] For example, the shalpuborgari, or shop burger, was a take on - or variation of - the American hamburger.
[직역] 예를 들어 shalpuborgari나 가게 버거는 이미 진짜배기 또는 미국(의) 햄버거의 바귐 꼴이었습니다
[본문] [41] McDonald's weren't as successful in Iceland as they'd been elsewhere.
[직역] 맥도널드는 아이슬랜드에서 [그들이 다른 곳에서 (했던) 만큼]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본문] [42] And the global financial crash of 2008 was the final nail in the coffin, an event which caused the failure of something that had already started to go wrong.
[직역] 그리고 2008년의 세계적인 금융(의) 위기는 널 속의 마지막 손발톱이 되었습니다. (즉, 'final nail in the coffin'은) [[망가지기 시작해 온] 무언가의 실패를 불러 일으키는] 사건(입니다) 이미.
[본문] [43] To this day there are no McDonald's in Iceland, unlike Britain, which reminds me of your question, Phil.
[직역] 이날까지도 아이슬랜드에는 영국과 달리 맥도널드가 없습니다. 필, 그리고 그것이 나에게 당신의 질문을 기억나게 했습니다
[본문] [44] Yes.
[직역] 맞아(요)
[본문] [45] I asked you how many fast food restaurants there are in Britain.
[직역] 나는 당신에게 [얼마나 많은 패스트푸드 식당이 영국애 있습니까] (라고) 물었습니다
[본문] [46] I asked you if there were 4,000, 42,000 or four million.
[직역] 나는 당신에게 [4,000 또는 42,000 또는 4백만 개가 있는지를] 물었습니다.
[본문] [47] And of course, the answer is 42,000 so you were right, well done!
[직역] 그리고 물론 답은 42,000개입니다. 그래서 당신이 맞았습니다. 잘 했어요!
[본문] [48] OK, let's recap the vocabulary we've learned, starting with at the heart of, meaning the most important part, or the cause, of something.
[직역] 오케이 〈무언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나 원인이라는 의미인〉 'at the heart of'로 시작하면서 우리가 배워 온 낱말들을 살펴봅시다
[본문] [49] If you say that someone has a can-do attitude, you mean they are confident to take action, fix problems and deal with new challenges.
[직역] 만약 당신이 [누군가가 'can-do attitude'를 가지고 있다] 라는 것을 말하면, 당신은 [그들이 행동에 옮기는 데에 자신감이 있고 문제를 바로잡고 새로운 도전을 다룬다] (라는) 의미입니다
[본문] [50] The American dream is the belief that everyone in the USA has the opportunity to be successful and happy if they work hard.
[직역] 'American dream'은 [미국에 있는 모든 사람은 [만약 그들이 열심히 일하면] 성공하고 행복할 기회를 갖는다] (라는) 신념입니다.
[본문] [51] The adjective, long-standing means having existed for a long time.
[직역] 형용사 'long-standing'은 오랫동안 존재하여 오고 있다 라는 의미입니다.
[본문] [52] A take on something means a variation, or new way of presenting it.
[직역] 무언가의 'take on'은 그것을 나타내는 변형이나 새로운 방법이라는 의미입니다
[본문] [53] And finally, the idiom, the final nail in the coffin, refers to an event that causes the final end of something that had already started to fail.
[직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final nail in the coffin'라는 관용구는 [[이미 실패하기로 시작한] 무언가의 최종적인 끝을 불러 일으키는] 사건을 나타냅니다
[본문] [54] Once again, our six minutes are up, but why not head over to the BBC Learning English website where you'll find a worksheet and quiz especially for this programme.
[직역] 한 번 더 우리의 6분이 끝났습니다. 그러나 [특히 당신이 이 프로그램에 대한 워크시트와 퀴즈를 찾아낼] 비비씨러닝잉그리시 웹사이트로 발길을 옮기는 게 어떻습니까?
[본문] [55] See you there soon!
[직역] 곧 다시 만납시다
[본문] [56] How did fast food spread around the world?
[직역] 어떻게 패스트푸드는 세계적으로 퍼졌습니까?
[본문] [57] Beth and Phil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직역] 베스와 필이 이것을 논의합니다. 그리고 당신에게 몇몇의 새로운 낱말들을 가르칩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069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wordstudy.tistory.com/679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3070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이 글입니다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3069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PDF로 된 대본(Script)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영어 문장 공부] 자료를 처음 보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공부법」을 먼저 보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영어문장공부] 학습법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