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Minute English

Are we getting more allergic to things? [BBC 6분 영어] BBC Learning English 문법 강좌(항목별)

728x90

 

Do you know anyone who has 50 allergies? Neil and Beth discuss this and teach you some new vocabulary.
(50가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을 알고 있나요? 닐과 베스가 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새로운 어휘를 알려드립니다.)

 


이번주 BBC Learning English - 6 Minute English가 다룬 문법 관련 이슈 는 관계대명사(11), 동사(6), that(3), 조동사(2), 관계부사(2), 낱말·구·마디(2),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2), 법조동사(2) 등이였습니다. 그 외에 부정사, 비교 구문, 여러낱말 전치사, 의문대명사, 의문부사, 전치사, 전치사(명사)구, 접속사, 마디[節, clause], 명사, 문장부호, 문장형식: 4형식, 문장형식: 5형식, 동명사, 구문(構文) [글짜임], 종속접속사, it,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등이 각각 1 건씩 다루어졌습니다.



다음은 금주의 6 Minute English-Are we getting more allergic to things?에서 다룬 문법 내용입니다.



1. 동명사
동사에 ing를 붙인 v-ing꼴(v-ing form)은 문장에서 동사를 명사처럼 쓰게 합니다. 동명사는 복수형, 소유격이 될 수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의 한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형용사가 꾸며 줄 수도 있습니다.

(1-1)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될 수 있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동명사에는 동사적 바탕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사가 꾸밀 수 있고, 목적어나 보충·어[補語, complement]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복수형, 소유격이 있고, 한정사(a, an, any, some, no, this, that 따위)가 한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형용사가 꾸밀 수도 있습니다.

[1-1-1] 주어  명사적 쓰임새  동명사
동명사는 명사의 바탕을 갖고 있으므로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32] And having these 50+ allergies impacts my life every single day.
[설명] 『having these 50+ allergies』는 동명사(구)입니다. 문장성분은 주어입니다.


2. 부정사
부정사는 준동사의 하나로 동사 원형의 앞에 to를 붙이거나(to 부정사), 홀로(=원형부정사, 原型不定詞) 다루어집니다. to 부정사(不定詞, to-infinitive)는 이름에서 보듯이 그 스스로는 노릇(=품사)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장 속에서 명사, 형용사 및 부사의 몫을 맡아 합니다.

(2-1) 연결방식  부정사
두 개 또는 그 보다 많은 to부정사를 이어 줄 때, to는 같이 쓰고 동사만 이어주거나 아니면, to+동사를 하나하나 이어 주어야 합니다. 두 방식을 함께 쓰면 틀린 것으로 여깁니다. 즉, 「to 동사1 and 동사2」 또는 「to 동사1 and/or to + 동사2」와 같이 써야 합니다.

[2-1-1] to 공유  연결방식  부정사
두 개 또는 그 보다 많은 동사(원형)가 to를 같이 쓰며 이어 줍니다.

<본문예제>
[33] So, when it comes to going to restaurants: having to call ahead of time, talk to the manager, talk to the chef, make sure that the restaurant can accommodate me, that they can make me something safe and use protocols to prevent any sort of risk of any allergens touching my dish.
[설명] 4개의 to부정사 「to call ~, talk to the manager, talk to the chef, make sure'가 to를 함께 씁니다.




3.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동사는 문장의 뼈대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짜여지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과 같은 5개의 꼴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쓰이거나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3-1) 동사+동명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몇몇 동사는 부정사나 동명사를 목적어 또는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동명사나 부정사 사이에 속내가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몇몇 동사는 뜻이 살짝 달리 나타나기도 합니다.

[3-1-1] 의미가 다름  동사+동명사/부정사 글짜임  동사: 글짜임 및 쓰임새
준동사 목적어 V-ing형 및 to 부정사 모두를 갖는 동사. 몇몇 동사는 뒤에 오는 준동사의 뜻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35] If Mia wants to go to a restaurant, she has to call ahead of time to tell them about her allergies.
[설명] 『wants to go ~』의 동사 want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want 뒤에 to부정사가 '~하고 싶다, 바라다'라는 뜻입니다. 동명사일 때는 '~할 필요가 있다'라는 뜻입니다.


4. 조동사
조동사(助動詞, Auxiliary verb)는 본(本)동사를 도와 시제(時制, Tence), 서법(법, 敍法, Mood), 태(態, voice) 등과 의문문, 부정문, 강조문 등의 표현을 나타내 줍니다. 조동사에는 be동사, have 동사, do 동사, can(could), shall(should), will(would), may(might), must, ought to, need, date, used to 등이 있습니다.

