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 wanted to be a musician? Learn about life as a musician from some people around the UK who want to be successful musicians. Hear one of their songs and learn some useful vocabulary with Neil and Pippa.
(지금까지 뮤지션이 되고 싶었던 적이 있었나요. [성공적인 뮤지션이 되고 싶었던] 영국 전역에 있는 몇몇의 사람들 출신인 뮤지션으로의 삶에 대해 배워 보세요. 그들 노래 중의 하나를 들어보세요. 그리고 닐과 Pippa과 함께 몇몇의 도움이 되는 어휘를 배우세요.)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that(8),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6), 문장형식: 5형식(4), 관계대명사(3), 낱말·구·마디(3), 부정사(3), 분사(2), 전치사(명사)구(2),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문장형식: 4형식, 부정 구문(否定構文), 대명사, 동명사, 관계부사, 접속사, 비교 구문, 수동태, 의문문, 전치사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Becoming a musician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바탕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1-1] 주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의 바탕을 갖고 있으므로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26] Now, getting a number one song is a dream for many musicians.
[설명] 『getting a number one song』은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2. 수동태(受動態)
영어의 태(voice, 態)는 능동과 수동을 나타내는 문장의 틀을 일컷는 말입니다. 능동태(active voice, 能動態)는 《타동사+목적어》의 꼴을 갖고, 수동태는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어로 삼고 《be+과거분사》의 꼴을 갖습니다. 능동태의 주어는 《by+명사(구)》로 바뀌거나 판에 따라 간추려져 빠집니다.
(2-1) 동작주 생략 수동태(受動態)
by 주어 즉, 능동태의 주어를 수동태의 동작주(agent)라고 합니다. 동작주는 주어가 뻔하거나 중요하지 않을 때, 동작주를 정확히 모를 때, 동작주 보다 행위 자체에 관심이 클 때, 글의 중간에 주어를 바꾸지 않기 위해. 또는 글쓴 이의 심리적인 이유 등으로 생략하기도 합니다. 공지사항, 언론보도, 제목, 광고 등의 문장 등 항상 수동태로만 쓰이는 문장은 동작주를 언급하지 않기도 합니다.
[2-1-1] 일반 사람일 때 동작주 생략 수동태(受動態)
동작주가 people, we, you they 등일 때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9] And the top selling song is called the number one.
[설명] 이 월(=文章)은 동작주가 간추려진 수동태 문장입니다. 동작주가 일반 사람이면 거의 간추려 뺍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3.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홀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 다루어집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스스로는 노릇(=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몫을 맡아 합니다.
(3-1) 품사 쓰임새[용법]: 형용사 부정사
to 부정사가 문장에서 형용사처럼 다루어지는 판을 말합니다. 「~할」, 「~하는」 따위의 속내를 갖으며 명사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3-1-1] 뒤 꾸밈[後位 修飾] 품사 쓰임새[용법]: 형용사 부정사
to부정사(구)가 명사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
<본문예제>
[41] A bunch is an informal way to talk about a group of people.
[설명] 『to talk about ~』는 to부정사 형용사적 쓰임법으로 'an informal way'를 뒤에서 꾸며 줍니다(뒤 꾸밈〈後位 修飾〉).
(3-2) 동사적 바탕 부정사
to 부정사와 동명사 따위의 준동사는 동사에서 나왔기 때문에 동사적 바탕이나 쓰임새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주어도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도 갖습니다. 또한 부사가 꾸며주기도 합니다.
[3-2-1] 목적어 동사적 바탕 부정사
(to)부정사는 동사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부정사가 목적어를 갖는 3형식 형태의 구를 이룹니다.
<본문예제>
[43] If you take somebody under your wing you decide to protect them or guide them.
[설명] (to)부정사는 동사의 성질을 유지하여 목적어를 가질 수 있갖습니다. them은 「to protect」의 목적어입니다.
4.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동사는 문장의 뼈대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짜여지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과 같은 5개의 꼴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쓰이거나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4-1) 동사+동명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동명사가 동사 뒤에 와서 목적어가 되거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됩니다.
