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Learning English 6 Minute English 2020-08-13자 “Is this the era of distrust?”에는 다양한 문법 자료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번 주 살펴 본 문장 중에는 다음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수동태 문장의 동격의 that
아래 문장에는 that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61] Generally speaking, trust can be described as a judgement that someone can be believed and relied upon.
a judgement 뒤의 that을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느낌으로는 judgement를 선행사로 하는 관계대명사로 보면 좋겠는데 that절이 수동태라 그렇게 보기가 어렵습니다.
That절 내부는 아래와 같이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Someone can be believed and {can be} relied upon (by others).
이 문장을 능동태로 바꾸면 아래와 같습니다.
Others can believe and rely upon someone.
따라서 아무리 봐도 이 문장에 ‘a judgement’가 들어갈 곳이 없습니다.
따라서 that은 관계대명사로 볼 수가 없고, 명사절을 이끌고 있는 접속사로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that이 이끄는 절은 ‘a judgement’와 동격관계에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2. 절이 주어 기능을 하는 문장
이 문장은 절이 주어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33/61] An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trustworthy is they can justifiably be trusted.
이 문장에서 주어 역할은 ‘An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trustworthy’이 하고 있습니다. is가 동사 is 다음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된 명사절로 보어입니다.
그런데 연결기능을 하는 접사가 없이 단독 절 그 자체가 주어 기능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최대한 자료를 잦아 보았지만 똑 부러지는 해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추정합니다.
1) is가 as가 되면 해결됩니다. 즉 다음의 문장입니다.
An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trustworthy as they can justifiably be trusted.
그러면 as가 이유를 나타내는 종속절이 됩니다. 그러면 이것은 스크립트가 오기라는 게 전제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웹의 스크립트와 PDF 스크립트가 모두 오기인 경우는 아직까지 보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확신이 없습니다.
오디오를 들어 보면 두 번째 is를 it로 발음하는 듯 들립니다. 그런데 it로 하면 더 이상합니다.
2) 다른 하나는 The fact that 구문에서 The fact that이 통째로 생략된 형태의 문장입니다. 즉 다음과 같은 형태의 문장을 원래의 문장으로 추정한 것입니다.
The fact that an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trustworthy is {that} they can justifiably be trusted.
그런데 이것도 근거를 찾을 수는 없었습니다. 단순한 추정입니다.
3. 삽입절 형태의 관계대명사절
아래 문장에는 콤마로 둘러 쌓인 삽입절 형태의 관계대명사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61] We have another word, which is gullible, and if you simply place trust indiscriminately without making a judgement about whether the other person or institution is trustworthy then just trusting to luck as we say, is probably not a virtue.
이 문장은 and를 중심으로 두 개의 절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 중 첫 번째 문장의 관계대명사절이 콤마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관계대명사 용법은 관계사절이 앞의 선행사를 꾸며주는(=수식하는, =제한하는) 형용사절로 기능하는 제한적용법과 관계사가 단순히 접속사와 대명사의 역할만을 하는 계속적 용법으로 나뉩니다.
그런데 본문과 같이 양쪽에 콤마를 사용해 관계대명사절을 마치 삽입절 형태로 구성한 경우에 이를 비제한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라고 부릅니다.
비제한적 관계대명사는 삽입절과 비슷한 기능을 합니다. 즉, 삽입절이 앞의 문맥을 보충 설명하듯이 비제한적 관계대명사절은 앞의 선행사를 보충 설명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것은 선행사의 의미 범위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이를 축소 제한하는 제한적 용법과 구분됩니다. 또한 단순히 접속사의 기능만 하는 계속적 용법과도 구분됩니다.
다만, 많은 경우에 따라 계속적 용법을 비제한적 용법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용어 사용에 구분을 잘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문장을 직역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우리는 또 다른 단어가 있는데, 즉, gullible '잘 속는'이란 단어입니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다른 사람 또는 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단을 하지 않고 무비판적으로 신뢰를 간단하게 준다면 그때 우리가 말하듯이 단지 운에 맡기는 것은 아마도 옳은 행동이 아닙니다.
4. 비제한적 용법의 관계부사절
다음 문장은 삽입절 형태의 관계부사절입니다.
[6/61] In an era of fake news, where even a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is accused of spreading misinformation, could it be that we are living through a crisis in trust?
이 문장은 where 관계부사절이 콤마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앞 항목의 관계대명사와 같이 비제한적 용법의 관계부사절입니다.
비제한적 용법의 관계부사절은 앞의 선행사를 부연 설명합니다.
이 문장은 아래와 직역하면 됩니다.
[미국 대통령조차도 오보를 확산한 것으로 기소를 당했다고 하는] 가짜 뉴스의 시대에, [우리가 신뢰의 위기를 극복해 가고 있는 중일 수가 있을까요?
사실, 선행사의 의미를 확대(비제한적 용법)한다는 것과 축소(제한적 용법)한다는 것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명확히 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의미로 제한적용법과 비제한적용법을 구분하기 보다는 콤마로 둘러싸인 관계대명사절을 비제한적용법으로 보는 것이 대체적인 경향입니다.
5. The more trust, the better
다음은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문장을 보여 줍니다.
[22/61] Society can't function without trust - so does that mean {that} the more trust the better?
이 문장에서 ‘the more trust the better’가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구문입니다. 이 구문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비교급 + 주어 + 동사, the 비교급 + 주어 + 동사
보통 다름과 같이 사용합니다.
The older we grew, the wiser we became. (우리가 나이를 먹을수록, 우리는 더 현명해 진다)
The more you have, the better you will be. (많이 가질 수록, 더 좋아질 것이다
그런데 많은 경우에 주어 동사를 생략하고 본문처럼 사용하기 합니다. 몇 개의 사용 예문을 보겠습니다.
The more, the better. 많으면 많을 수록 점점 더 좋다.
The sooner, the better. 빠르면 빠를수록 점점 더 좋다.
The wiser, the better. 현명하면 현명할수록 점점 더 좋다.
본문을 직역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회는 신뢰 없이 기능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그것은 신뢰가 많으면 더 좋다는 것을 뜻합니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