(4-1) 준조동사  조동사
「조동사+동사원형」의 글짜임에서 동사원형 앞에 오는 동사를 조동사라고 합니다. 이에비해 준조동사는 「동사+to부정사」 꼴의 글짜임을 갖습니다. 즉, 글의 짜임으로 to부정사를 갖는 동사(구)를 준조동사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글짜임의 모든 동사가 준조동사가 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동사가 시제(時制, Tence), 서법(법, 敍法, Mood), 태(態, voice) 따위의 조동사 몫을 해야 준조동사라고 합니다.

[4-1-1] 준조동사 Auxiliary: used, need, dare, have  준조동사  조동사
「준조동사(Semi-modal)」란 《조동사]》가 아닌데 마치 조동사처럼 쓰이는 동사로 dare, need, used to, had better, ought to 따위를 가리켜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조동사란, will, can, may, should, must 따위의 (서)법조동사를 말하는 것으로 《준조동사》라는 말에는 이들이 마치 법조동사와 같은 특징을 보이며 쓰인다는 속내가 들어 있습니다.

<본문예제>
[38] Mia needs to find out whether restaurants can accommodate her allergies.
[설명] 『Mia needs to find ~』의 「need to」는 준조동사입니다. 동사 'find out'가 '필요'하다 라는 뜻을 갖습니다.


[33] So, when it comes to going to restaurants: having to call ahead of time, talk to the manager, talk to the chef, make sure that the restaurant can accommodate me, that they can make me something safe and use protocols to prevent any sort of risk of any allergens touching my dish.
[설명] 『having to call ~』의 「have to」는 준조동사입니다. 동사 'call, talk, make sure'가 해야만 한다 라는 뜻을 갖습니다.


5.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영어 동사의 시간 표현은 시제(tense)와 모습(aspect, 相)으로 나타납니다. 시제는 현재, 과거 및 미래의 3가지가 있고 모습(aspect, 相)은 단순-모습(simple aspect), 진행-모습(continuous aspect), 완료-모습(perfect aspect), 완료진행-모습(perfect continuous aspect) 따위의 4가지가 있습니다. 흔히 영어의 12시제는 이 세가지 시제와 4가지 모습을 곱한 것을 일컫습니다.

(5-1) 현재-진행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현재 진행형은 be동사 + v-ing형으로 표현하며, 1)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속되는 동작, 2)동작의 반복 또는 습관, 3)가까운 미래 등을 나타내야 할 때 사용합니다.

[5-1-1] 가까운 미래  현재-진행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왕래, 발착을 나타내는 동사에 많고, 에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빈번하게 쓰입니다.

<본문예제>
[04] In this episode, we're talking about allergies.
[설명] 이 월(=文章)은 현재진행형으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냅니다.


[5-1-2] 동작의 반복, 습관  현재-진행형  동사: 시제·모습(tense-aspect)
동작의 반복, 습관은 현재진행형으로 나타넵니다. 흔히 always, constantly, generally 등의 부사를 동반하지만, 부사 없이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14] That means in the summer months I'm sneezing and coughing all the time.
[설명] 『I'm sneezing and coughing ~』은 현재진행 시제입니다. 동작의 반복이나 습관을 나타냅니다.




6. 동사
동사는 문장의 뼈대가 되는 요소로,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되지 않습니다. be동사를 빼고, 동사는 원형, 3인칭단수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v-ing형 등 5개의 활용형(活用形, conjugation)을 갖습니다. 동사는 시제를 갖는데 홀로 또는 조동사와 함께 나타내 줍니다. 동사는 조동사, 부사, 전치사 또는 to 부정사, 동명사 따위와 함께 동사구(어)를 이루기도 합니다. 동사는 동작이나 행위의 주체가 되기도 하고, 상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6-1) 연결동사  동사
연결동사는 주어를 다시 뜻매김하거나 풀어 말하려고 할 떼 골라 쓰는 동사입니다. 연결 동사는 주어를 주격 보충·어[補語, complement]에 이어주기 때문에 연결동사라고 합니다. 연결동사는 “주어가 무엇을 하려는 지(=3형식 문장)”가 아니라, “주어가 무엇인지(=2형식 문장)를” 말합니다.

[6-1-1] be 동사 유형(상태의 유지)  연결동사  동사
주어(행위자)의 현재의 상태가 지켜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Be 동사가 손꼽히며, look, seem, apear, feel, sound, smell, taste 따위가 연결동사로 쓰여질 때 이 테두리 안으로 들어갑니다.

<본문예제>
[16] Oh yeah, that sounds really horrible.
[설명] 『sound horrible』의 sound는 be 동사 갈래의 2형식 글짜임을 만드는 연결동사로 '상태의 유지'를 나타냅니다. '~처럼 보이다/들리다'의 뜻을 갖습니다.


[6-1-2] become 유형(상태의 변화)  연결동사  동사
주어(행위자)의 모양이 바뀌는 모습을 보여주는 연결동사입니다. become, grow, turn, get 따위가 여기에 들어맞습니다.

