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can smells make you feel at home? Beth and Phil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냄새가 어떻게 집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을까요? 베스와 필이 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새로운 어휘를 알려드립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that(7), 관계대명사(4), 문장형식: 5형식(3), 마디[節, clause](2), 명사(2), 동명사(2), 전치사(2), 접속사(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형용사, it, 전치사 글짜임,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관계부사, 문장형식: 4형식, 의문부사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Why smells make us feel at home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바탕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1-1] 주격 보충·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사의 V-ing형이 be동사와 함께 나올 때 현재진행형이 아니라 동명사가 되어 문장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는 주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됩니다.
<본문예제>
[06] Maybe it's sleeping in your own bed, the view from the window, or a loved family pet.
[설명] 『sleeping』은 현재진행형이 아니라 명사적 용법의 동명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입니다.
[09] I think it's just relaxing on my sofa, in my living room.
[설명] 『relaxing on ~』은 현재진행형이 아니라 명사적 용법의 동명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격 보어입니다.
2.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영어 동사의 시간 표현은 시제(tense)와 모습(aspect, 相)으로 나타납니다. 시제는 현재, 과거 및 미래의 3가지가 있고 모습(aspect, 相)은 단순-모습(simple aspect), 진행-모습(continuous aspect), 완료-모습(perfect aspect), 완료진행-모습(perfect continuous aspect) 따위의 4가지가 있습니다. 흔히 영어의 12시제는 이 세가지 시제와 4가지 모습을 곱한 것을 일컫습니다.
(2-1) 현재-완료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완료형은 현재 시제의 완료 모습(aspect, 相)을 말합니다. 과거의 어느 때에서부터 비롯된 움직임이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쓰이는 시간·꼴입니다. 보통 `완료`, `경험`, `결과`, `계속` 따위 네 가지 속내로 해석합니다. 현재-완료형은 손쉽게 과거의 일로 표시하는 단순-과거형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완료형은 ago가 들어간 부사구나 의문부사 when과는 함께 쓰지 못합니다.
[2-1-1] 경험 현재-완료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라고 ~한 적이 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내며 보통 ever, never, once, twice, often, before, seldom, sometimes 따위의 부사와 함께 쓰입니다.
<본문예제>
[26] Have you ever come back home from holiday and noticed a strange smell in your house?
[설명] 『Have you ever come ~』은 현재완료 시제 글짜임입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냅니다. '~라고 ~한 적이 있다'의 뜻이며 대체로 문장의 속내를 ever 따위의 부사와 함께 씁니다.
3. 문장형식: 5형식
5형식이란 《주어+동사+목적어+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뼈대를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손꼽는 5형식 동사에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따위가 있습니다.
(3-1)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불완전타동사란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있어야 하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사역동사, 지각동사, 인지동사 따위가 이 테두리의 동사들입니다. 이들 밖에도 5형식을 만드는 동사들이 여럿 있습니다.
[3-1-1] make ☞ [63049] 문장형식: 5형식 make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make는 손꼽히는 사역동사입니다. make가 5형식 글짜임을 만들 때 선행(명)사가 부정사이면 to 없는 원형부정사를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05] Phil, what makes home special for you?
[설명] 이 월(=文章)은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home,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형용사인 special입니다.
(3-2)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글월(文章)의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명사 및 형용사 낱말 또는 같은 쓸모의 말이 옵니다.
[3-2-1] 원형 부정사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문장의 목적어 보어로 to 부정사가 올 수 있습니다. 이 때 동사가 사역동사이면 원형 부정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07] What makes you feel like you're home, Phil?
[설명] 이 월은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you 목적격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feel ~'입니다. make가 사역동사라서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원형부정사가 오고 있습니다.
[3-2-2] 가목적어 it to 글짜임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make 5형식에서 목적어로 가주어 it가 오고, (to)부정사구가 진짜 목적어로 오는 틀의 글짜임
<본문예제>
[38] Well, by filtering out common non-threatening smells it makes it easier to detect things out of the ordinary that might be dangerous.
[설명] 이 월은 make 5형식으로 목적어로 가주어 it가 오고 있습니다. 'to detect things ~' (to)부정사구가 진짜 목적어입니다.
4. 전치사 글짜임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말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말이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가 됩니다. 그런데 전치사는 뒤에 오는 명사 말구 뿐 아니라 앞에 오는 동사, 형용사, 명사 및 관사 따위와 하나가 되어 익은 글짜임을 만들기도 합니다.