[4-1-1] 동사+목적어+from+V-ing 동사+동명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stop(비격식체), prevent 뒤에는 대체로 목적어+from+ing형을 씁니다.
<본문예제>
[67] Stop the heat from coming
[설명] 이 월(=文章)은 「동사 [목적어] from V-ing」 글짜임으로 '~하는 것을 못하게 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4-2) 동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몇몇 동사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받거나,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가져 옵니다.
[4-2-1] 동사+to부정사 동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많은 동사가 (to)부정사를 받아서 「동사+to부정사」의 틀을 만듭니다. 몇몇 동사는 「동사+목적어+(to)부정사」의 틀을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동사 중 몇몇은 부정사 대신에 V-ing을 받기도 하는데, 이 때는 뜻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동사가 사역동사이면 원형부정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43] If you take somebody under your wing you decide to protect them or guide them.
[설명] 『decide to protect ~』의 to부정사 'to protect'는 동사 decide의 목적어입니다. decide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받으며, V-ing형을 받지는 않습니다.
(4-3) 동사+동명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몇몇 동사는 부정사나 동명사를 목적어 또는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동명사나 부정사 사이에 속내가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몇몇 동사는 뜻이 살짝 달리 나타나기도 합니다.
[4-3-1] 의미가 다름 동사+동명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준동사 목적어 V-ing형 및 to 부정사 모두를 갖는 동사. 몇몇 동사는 뒤에 오는 준동사의 뜻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46] I literally started busking the moment I could kind of do that.
[설명] 『started busking』은 「start V-ing」 글짜임으로 이미 시작된 상활을 나타냅니다. 만약 to부정사가 오면 "이제 막"의 속내를 갖습니다.
[27] But if you want to become a musician, where do you start?
[설명] 『want to become』의 동사 want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want 뒤에 to부정사가 '~하고 싶다, 바라다'라는 뜻입니다. 동명사일 때는 '~할 필요가 있다'라는 뜻입니다.
[05] Oh yes, Pippa, I still want to be a musician.
[설명] 『want to be ~』의 동사 want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want 뒤에 to부정사가 '~하고 싶다, 바라다'라는 뜻입니다. 동명사일 때는 '~할 필요가 있다'라는 뜻입니다.
[74] I'd love to hear more.
[설명] 이 월(=文章)의 love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갑니다. 이것은 「특정 상황에서 ~하는 것을 좋아한다」 또는 '~하고 싶다'라는 뜻이 됩니다.
5.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영어 동사의 시간 표현은 시제(tense)와 모습(aspect, 相)으로 나타납니다. 시제는 현재, 과거 및 미래의 3가지가 있고 모습(aspect, 相)은 단순-모습(simple aspect), 진행-모습(continuous aspect), 완료-모습(perfect aspect), 완료진행-모습(perfect continuous aspect) 따위의 4가지가 있습니다. 흔히 영어의 12시제는 이 세가지 시제와 4가지 모습을 곱한 것을 일컫습니다.
(5-1) 현재-완료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완료형은 현재 시제의 완료 모습(aspect, 相)을 말합니다. 과거의 어느 때에서부터 비롯된 움직임이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이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쓰이는 시간·꼴입니다. 보통 `완료`, `경험`, `결과`, `계속` 따위 네 가지 속내로 해석합니다. 현재-완료형은 손쉽게 과거의 일로 표시하는 단순-과거형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현재-완료형은 ago가 들어간 부사구나 의문부사 when과는 함께 쓰지 못합니다.
[5-1-1] 경험 현재-완료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라고 ~한 적이 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내며 보통 ever, never, once, twice, often, before, seldom, sometimes 따위의 부사와 함께 쓰입니다.
<본문예제>
[04] Now, Neil, have you ever wanted to be a musician?
[설명] 『have you ever wanted ~』는 현재완료 시제 글짜임입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냅니다. '~라고 ~한 적이 있다'의 뜻이며 대체로 문장의 속내를 ever 따위의 부사와 함께 씁니다.
(5-2) 현재-완료진행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완료진행은 어떤 행위, 동작 또는 상태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계속되었으며 아직도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have/has been + ~ing」의 형태을 가지며 「~해 오고 있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5-2-1] 동작의 계속 현재-완료진행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과거 어느 시점에 시작된 동작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날 때 사용하는 시제입니다.