<본문예제>
[56] If numbers or rates of something drop off, they get lower.
[설명] 「get lower」의 get은 2형식 글짜임을 만드는 연결동사입니다.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become 갈래의 이어주기를 합니다.


(6-2) have  동사
have는 고대영어 habban이 어원입니다. "to own, possess; be subject to, experience(가지다, 소유하다; 종속되다, 경험하다)" 이란 뜻을 갖고 있었습니다. PIE 어원은 *kap- "to grasp(꽉 잡나)" 입니다.

[6-2-1] 걸리다 (~에)  have  동사
「have + [질병]」은 '(질병에) 걸리다'의 뜻을 갖습니다. 정확한 뜻은 '(이미) 병에 걸렸고, (지금은) 그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라는 뜻입니다.

<본문예제>
[54] Frances talks about the high numbers of Australian infants, that's babies, who have allergies.
[설명] 「have allergies」는 '(질병)에 걸렸는데, 그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의 뜻을 갖습니다.


[13] But I do have hay fever, so I'm allergic to pollen.
[설명] 「have hay fever」는 '(질병)에 걸렸는데, 그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의 뜻을 갖습니다.


[6-2-2] 먹다[마시다] (~을)  have  동사
have는 자주 '먹다' 또는 '마시다'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먹다'와 '마시다'를 구분하려면 eat와 drink를 각각 씁니다. 약을 먹을 때는 take를 씁니다.

<본문예제>
[07] Yeah, so I am actually allergic to dairy so I can't have anything with milk.
[설명] 『have anything』의 have는 '먹다/마시다'의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6-3) get  동사
get은 고대 스칸디나비아 말(Old Norse) geta "to obtain, reach; to be able to; to beget; to learn; to be pleased with(얻다[획득하다], 도착하다, 할 수 있다, 자식을 보다; 배우다, 기뻐해지다)"에서 유래했습니다. PIE 어원은 *ghend- "to seize, take(붙잡다, 갖다)" 입니다.

[6-3-1] 걸리다; (병)에 ~  get  동사
《get [병 이름]》은 '~(어떤 병에) 걸리다'의 뜻을 갖습니다.

<본문예제>
[10] Have you got any allergies?
[설명] 『got any allergies』의 get은 '~(어떤 병에) 걸리다'의 뜻을 갖습니다. 여기서는 '알러지가 있다'의 뜻입니다.


7. 법조동사
《사실》이 아니라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목적, 의무, 필요》 따위로, 말하는-이의 마음 속의 태도를 나타내기 위해 쓰는 조동사를 서법조동사(敍法助動詞, Modal Auxiliary Verbs) 또는 법조동사라고 합니다. will, would, shall, should, can, could, ought, may, might, must 따위가 여기에 들어갑니다.

(7-1) have (got) to  법조동사
「have to」 Ehsns 「have got to」는 서법조동사는 아니지만 실제의 쓰임은 서법조동사와 거의 비슷합니다. 그래서 많은 문법책에서 서법조동사의 테두리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have to」와 「have got to」는 흔히 맞바꾸어 다루어집니다.

[7-1-1] 강한 의무  have (got) to  법조동사
강한 의무를 나타내며 대체로 have got to 또는 must와 같은 뜻입니다. 다만, 되풀이되는 의무를 나타낼 때는 have got to를 쓰지 않습니다. have (got) to는 규정이나 제3자 명령처럼 밖에서 주어지는 강한 의무를 나타낼 때 많이 씁니다.

<본문예제>
[40] Because Mia has so many allergies, she has to visit restaurants which have protocols to stop the food she is allergic to touching her meal.
[설명] 『she has to visit ~』의 'have to'는 '의무'를 나타내는 서법조동사입니다.


[35] If Mia wants to go to a restaurant, she has to call ahead of time to tell them about her allergies.
[설명] 『she has to call ~』의 'have to'는 '의무'를 나타내는 서법조동사입니다.


8. 구문(構文) [글짜임]
구문(構文, 글짜임)은 영어로는 Sentence Structure(文章構造, 문장구조) 즉, 문장을 이루는 틀, 얼개 또는 구조를 말합니다. 두 낱말 이상이 함께 쓰여, 스스로의 뜻을 갖는 구 또는종속절로 이루어집니다. (구문은 우리말로는 글짜임이라고 합니다. 구문이 句文의 뜻으로도 쓰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글짜임"이라는 말을 씁니다.)

(8-1) what 구문  구문(構文) [글짜임]
what은 의문대명사 또는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대명사입니다. 영어에는 매우 많은 what 관용 구문이 있습니다.

[8-1-1] what about?  what 구문  구문(構文) [글짜임]
what about ~ ? 또는 How about ~ ? 구문은 제안을 하거나 잊고 있던 것을 상기 시킬 때 씁니다. '~는 어때'의 뜻. 구문은 what about 또는 How about 뒤에는 명사 또는 동명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09] What about you, Neil?
[설명] 『what about + 명사(동명사)』 글짜임은 제안을 하거나 잊고 있던 것을 상기 시킬 때 씁니다. '~는 어때?'의 뜻입니다.