(4-1) 동사 A 전치사 B 글짜임 전치사 글짜임
몇몇 동사는 「동사+목적어+전치사+명사/대명사」 글짜임의 익은말을 이룹니다. 이 때 전치사는 목적어 보다 동사가 더 힘을 미칩니다.
[4-1-1] to 동사 A 전치사 B 글짜임 전치사 글짜임
전치사 to은 "방향이 있는 동작"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A to B의 관계에서 A가 B 쪽으로 움직이고 B가 과녘일 때 전치사 to를 씁니다. 전치사 to는 공간에서 뿐 아니라 시간 그리고 사회적, 정서적 따위의 다른 관계에까지 뜻이 늘어나 쓰입니다.
<본문예제>
[44] For example, filtering out the smell of home means we notice the smell of burning toast or other smells alerting us to possible danger.
[설명] that 명사절은 「alert A to B」 동사 글짜임 'B에게 A를 경고하다'의 뜻을 갖습니다.
5.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말을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5-1) by 전치사
전치사 by는 근접과 힘의 전치사입니다. A by Y의 관계에서 기본 개념은 힘과 그 힘의 근접에 의한 영향력입니다. 즉, A가 B의 영향이 미치는 곳에 있을 때 by가 쓰입니다. 연못에 돌이 B의 곳에 떨어졌다고 가정하면 돌이 떨어진 곳에서부터 파장일 일 것이고 그 파장의 영역권 안에 A가 있다면 A는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 관계가 A by B의 기본 개념입니다.
[5-1-1] by V-ing 글짜임 by 전치사
by 뒤에 동명사를 써서 '-함으로써, -해서, -(하는 것)으로'라는 속내를 나타냅니다. 「by V-ing ~」 는 앞에 나온 내용을 실행하는 방법이나 수단을 설명합니다.
<본문예제>
[38] Well, by filtering out common non-threatening smells it makes it easier to detect things out of the ordinary that might be dangerous.
[설명] 『by filtering out』의 「by V-ing ~」 글짜임은 앞에 나온 내용을 실행하는 방법이나 수단을 설명합니다. '-함으로써, -해서, -(하는 것)으로'라고 풀어줍니다.
[42] By filtering out familiar smells, our brains are able to detect other smells which are out of the ordinary, unusual or uncommon, and which may be dangerous.
[설명] 『By filtering out』의 「by V-ing ~」 글짜임은 앞에 나온 내용을 실행하는 방법이나 수단을 설명합니다. '-함으로써, -해서, -(하는 것)으로'라고 풀어줍니다.
6. 명사
명사(名詞, noun)는 흔히 보통, 고유, 집합, 물질, 추상 따위의 5가지로 나누며, 이 가운데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를 셈·명사(可算名詞, Countable, countable noun)와 못셈·명사(不可算名詞, Uncountable, uncoutable noun)로 나눕니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명사 또는 명사말이 이어주는 말뭉치없이 풀이하고, 덧붙여지면 이 둘을 동격이라 합니다.
(6-1)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따로 이어주는 것 없이 병렬로 다루어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풀이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
[6-1-1] 동격의 명사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아무런 잇는 연모없이 병렬로 마무리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설명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사이에 있다고 합니다. .
<본문예제>
[37] Here's science writer Tristan Ahtone again, explaining more to BBC World Service programme, Unexpected Elements:
[설명] 「science writer」와 「Tristan Ahtone」이 동격입니다.
[6-1-2] 동격의 that 동격 글짜임 명사
동격절이란 명사 뒤에 와서 그 명사의 내용을 동격적으로 풀이해 주는 명사절을 말합니다.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대부분 that입니다.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을 '동격의 that'이라 부릅니다. '~이라는' 속내를 겆습니다.
<본문예제>
[32] If you say there's a good chance that something will happen, you mean there's a high likelihood or probability of it.
[설명] 『that something will happen』 절의 접속사 that은 동격의 that입니다. 'a good chance'와 that 명사절은 동격관계에 있습니다.
7.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 쓰임·법에 여러가지 다른 문법적 쓰임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손꼽히는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짜주어 it(it to, it that글짜임), 가짜목적어 it(it to, it that 글짜임), 분열문(it be that 강조 글짜임) 따위가 있습니다.
(7-1) 비인칭 it it
대명사로서의 구실도 없고 동사 앞에는 주어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지키려고 쓰이는 it. 주어의 it, 환경의 it(situdation it), 가짜주어 it, 가짜목적어 it, 주로 익은말(熟語, idiom)에 아무 뜻없이 쓰이는 목적어 it 따위의 쓰임새가 있습니다.