<본문예제>
[06] I've been playing my guitar since I was 14.
[설명] 이 월(=文章)은 현재완료진행 시제입니다.
6. 분사
분사는 《준동사》 가운데 하나로 문장에서 형용사의 몫을 해냅니다. ~ing를 붙인 v-ing 꼴은 현재분사, ed를 붙힌 v-ed 꼴은 과거분사라고 합니다. 몇몇 동사의 과거분사는 제멋대로 바뀌기도 합니다.
(6-1) 분사구문 분사
분사구문은 분사가 뼈가 되어 주절 모두를 부사말로 꾸며주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주절 모두를 꾸민다는 것이 대수로운데, 여기에서 분사구와 나뉩니다. 분사 구문은 《현재분사 구문》과 《과거분사 구문》으로 나뉘며, 또 다른 꼴로.는 《독립 분사구문》과 《부대상황 구문》이 있습니다. 분사구문은 보통 《이유, 양보, 조건, 시간, 부대상황》 따위의 뜻을 갖습니다
[6-1-1] 때, 시간 when, while, after 분사구문 분사
~할 때, ~후에, ~하는 동안. when, while, after 절이 분사구문으로 바뀐 경우
<본문예제>
[37] But I guess, you know, everyone kind of took me under their wing growing up.
[설명] 『growing up』은 분사구문입니다. 때를 나타내는 when이 생략된 것으로 가늠됩니다.
(6-2) 과거분사 분사
몇몇 불규칙 동사를 빼고는, 동사에 -ed를 붙여 만듭니다. 시제로 쓰이면 have 동사와 함께 과거 완료형 시제를 만들고, 시제와 관련 없이 쓰일 때는 형용사의 노릇을 합니다. 주로 수동과 완료의 뜻을 갖습니다.
[6-2-1] 명사의 뒷·꾸밈[後位 修飾] 과거분사 분사
분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며줍니다. 특히 수식어나 목적어 따위를 가지고 있는 분사 즉 분사구는 앞에서 꾸며 줄 수가 없으므로, 뒤에서 꾸며 줍니다. 과거분사 앞에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빠져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본문예제>
[39] These are meetings for people interested in writing their own music.
[설명] 『interested in ~』은 과거분사(구)로 people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분사 앞에 '주격관계대명사와 be 동사'가 간추려져 빠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7. 전치사(명사)구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로 짜여지며 흔히 부사구와 형용사구로 쓰입니다. 영어로 Prepositional Phrase이라 합니다. 전치사 노릇을 하는 구(Phrase)인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와 가름하려고 「전치사명사구(전명구)」란 말을 씁니다. 한국에서는 흔히 전치사구라고 부릅니다.
(7-1) 형용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로 짜여진 구가 형용사로 쓰일 때, 2형식 문장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 5형식의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따위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사가 꾸며줄 수 있습니다.
[7-1-1] 명사의 뒷·꾸밈[後位修飾] 형용사구 전치사(명사)구
샘김새는 《전치사+목적어》 구의 모습이면서 문장에서 형용사로 쓰이는 구(句)를 말합니다. 명사를 꾸미거나 보어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42] The older men in the group would play music from the 1970s, and Bailey says they took her under their wing.
[설명] 『in the group』은 전치사명사구로 형용사의 쓸모를 합니다. 'The older men'을 뒤에서 꾸며줍니다.
(7-2) 전치사별 전치사(명사)구
전치사가 무관사 명사를 취하는 경우에는 주로 명사가 가진 본질적 의미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관용구문화 되어 있습니다.
[7-2-1] on 전치사별 전치사(명사)구
전치사 on이 무관사 명사와 결합하면 해당 명사에 접촉의 의미가 포함된 관용적 표현을 만듭니다.
<본문예제>
[45] So, I learnt my first proper song on guitar when I was about 13.
[설명] 「on guitar」은 on의 무관사 용법입니다. '기타를 연주하여'의 뜻을 갖습니다.