9. 전치사(명사)구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로 짜여지며 흔히 부사구와 형용사구로 쓰입니다. 영어로 Prepositional Phrase이라 합니다. 전치사 노릇을 하는 구(Phrase)인 전치사구(Preposition Phrase)와 가름하려고 「전치사명사구(전명구)」란 말을 씁니다. 한국에서는 흔히 전치사구라고 부릅니다.

(9-1) 명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로 만들어진 구가 명사로 쓰이는 판에.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쓸모를 가집니다.

[9-1-1] 목적어  명사구  전치사(명사)구
전치사명사구가 명사로 다루어지면 문장에서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8] In this programme we're going to find out about what it's like living with an allergy and where in the world has the highest rate of allergies.
[설명] 「about what ~ and where ~」는 전치사명사구로, 명사로 쓰여 월(文章)의 목적어가 되고 있습니다. about의 목적어로 what절과 where절이 and로 묶여 있습니다.




10. 여러낱말 전치사
두 낱말 또는 그보다 많은 낱말들로 짜여지고 품사가 전치사인 구. 크게 보아 두 가지가 있는 데 《명사/형용사/부사/분사+전치사》의 꼴과 《전치사+(관사)명사+전치사》 꼴이 있습니다. 앞을 구전치사라고 하고 뒤를 복합전치사라고 부릅니다.

(10-1) 구 전치사 [낱말+전치사 글짜임]  여러낱말 전치사
부사, 형용사, 분사, 명사 따위의 낱말이 전치사와 결합하여 전치사로 쓰이는 두-낱말로 된 전치사입니다.

[10-1-1] for  구 전치사 [낱말+전치사 글짜임]  여러낱말 전치사
「except for」와 같이 전치사 for가 다른 낱말과 묶여 전치사릐 쓸모를 합니다. (구)전치사입니다.

<본문예제>
[30] I'm allergic to all fish except for cooked tuna and cooked codfish.
[설명] 『except for cooked tuna ~』의 「except for」는 (구)전치사입니다.


11. 문장형식: 5형식
5형식이란 《주어+동사+목적어+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의 뼈대를 갖는 글짜임을 말합니다. 손꼽는 5형식 동사에는 make, call, name, consider, find, leave, prove 따위가 있습니다.

(11-1)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글월(文章)의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는 명사 및 형용사 낱말 또는 같은 쓸모의 말이 옵니다.

[11-1-1] 원형 부정사  목적어 보어  문장형식: 5형식
5형식 문장의 목적어 보어로 to 부정사가 올 수 있습니다. 이 때 동사가 사역동사이면 원형 부정사가 옵니다.

<본문예제>
[05] Allergies are when a certain food or material makes you feel sick.
[설명] 『makes you feel ~』은 make 5형식 글짜임입니다. 목적어가 you, 목적격보충·어[補語, complement]가 'feel ~'입니다. make가 사역동사라서 목적어보충·어[補語, complement]로 원형부정사가 오고 있습니다.


12. 문장부호
문장의 뜻을 돕거나 문장을 나누어 읽고 알아보기 쉽게 하려고 쓰는 여러 가지 부호를 맣합니다. 영어의 문장 부호에는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콜론(:), 세미콜론(;), 쉼표(,), 대시(-), 인용부호(', "") 따위가 있습니다.

(12-1) 인용 부호  문장부호
인용부호에는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가 있습니다. 인용부호는 직접화법에 주로 쓰이고, 어구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합니다.

[12-1-1] 동격의 인용문 부호 생략  인용 부호  문장부호
동격을 나태내는 인용문에서 인용부호를 생략하고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39] Accommodate in this context means give someone what they need.
[설명] 'give someone what they need'은 'Accommodate'와 동격의 구입니다. 구어체이므로 인용부호를 생략하고 썼습니다.


13. 전치사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의 앞에 와서 그것들과 문장 속의 다른 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낱말입니다. 전치사의 뒤에 오는 명사말을 그 전치사의 목적어(object)리고 부르며, 격은 목적격입니다.

(13-1) with  전치사
with의 바탕 개념은 '연결'과 함께, '덧붙임 상황[附帶狀況]'입니다. A with B는 A와 B가 같이 생기거나 바뀌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 때 A는 과정을 나타내고 B는 그 과정에 이어진 참여자, 도구, 재료, 동반자 따위를 나타냅니다. A와 B가 모두 과정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 때는 [A가 으뜸 과정, B가 딸림 과정] 또는 [A가 과정 B가 태도]를 나타냅니다. A와 B가 영역일 판에는 두 사람이나 두 개체가 필요합니다.

[13-1-1] 연결, 함께 (기본 의미)  with  전치사
~과 함께; with는 '연결'과 '휴대, 함께'의 전치사 입니다. A with B는 주어진 일정 영역 내에서 A와 B가 어떤 관계에 있음을 표현합니다.