[7-1-1] 주어의 it 비인칭 it it
날씨, 시간, 거리나, 동사 seem, appear, happen, look 등의 의미없는 형식적인 주어로 it가 사용됩니다. 상황의 it(환경의 it)에 포함하여 설명하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18] But now it's time for my question.
[설명] 『it's time for ~』의 it는 시간의 it입니다. 날씨, 시간, 거리, 명암, 장소 등을 나타내는 문장에서 주어 it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8. 형용사
형용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나 특징을 나타내 주는 노릇을 하는 품사입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고, 주어나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되며, very의 꾸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들 수 있습니다.
(8-1) 뒤에서 꾸밈[뒷꾸밈, 後位 修飾] 형용사
형용사가 명사를 뒤에서 꾸며주는 판은 ⑴ -body, -one, -thing으로 끝나는 명사일 때, ⑵ 두 단어나 그 보다 많은 낱말로 이루어진 형용사구가 명사를 꾸밀 때, ⑶ 라틴어 및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 ⑷ 주격·관계대명사와 be동사가 빠져있는 꼴로 쓰이는 따위가 있습니다.
[8-1-1] thing, one, body 뒤에서 꾸밈[뒷꾸밈, 後位 修飾] 형용사
-body, -one, -thing으로 끝나는 명사라면 형용사는 뒤에서 꾸며줍니다.
<본문예제>
[43] To filter something out means to remove or separate something unwanted from something else.
[설명] 『something unwanted』에서 「something」 따위와 같이 thing으로 끝나는 대명사를 꾸미는 형용사는 뒤에서 꾸며줍니다.
9.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9-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9-1-1] 동격절 생략 글짜임 that
동격 명사절을 이끄는 that 접속사가 생략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55] When someone says there's a good chance something will happen, they mean it's quite likely to happen.
[설명] 「a good chance」 뒤에 동격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습니다.
[31] Tristan says that when you return home after being away, there's a good chance your house smells weird, an adjective meaning strange or unusual.
[설명] 「a good chance」 뒤에 동격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져 빠졌습니다.
[9-1-2]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32] If you say there's a good chance that something will happen, you mean there's a high likelihood or probability of it.
[설명] 'If you say' 뒤와 「you mean」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각각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09] I think it's just relaxing on my sofa, in my living room.
[설명] 'I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55] When someone says there's a good chance something will happen, they mean it's quite likely to happen.
[설명] 'When someone says'와 'they mean'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44] For example, filtering out the smell of home means we notice the smell of burning toast or other smells alerting us to possible danger.
[설명] 'home mean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0.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말합니다.
(10-1)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4형식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쓰이는 동사를 수여동사 또는 여격동사라고 합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주다'라는 뜻을 품고 있지만, 아니기도 합니다.
[10-1-1] 수여 동사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4형식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대수로운 4형식 동사에는 give, send, pass, lend, tell, show, deliver, throw, offer 따위가 있습니다. 이들 동사 밖에도 많은 동사들이 수여 동사의 구실을 하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12] Listen as BBC presenters Marnie Chesterton and Tristan Ahtone describe the smells which give them the feeling of home:
[설명] which 관계사절은 give 4형식 글짜임입니다. 간접목적어는 them이고 직접목적어는 'the feeling of home'입니다.
11.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11-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꾸밈말이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고릅니다.
[11-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38] Well, by filtering out common non-threatening smells it makes it easier to detect things out of the ordinary that might be dangerous.
[설명] 『that might be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the ordinary'입니다.
(11-2)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11-2-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2] By filtering out familiar smells, our brains are able to detect other smells which are out of the ordinary, unusual or uncommon, and which may be dangerous.
[설명] 『which are out ~』와 『which may be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other smell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 쓰임법입니다. 두개의 관계대명사절을 and로 묶어 주고 있습니다.
[12] Listen as BBC presenters Marnie Chesterton and Tristan Ahtone describe the smells which give them the feeling of home:
[설명] 『which give them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the smell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 쓰임법입니다.
(11-3) 격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문장에서 어떤 노릇을 하느냐에 따라 주격, 소유격,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가 주어로 쓰이면 주격관계대명사를, 관계대명사가 바로 뒤의 명사를 꾸며주면 소유격 관계대명사를 씁니다. 관계대명사가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씁니다.
[11-3-1] 목적격(뒤에 놓인 전치사의 목적어) 격 관계대명사
전치사의 목적어인 관계대명사가 마디[節, clause](=節)의 앞 부분으로 가고 전치사는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있는 뒤에 놓이면, that을 포함한 모든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쓰일 수 있습니다. 이런 짜임의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쳐 뺄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9] So, for example, if you forget about your toast, and it starts to burn, you can typically smell that quickly because it's a change to the environment that you're in.