8. 문장형식: 5형식
5형식이란 《주어+동사+목적어+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뼈대를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손꼽는 5형식 동사에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따위가 있습니다.
(8-1)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불완전타동사란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있어야 하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사역동사, 지각동사, 인지동사 따위가 이 테두리의 동사들입니다. 이들 밖에도 5형식을 만드는 동사들이 여럿 있습니다.
[8-1-1] 불완전 타동사 5형식 동사 문장형식: 5형식
사역동사, 지각동사 밖에도 5형식을 만드는 불완전타동사는 많습니다. 불완전타동사란 목적어의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있어야 하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본문예제>
[52] From that, it's then got me various different opportunities.
[설명] 『it's then got me ~』는 get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는 me, 목적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various different opportunities'입니다.
[53] It's got me all my gigs, it's got me all my connections.
[설명] 이 두개의 월은 모두 get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는 me, 목적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각각 'all my gigs'와 'all my connections'입니다.
[56] He says that busking has got him all his gigs and connections.
[설명] 『got him all his gigs ~』는 get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는 him, 목적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all his gigs ~'입니다.
(8-2)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글월(文章)의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명사 및 형용사 낱말 또는 같은 쓸모의 말이 옵니다.
[8-2-1] 부정사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문장의 목적어 보어로 to 부정사가 올 수 있습니다. 이 때 동사가 사역동사이면 원형 부정사가 오지만 그 밖의 경우에는 to 부정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50] And as Josh told BBC Learning English programme My Song, My Home, it can help musicians to get new opportunities.
[설명] 「it can help musicians to get ~」은 help 5형식 글짜임으로 help가 사역동사임에도 to부정사 {to get}를 목적격 보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9. 대명사
대명사는 명사·말을 갈음하는 말로 더 맞는 표현을 쓸 필요가 없거나 쓸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대명사는 대체로 ⑴인칭대명사, ⑵ 지시대명사, ⑶ 부정 대명사, ⑷의문 대명사, ⑸ 관계 대명사 따위의 5개로 나눕니다. 이렇게 나누면, 재귀대명사와 소유대명사는 인칭대명사의 테두리에 들어갑니다.
(9-1) 의문대명사 대명사
의문 대명사는 who(whose, whom), what, which 등이며 직접 의문문과 간접 의문문을 만듭니다.
[9-1-1] what 의문대명사 대명사
'무엇' 또는 '어떤~', '무슨~'의 뜻. 사물에 대한 질문이나 사람의 이름, 직업 등을 물을 때 씁니다. 한편, 의문사는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인도할 때 접속사의 기능을 합니다. what은 의문대명사 또는 의문형용사로 사용됩니다.
<본문예제>
[15] I wonder what life as a musician is actually like?
[설명] 『what life as ~』의 what은 의문대명사로 격은 소유격이고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그런데 형대 영어 문법에서는 이 what을 소유격이라 하지 않고 한정사(또는 형용사)라고 합니다.
10.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말을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10-1) by 전치사
전치사 by는 근접과 힘의 전치사입니다. A by Y의 관계에서 기본 개념은 힘과 그 힘의 근접에 의한 영향력입니다. 즉, A가 B의 영향이 미치는 곳에 있을 때 by가 쓰입니다. 연못에 돌이 B의 곳에 떨어졌다고 가정하면 돌이 떨어진 곳에서부터 파장일 일 것이고 그 파장의 영역권 안에 A가 있다면 A는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 관계가 A by B의 기본 개념입니다.
[10-1-1] 차이·정도·거리: ~의 차이로, ~ 만큼. 차이[정도] by 전치사
~의 차이로, ~ 만큼. 차이 또는 정도
<본문예제>
[35] I would go to these songwriters' circles at the Kettle and Wink on, like, a Friday night after school where I'd be, like, the youngest person by, like, 50 years.
[설명] 『by, like, 50 years』의 전치사 by는 차이를 나타냅니다. "~의 차이로, ~ 만큼" 따위의 속내를 보입니다.