<본문예제>
[07] Yeah, so I am actually allergic to dairy so I can't have anything with milk.
[설명] 『with milk』의 전치사 with는 '연결'과 '휴대, 함께'의 전치사입니다. '~과 함께 ' 라는 뜻을 갖습니다. 여기서는 '~가 들어간'으로 해석합니다.


14. 명사
명사(名詞, noun)는 흔히 보통, 고유, 집합, 물질, 추상 따위의 5가지로 나누며, 이 가운데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를 셈·명사(可算名詞, Countable, countable noun)와 못셈·명사(不可算名詞, Uncountable, uncoutable noun)로 나눕니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습니다. 명사 또는 명사말이 이어주는 말뭉치없이 풀이하고, 덧붙여지면 이 둘을 동격이라 합니다.

(14-1) 동격 글짜임  명사
명사와 명사구 또는 명사(구)와 대명사가 따로 이어주는 것 없이 병렬로 다루어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풀이하거나 덧붙이면 이 둘은 동격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

[14-1-1] 동격의 콤마  동격 글짜임  명사
동격 관계를 나타내 주는 콤마로 뒤의 내용이 앞의 내용을 덧붙여 풀어 말하거나 한정합니다. 관계대명사의 한정적 쓰임법과 비슷한 구실을 합니다.

<본문예제>
[28] That's the situation for Mia Silverman, who runs a social media account, Allergies with Mia, where she talks about living with lots of allergies.
[설명] 「a social media account」와 「Allergies with Mia」가 동격입니다. 콤마가 동격을 나타냅니다.




15. it
(인칭)대명사 it는 대명사 쓰임·법에 여러가지 다른 문법적 쓰임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손꼽히는 것이 비인칭 it(impersona it), 상황 또는 환경의 it(Situation it), 가짜주어 it(it to, it that글짜임), 가짜목적어 it(it to, it that 글짜임), 분열문(it be that 강조 글짜임) 따위가 있습니다.

(15-1) 가짜-주어 it  it
주어가 길 때 주어 자리에 형식적인 주어 it를 놓고 내용상 주어를 문장 뒤로 뺍니다. 흔히 [it+be+형용사] 글짜임으로 쓰입니다.

[15-1-1] V-ing 구문  가짜-주어 it  it
문장의 주어가 동명사(V-ing형)일 경우 it를 가짜`주어로 쓸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18] In this programme we're going to find out about what it's like living with an allergy and where in the world has the highest rate of allergies.
[설명] 『it's like living ~』은 동명사가 진짜`주어인 it 가짜`주어 글짜임입니다. 진짜`주어는 「living with an allergy」입니다.


16. 비교 구문
형용사, 부사의 비교 변화에는 원급(Positive degree), 비교급(Comparative degree), 최상급(Superlative degree)이 있고, 비교급은 다시 동등비교(more ~ than)와 열등비교(less ~ than)로 나뉩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은 1 소리마디와 몇몇 2 소리마디는 ~er, ~est를 붙여 만들고, 그 밖의 2 소리마디와 그 보다 많은 소리마디를 갖는 낱말에는 more와 most를 원급에 붙입니다.

(16-1) 최상급  비교 구문
셋 이상을 비교하여 가장 앞서는 것을 고르는 비교 꼴로 흔히 형용사나 부사의 원급에 est를 붙힙니다. 소리마디가 길면 'most+원급'의 꼴로 나타냅니다.

[16-1-1] 최상급 - the  최상급  비교 구문
최상급은 한 개뿐이므로 그 앞에 the를 붙힙니다. 정관사 the를 갈음해 소유격 인칭대명사를 쓰기도 합니다. 서술 용법에도 the를 붙입니다.

<본문예제>
[20] What is the most common allergy in the world?
[설명] 『the most ~』는 최상급 글짜임입니다. 최상급은 하나뿐인 것이므로 the를 붙입니다.


17. 낱말·구·마디
낱말은 구, 마디와 함께 문장을 이루는 문장구성단위(Sentence Fragment)입니다. 낱말(word)은 뜻과 품사를 갖는 문장의 가장 작은 구성단위이고, 구(句, phrase)는 여러 개의 낱말이 모여 어떤 뜻과 품사를 갖는 낱말 뭉치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주어와 동사를 갖고 있으며, 관계사나 접속사에 의해 다른 문장의 속으로 들어갑니다. 문장의 구성단위가 되는 절(=마디)은 종속절을 말합니다. 낱말/구/마디[節, clause]는 품사를 갖고, 문장 성분을 구성합니다. 마디는 절(節)의 토박이 우리말입니다.