[설명] 『that you're in.』의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은 글 말미에 떨어져 있는 전치사 〈in〉의 목적어입니다.
12.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한꺼번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디[節, clause](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12-1) 관계부사 생략 관계부사
선행(명)사가 관계부사를 예상할 수 있는 판(경우境遇)이라면 관계부사를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즉, the time, the place, the way, the reason 등의 선행(명)사라면 관계부사는 뺄 수 있습니다. 관계부사 when은 비격식체에서 that으로 빠꾸거나 빼기도 합니다. 관계부사 how 는 선행(명)사 the way 와 함께 쓰이지 않으므로 how 를 빼면 선행(명)사 the way 가 쓰여야 합니다.
[12-1-1] why 생략 관계부사 생략 관계부사
관계부사 why가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선명명사로 관계사 why를 가늠할 수 있으면 간추릴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6] The reason you can't smell your own home is that it isn't a threat to you.
[설명] 「the reason」 뒤에 관계부사 why가 생략되었습니다.
13.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13-1) like 접속사
접속사 like는 as 또는 as if와 비슷한 쓰임새를 갖습니다. 비공식적이거나 개인적인 표현에는 as/as if 보다 like 가 더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13-1-1] as if/though의 뜻 like 접속사
비격식체에서 as if, as though의 의미로 like를 많이 씁니다. 미국식 영어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영국 영어에서도 많이 쓰입니다. 이 뜻으로는 feel, look, seem, sound, taste 등의 동사와 함께 많이 쓰입니다.
<본문예제>
[07] What makes you feel like you're home, Phil?
[설명] 『like you're ~』의 like는 접속사로 as if, as though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3-2) or 접속사
두 요소 가운데 하나를 택일하는 의미를 갖습니다.
[13-2-1] 세 개 이상 연결 [A, B or C] or 접속사
문법적으로 비슷한 요소를 둘 이상 이어줄 or를 씁니다. 둘 이상을 이을 때 흔히 마지막 요소 앞에만 or를 써줍니다. Or로 이어진 표현에서 반복된 낱말은 종종 간추려져 빠집니다.
<본문예제>
[06] Maybe it's sleeping in your own bed, the view from the window, or a loved family pet.
[설명] 이 월(=文章)(=文章)은 3개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등위접속사 or로 「A, B Or C」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습니다.
14. 의문부사
의문부사는 의문문을 만드는데,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을 만듭니다.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따위가 됩니다.
(14-1) why 의문부사
'왜'라는 뜻으로 이유나 원인을 물을 때 씁니다. 의문사는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이끌 때 접속사의 쓸모를 합니다. why 의문사절은 명사절로 문장에서는 주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목적어가 됩니다.
[14-1-1] 접속사[명사절] [=관계부사] why 의문부사
접속사 why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why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문장성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why 명사절은 때로 선행(명)사가 빠진 why 관계부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why 명사절은 '왜 ~하는지'로 번역하고 why 관계부사절은 '~하는 이유'로 번역합니다.
<본문예제>
[15] In this programme, we'll be finding out why our sense of smell is so important to feeling at home, even when we don't notice it.
[설명] 『why our sense of ~ at home』은 의문사 why 명사절입니다. 이 글짜임은 선행(명)사 'the reason'이 간추려진 관계부사절로 볼 수도 있습니다.
15. 마디[節, clause]
《주어 + 동사》를 갖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요소로 쓰이는 것을 종속절(節, Clause)이라고 합니다. 마디[節, clause]는 절의 우리 말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구성된 모습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따위로 말하기도 하고, 품사 쓰임새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15-1)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몫을 맡습니다 명사절을 이끄는 것에는 that, whether, if 따위의 접속사, whatever, whoever 따위의 복합관계사 그리고 who, whom, which, why, what 따위의 의문사가 있습니다.
[15-1-1] 보어 명사절 마디[節, clause]
명사절이 문장에서 보충·어[補語, complement] 쓸모를 맡습니다.
<본문예제>
[36] The reason you can't smell your own home is that it isn't a threat to you.
[설명] 이 월은 주어가 'The reason', 동사가 is,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글짜임입니다.
[33] The truth is that every home has a smell, although we're so used to it, we usually don't notice.
[설명] 이 월(=文章)은 주어가 'The truth', 동사가 is,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인 2형식 글짜임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083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wordstudy.tistory.com/774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3084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085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https://softca.tistory.com/3086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087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입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308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