11. 비교 구문
형용사, 부사의 비교 변화에는 원급(Positive degree), 비교급(Comparative degree), 최상급(Superlative degree)이 있고, 비교급은 다시 동등비교(more ~ than)와 열등비교(less ~ than)로 나뉩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은 1 소리마디와 몇몇 2 소리마디는 ~er, ~est를 붙여 만들고, 그 밖의 2 소리마디와 그 보다 많은 소리마디를 갖는 낱말에는 more와 most를 원급에 붙입니다.
(11-1) 비교급 비교 구문
비교급은 ~er를 붙여 만들거나 more를 형용사/부사 앞에 붙여 사용합니다. 몇몇 낱말은 제멋대로 버뀌기도 합니다. 비교급은 「비교급 ~ + than ~」 글짜임을 씁니다. 비교 과녁은 명사구, 부사, 마디[節, clause] 따위입니다. 비교 문장에서 크게 보아 than 다음에 또 다시 나오는 낱말이나 뻔한 내용, 「주어 + 동사」는 거의 뺍니다. as ~ as 글짜임을 빌린 원급 비교 글짜임은 동등비교문이라고도 합니다.
[11-1-1] 절대비교급 비교급 비교 구문
than이 이끄는 눈에 보이는 비교의 과녁을 앞세우지 않은 비교급을 말합니다.
<본문예제>
[42] The older men in the group would play music from the 1970s, and Bailey says they took her under their wing.
[설명] 「The older men」은 절대 비교 글짜임입니다. than과 함께 비교의 과녁이 되는 낱말이나 구 또는 마디[節, clause]가 없으면 절대 비교급 글짜임이라고 합니다.
12. 낱말·구·마디
낱말은 구, 마디와 함께 문장을 이루는 문장구성단위(Sentence Fragment)입니다. 낱말(word)은 뜻과 품사를 갖는 문장의 가장 작은 구성단위이고, 구(句, phrase)는 여러 개의 낱말이 모여 어떤 뜻과 품사를 갖는 낱말 뭉치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주어와 동사를 갖고 있으며, 관계사나 접속사에 의해 다른 문장의 속으로 들어갑니다. 문장의 구성단위가 되는 절(=마디)은 종속절을 말합니다. 낱말/구/마디[節, clause]는 품사를 갖고, 문장 성분을 구성합니다. 마디는 절(節)의 토박이 우리말입니다.
(12-1) leave 낱말·구·마디
영어 동사 leave는 '떠나다'와 '남기다[남겨두다'와 같이 언뜻 반대의 속내를 가진 낱말처럼 보입니다. 이 낱말은 고대영어(앵글로색슨말) læfan이 말밑(語源)인데, '(같은 상태나 조건으로) 남게 하다, 살아남게 허락하다, 남겨두다(고인에 대해 상속인 등에게 적용됨), 유산을 물려주다' 라는 뜻을 갖고 있었습니다. læfan의 바탕 뜻은 '남다[남기다]'였는데, 차차 '(남겨두고) 떠나다' 라는 뜻으로 나아갔던 것 같습니다. 참고로 동사 leave는 '허가, 휴가'의 속내를 갖는 명사 leave와는 다른 말 즉, 서로 다른 뿌리에서 나온 말입니다.
[12-1-1] 3형식 leave 낱말·구·마디
leave가 3형식으로 쓰이면 '~을 떠나다', '놔두다', '~을 미루다' 따위의 속내를 갖습니다.
<본문예제>
[65] Can you leave it by the door
[설명] leave가 3형식으로 쓰이면 '~을 떠나다', '놔두다', '~을 미루다' 따위의 속내를 갖습니다.
[12-1-2] 4형식 leave 낱말·구·마디
leave 사람 사물 ~에게 ~을 남기다
<본문예제>
[64] Can you leave me something
[설명] 이 월(=文章)의 leave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에게 ~를 남기다」의 뜻으로 쓰입니다.
(12-2) remember 낱말·구·마디
Remember 는 뒤에 오는 목적어의 형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12-2-1] remember + V-ing remember 낱말·구·마디
remember가 V ing을 가져가면 '(과거에) 했던 것을 기억하다'의 뜻을 갖고, to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면 '(앞으로) 할 것을 기억하다'의 속내를 나타냅니다.