(17-1) develop  낱말·구·마디
develop는 1650년 처음 영어에서 발견되는데, 그 어원은 고대 프랑스어 desveloper, desvoleper, desvoloper입니다. 이 단어는 des- "undo"와 voloper "wrap up"의 합성어입니다. 글짜 그대로의 뜻은 unwrap(플다)인데, 현대영어에서 이러한 어원적 의미는 없어졌습니다. develop가 지금의 뜻으로 사용되기 시작된 것은 18세기 후반부터입니다.

[17-1-1] 걸리다; (병에) ~  develop  낱말·구·마디
약간 격식적인 느낌의 '(병에) 걸리다'의 속내를 나타냅니다.

<본문예제>
[17] Now, scientific evidence shows that more people are developing allergies.
[설명] 『developing allergies』의 「develop ~」은 약간 격식적인 느낌의 '(병에) 걸리다'의 속내를 나타냅니다.


(17-2) 관용어[숙어]  낱말·구·마디
관용어(idiom)란 구성 낱말의 뜻을 모두 모아 전체의 속내를 짐작하기 어려운 「관습화된 여러 낱말 표현(multiword expressions)」으로 그 유형이 매우 여럿입니다. 관용어는 영어에서 매우 중요한 몫을 갖습니다.

[17-2-1] when it comes to + 명시/동명사  관용어[숙어]  낱말·구·마디
「⑴.…라면, …에 대해서[관해서]라면, ⑵~에 관한 한」 따위의 뜻을 겆는 관용어입니다.

<본문예제>
[34] When it comes to socialising, it can be kind of hard sometimes, because I want to make sure that my friends don't feel inconvenienced or feel like I'm being a burden.
[설명] 『When it comes to ~』 글짜임은 「.…라면, …에 대해서[관해서]라면, ~에 관한 한」 등의 뜻을 겆는 관용어입니다.


18. that
that은 바탕은 지시대명사지만, 접속사, 관계대명사 및 부사 따위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18-1) 생략 글짜임  that
⑴It that 글짜임에서 진짜주어를 이끄는 that, ⑵that이 보충·어 마디(補語節)를 이끌 때, ⑶목적어로 쓰려고 명사절을 만들어 줄 때, ⑷원인/결과의 so that 문장에서 ⑸회화체 문장 따위에서 마디[節, clause]를 이끄는 that 접속사는 간추려 뺄 수 있습니다.

[18-1-1] 명사절  생략 글짜임  that
비격식체에서 간법화법 글틀의 전달동사 다음의 that은 자주 간추려집니다. 간법화법 글틀이 아닌 that 명사절도 종종 간추려집니다.

<본문예제>
[42] Now, most people who have allergies don't have as many as Mia, but scientists believe more people are developing allergies.
[설명] believe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63] And I think it's time to find out the answer to my question.
[설명] think 뒤에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 간추려졌습니다. that절의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18-1-2] 부사절 (형용사 뒤의 that)  생략 글짜임  that
I am glad ~, you are all right ~ 등 뒤에 나오는 that절의 접속사 that은 흔히 생략합니다. 다만, 명사 뒤에서는 대체로 생략하지 않습니다.

<본문예제>
[41] Protocols means a set of rules for a process, to make sure things are done properly.
[설명] 『make sure』의 뒤에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아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19.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말합니다.

(19-1)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문장 안에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가 있는 문장의 형식을 4형식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쓰이는 동사를 수여동사 또는 여격동사라고 합니다. 이들 동사는 거의 '주다'라는 뜻을 품고 있지만, 아니기도 합니다.

[19-1-1] 수여 동사  4형식 동사  문장형식: 4형식
4형식을 만드는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대수로운 4형식 동사에는 give, send, pass, lend, tell, show, deliver, throw, offer 따위가 있습니다. 이들 동사 밖에도 많은 동사들이 수여 동사의 구실을 하고 있습니다.

<본문예제>
[15] I get runny eyes and a runny nose, and it also gives me a little bit of asthma, so it's a bit of a pain.
[설명] 『it also gives me ~』는 give 4형식 글짜임입니다. 간접목적어는 me이고 직접목적어는 'a little bit of asthma'입니다.


20. 관계대명사
서로 같은 명사말을 갖는 두개의 글월(=文章)을 이어 하나의 글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때 뒤에 오는 종속절을 관계사절(relative clauses)이라고 하고 관계사절을 이끄는 대명사를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s)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에는 who와 which가 손꼽힙니다. 이 밖에 that과 what이 쓰이고 있습니다.

(20-1) that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that은 사람, 동물, 사물에 모두 쓰일 수 있으며, 소유격이 없고 주격과 목적격만이 있습니다. that은 선행(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쓰임만 가집니다. that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는 있지만, 전치사가 that 앞으로 오지는 못합니다. 선행(명)사가 최상급이거나 all, every, an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따위의 꾸밈말이 붙으면 that을 관계대명사로 흔히 고릅니다.