<본문예제>
[40] Bailey remembers sitting with a bunch of old men.
[설명] remember가 V ing을 가져가면 '(과거에) 했던 것을 기억하다'의 뜻을 갖습니다. to부정사라면 '(앞으로) 할 것을 기억하다'의 속내를 나타냅니다.
13. 부정 구문(否定構文)
no와 not 따위의 아니오(否定語) 부사를 골라 아니오(否定)의 속뜻을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13-1) 명사절 부정 글짜임 부정 구문(否定構文)
명사절이 문장 안에서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문장 성분 노릇을 할때 이 문장을 부정문으로 만드는 방식은 주절을 부정문으로 만드는 방식과 종속절을 부정문으로 만드는 방식이 있습니다. think, hope, seem 따위는 대개 주절을 부정문으로 하고, hope는
[13-1-1] 주절을 부정 글짜임 명사절 부정 글짜임 부정 구문(否定構文)
think, believe, suppose, imagine 따위의 동사로 부정적 뜻을 나타내려면, 대체로 종속절 동사가 아닌 주절의 동사를 부정형으로 만듭니다. 그리고 나서 해석은 반대로 종속절을 부정의 속내로 보여줍니다.
<본문예제>
[11] I don't think I'd like to be a musician.
[설명] 이 월(=文章)은 주절의 동사 think를 부정문으로 만든 글짜임이지만 해석은 종속절을 부정의 속내로 나타냅니다.
14.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14-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14-1-1]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11] I don't think I'd like to be a musician.
[설명] 이 월(=文章)은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종속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2] I think it would be a bit stressful.
[설명]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36] But I'd sit in a circle with a bunch of old men, and they'd play James Taylor and Carole King and The Eagles and lots of 70s music, and I guess that's influenced me massively.
[설명] 'and I gues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37] But I guess, you know, everyone kind of took me under their wing growing up.
[설명] 'But I gues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42] The older men in the group would play music from the 1970s, and Bailey says they took her under their wing.
[설명] 'Bailey says'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23] Oh well, I think that's easy.
[설명]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66] So I know there's something
[설명] 'So I know'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5.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말합니다.
(15-1)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4형식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쓰이는 동사를 수여동사 또는 여격동사라고 합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주다'라는 뜻을 품고 있지만, 아니기도 합니다.
[15-1-1] 수여 동사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4형식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대수로운 4형식 동사에는 give, send, pass, lend, tell, show, deliver, throw, offer 따위가 있습니다. 이들 동사 밖에도 많은 동사들이 수여 동사의 구실을 하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78] Yes, I asked which artist had the most number one songs in the UK charts?
[설명] 이 월(=文章)은 ask가 4형식 글짜임을 만듭니다. 간접목적어가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직접목적어는 which 절입니다.
16.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16-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꾸밈말이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고릅니다.
[16-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51] It's been kind of like my main earner that's kept me going for the last ten or so years.
[설명] 『that's kept me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my main earner'입니다.
(16-2)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반드시 사람을 선행(명)사로 합니다. 목적격은 whom이고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wh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o는 한정용법(제한용법) 계속 용법 모두 있습니다.
[16-2-1] 제한적 용법 who 관계대명사
who가 계속용법이면 and(또는but)+he/she/they 따위의 주격의 인칭대명사와 똑같은 몫을 합니다. who는 주격의 꼴이지만 흔히 whom을 갈음하기도 합니다. whom 갈음으로 쓰였다면 인칭대명사는 him, her, them 따위와 같이 목적격이어야 합니다.
<본문예제>
[16] We'll be finding that out in this programme as we hear from some people around the UK who would like to become successful musicians, and we'll even listen to some of their music too.
[설명] 『who would like to ~』의 who는 제한적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사는 'some people'입니다.
(16-3)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절은 걸려있는 명사(구)로 두 개의 월(=文章)을 이어준 월입니다. 이 때 명사(구)로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선행명사라고 하고 이를 받아 월을 이어주는 대명사를 관계대영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절의 연결 쓰임법에는 한정사 종속절을 만드는 한정용법, 명사절을 만드는 종속접속사 쓰임법, 등위절을 만드는 계속용법, 삽입절을 만드는 비제한용법, 앞의 문장의 일부를 받는 접속 대명사적인 쓰임법 따위가 있습니다.