[20-1-1] 주격  that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는 제한적 쓰임법의 주격과 목적격으로만 쓰입니다. 격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이 관계사절의 주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49] What is it about Australia in particular that is making people more allergic?
[설명] 『that is making ~』의 that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격은 주격이고, 선행(명)사는 What입니다.


(20-2)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가 be동사와 함께 쓰이거나,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에 있는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려 뺼 수 있습니다.

[20-2-1] 목적격 which/that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빼고 써도 됩니다. 명사 뒤에 접속사 없이 《주어 + 동사》가 왔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빠져 있는 판이 많습니다.

<본문예제>
[59] So Beth, is there anything we can do about all these allergies?
[설명] 선행(명)사 anything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40] Because Mia has so many allergies, she has to visit restaurants which have protocols to stop the food she is allergic to touching her meal.
[설명] 선행(명)사 'the food'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20-2-2] 목적격 whom(who), that  생략 용법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간추릴 수 있습니다. 명사 뒤에 접속사 없이 〈주어 + 동사〉가 왔다면 목적격관계대명사가 간추려져 있는 판이 많습니다.

<본문예제>
[24] A lot of people I know have hay fever.
[설명] 선행(명)사 'A lot of people ' 뒤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또는 that이 간추려져 빠져 있습니다.


(20-3)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동물 또는 사물을 선행(명)사로 받습니다. which는 소유격으로 of which 또는 whose를 씁니다 이들 두 소유격의 쓰임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선행(명)사가 사람이 아니고 그 사람의 성격, 직업, 신분 따위에는 which(또는 that)를 씁니다.

[20-3-1] 주격  which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대명사의 쓸모를 하므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본문예제>
[40] Because Mia has so many allergies, she has to visit restaurants which have protocols to stop the food she is allergic to touching her meal.
[설명] 『which have protocols ~』의 which는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명사 restaurants의 뜻을 묶어 주는 한정 쓰임법입니다.


(20-4) which 계속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가 계속용법으로 쓰일 때는 「and that/it」의 몫을 합니다. 여기서 that 또는 it는 선행(명)사를 말합니다. 관계대명사에서 선행(명)사는 두 문장을 연결하는 고리로, 바탕은 명사(구)입니다. 그런데 계속용법에 사용된 which는 that 또는 it 대명사의 성질을 갖고 있어, 명사 뿐 이니라 앞의 문장 전체 또는 일부를 선행(명)사로 받기도 합니다.

[20-4-1] 주격  which 계속 용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ich는 주격과 목적격의 글자가 다르지 않습니다. which가 딸린마디[從屬節, clause]에서 주어이면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본문예제>
[60] Well, scientists are investigating giving babies vitamin D, which can be shown to reduce allergies.
[설명] 『which can be ~』 글짜임의 which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쓰임법으로 격은 주격입니다. 선행(명)사는 'vitamin D'입니다.


[61] Another technique is immunotherapy, which involves scientists giving children tiny amounts of the thing they are allergic to and then building up their baby's tolerance.
[설명] 『which involves scientists ~』 글짜임의 which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쓰임법으로 격은 주격입니다. 선행(명)사는 immunotherapy입니다.




[48] You're from Australia, which has been called the allergy capital of the world.
[설명] 『which has been ~』 글짜임의 which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쓰임법으로 격은 주격입니다. 선행(명)사는 Australia입니다.


(20-5)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는 반드시 사람을 선행(명)사로 합니다. 목적격은 whom이고 소유격은 whose입니다. 목적격 whom은 who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who는 한정용법(제한용법) 계속 용법 모두 있습니다.

[20-5-1] 비제한용법  who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o의 비(非)제한 쓰임법은 선행명사에 덧붙이는 정보를 주는 관계대명사 쓰임새로 마치 삽입절과 같이 콤마로 둘러싼 틀을 갖습니다. 선행명사를 꾸민다는 점에서는 한정용법과 비슷하지만 한정용법처럼 선행명사의 뜻을 좁히기 보다는 속내를 보태는 것에 더 무게를 두려 합니다.

<본문예제>
[28] That's the situation for Mia Silverman, who runs a social media account, Allergies with Mia, where she talks about living with lots of allergies.
[설명] 『who runs ~』의 who는 선행(명)사 'Mia Silverman'의 속뜻을 더해 주는 비제한용법의 관계대명사입니다. 흔히 콤마로 둘러싸인 삽입절의 꼴을 갖습니다.


[20-5-2] 제한적 용법  who  관계대명사
who가 계속용법이면 and(또는but)+he/she/they 따위의 주격의 인칭대명사와 똑같은 몫을 합니다. who는 주격의 꼴이지만 흔히 whom을 갈음하기도 합니다. whom 갈음으로 쓰였다면 인칭대명사는 him, her, them 따위와 같이 목적격이어야 합니다.

<본문예제>
[54] Frances talks about the high numbers of Australian infants, that's babies, who have allergies.
[설명] 『who have allergies』의 who는 제한적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사는 'Australian infants'입니다.