[16-3-1] 계속용법 연결 용법 관계대명사
선행명사와 관계대명사(which 등) 사이에 comma(,)가 있으면, 관계대명사의 계속용법이라 합니다. 이 때의 관계대명사는 단순히 「접속사+대명사」와 같습니다. 「그런데 그것은~」(and that ~) 정도의 뜻으로 접속사를 하나 덜 쓴 정도의 기능만을 합니다. 현대 영어는 앞에 콤마가 없어도 계속용법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맥을 살펴 뜻을 파악해야 합니다.
<본문예제>
[63] Well, here's a bit of his song That Side of the Wall, which he performed for BBC Learning English programme My Song, My Home.
[설명] 『which he performed ~』의 which는 계속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and that'의 의미입니다.
17.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한꺼번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디[節, clause](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17-1) 종류 관계부사
관계부사에는 where, when, how(the way), why 따위가 있습니다.
[17-1-1] where 종류 관계부사
선행(명)사가 장소(the place)를 나타낼 때 관계부사 where를 씁니다. 관계부사 where는 '전치사('in/at/on) + which 관계대명사와 같은 노릇을 합니다. 선행(명)사가 있으면, 한정용법과 계속용법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Where는 주로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를 선행(명)사로 받지만 때에 따라 여러 뜻의 선행(명)사와 함께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33] Open mic nights are events where anyone can sing or play music.
[설명] 『where anyone can sing ~』의 where는 관계부사입니다, 선행(명)사는 events입니다.
18.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18-1) 접속사구 접속사
두개 이상의 낱말이 접속사가 되는 구입니다. 특히,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말이 that절과 묶여 접숙사구를 이루는 판이 많은데, 이때 접속사 that이 빠지는 판이 많이 있습니다.
[18-1-1] the moment (that) 접속사구 접속사
'…하는 바로 그 순간[…하자마자]'의 속내를 갖는 때를 나타나는 접속사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46] I literally started busking the moment I could kind of do that.
[설명] 『the moment I could ~』의 'the moment (that)'는 '…하는 바로 그 순간[…하자마자]'의 속내를 갖는 접속사입니다.
19. 의문문
보통 V+S 또는 조동사+S+V의 어순을 가지며, 끝에 물음표를 븥입니다. 이것이 보통의 직접의문문이며, 그밖에 부가의문문, 수사의문문, 간접의문문 등이 있습니다.
(19-1) Ye/No 의문문 결합 의문문
Ye/No 의문문이 종속절로 또다른 의문문을 갖는 일종의 결합된 의문문입니다.
[19-1-1] wh- 의문문 포함 [도치구문] Ye/No 의문문 결합 의문문
주절인 Yes/No 의문문이 종속절인 Wh- 의문문을 가질 때, 주절의 동사가 인지동사이면 의문사가 문장의 앞으로 도치됩니다.
<본문예제>
[20] But which musical artist do you think has had the most UK number one songs?
[설명] 이 월(=文章)은 주절인 「do you think」이 which 의문문을 종속절로 가진 글짜임입니다. 이 때 종속절 의문문의 의문사가 글머리로 도치됩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076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 단어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주요 어휘) https://wordstudy.tistory.com/724
- 멀티단어공부(금주 대본에 사용된 멀티단어(구동사, 숙어) 간단 정리) https://softca.tistory.com/3077
- 독해공부(금주 대본의 문장별 해석(직역)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078
- 문장별 문법공부(문장별 문법 설명) https://softca.tistory.com/3079
- 금주의 어휘(금주 대본에 나온 금주의 어휘를 집중적으로 정리한 자료) https://softca.tistory.com/3080
- 항목별 문법공부(금주 대본에 나온 문법을 주제별/항목별로 정리한 자료) 이 글입니다
- 금주의 구동사(금주 대본에 사용된 구동사 상세 정리) 이 글의 포스팅 시점에는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 금주의 PDF(금주의 PDF 및 기타 다운로드 파일) https://softca.tistory.com/3076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