[42] Now, most people who have allergies don't have as many as Mia, but scientists believe more people are developing allergies.
[설명] 『who have allergies』의 who는 제한적용법 주격의 관계대명사입니다. 선행사는 'most people'입니다.


21.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접속사와 부사의 노릇을 한꺼번에 해냅니다. 관계부사는「전치사+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합니다. 관계부사가 들어 있는 마디[節, clause](節, clause)를 관계부사절이라고 하며, 선행(명)사의 뜻을 좁혀주는 한정적 용법의 한정사절이 되거나, 계속용법으로 쓰입니다. 선행(명)사가 없으면 명사절이 됩니다.

(21-1) 종류  관계부사
관계부사에는 where, when, how(the way), why 따위가 있습니다.

[21-1-1] where  종류  관계부사
선행(명)사가 장소(the place)를 나타낼 때 관계부사 where를 씁니다. 관계부사 where는 '전치사('in/at/on) + which 관계대명사와 같은 노릇을 합니다. 선행(명)사가 있으면, 한정용법과 계속용법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Where는 주로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를 선행(명)사로 받지만 때에 따라 여러 뜻의 선행(명)사와 함께 쓰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43] And there is one place where the number of allergies is particularly high: Australia.
[설명] 『where the number of allergies is ~』의 where는 관계부사입니다, 선행사는 'one place'입니다.




(21-2) 쓰임법과 글짜임  관계부사
관계부사의 용법에는 한정용법과 계속용법이 으뜸을 이루지만. 간혹 비제한용법의 관계부사도 있습니다.

[21-2-1] 계속 용법 ☞ [63009] 관계부사 계속적 쓰임법  쓰임법과 글짜임  관계부사
관계부사의 계속용법은 접속사 + 부사(구)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28] That's the situation for Mia Silverman, who runs a social media account, Allergies with Mia, where she talks about living with lots of allergies.
[설명] 『where she talks ~』의 where는 계속용법의 관계부사로 「접속사+부사」의 쓸모를 합니다. '그런데, 그 결과로' 따위의 뜻을 갖습니다.


22.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는 의문문을 만들 때 씁니다. who(whose, whom), what, which 등이 있습니다. 대명사의 일종이므로 격을 갖고 있으며, 격에 의매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및 전치사의 목적어로 기능합니다.

(22-1) what  의문대명사
'무엇' 또는 '어떤~', '무슨~'의 뜻을 갖습니다. 사물에 대한 물음이나 사람의 이름, 직업 따위를 물어볼 때 씁니다. 한편, 의문사는 의문사절(간접의문문)을 이끌 때는 접속사의 쓸모를 갖습니다. what 의문사절은 명사절로 문장에서는 주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목적어의 몫을 합니다.

[22-1-1] 목적격: 전치사의 목적어  what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 what은 문장 내에서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때 what이 격은 목적격입니다. 전치사은 what의 앞에 놓일 수도 있으면 문장의 끝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

<본문예제>
[18] In this programme we're going to find out about what it's like living with an allergy and where in the world has the highest rate of allergies.
[설명] 『what it's like ~』에서 what은 의문대명사입니다. what은 마디[節, clause] 안에서 전치사 like의 목적어입니다. 또한 what이 이끄는 마디[節, clause]는 전치사 《out》의 목적어입니다.


23. 종속접속사
종속접속사란 문장 안에 들어가 명사, 형용사, 부사 따위의 품사적 노릇을 하는 종속절을 이끄는 접속사를 말합니다.

(23-1) when  종속접속사
when이 접속사로 사용될 때에는 1)(…하는) 때[동안]에, 2)(…한) 후에, …하면, 3)(언제든지) …할 때에 4)(…하자마자) 바로 그 때 5)…인 것을 생각하면, …인데 6) …인데도 불구하고 등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23-1-1] 명사절  when  종속접속사
접속사 when이 명사절을 이끕니다. 관계부사 when의 선행사가 생략된 절과 구조가 동일합니다.

<본문예제>
[05] Allergies are when a certain food or material makes you feel sick.
[설명] 접속사 when이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보충·어(보어 補語, complement)입니다.


24. 접속사
접속사(Conjunction)는 마디[節, clause], 낱말, 구를 이어주는 노릇을 합니다. 접속사는 쓰임새에 따라 크게 등위 접속사와 종속 접속사로 나뉩니다. 또한 접속사 가운데 여러 낱말이 서로 맞장구치며 쓰이는 여러 낱말 접속사를 상관접속사라고 합니다. (일부 글월은 컴마 따위의 부호가 이어주는 노릇을 하고, 부호나 이어주는 낱말 없이 잇는 동격 글짜임도 있습니다. 관계사, 의문사 따위도 문장 이어주기에 쓸모가 있습니다.

(24-1) than  접속사
비교급에서 비교 대상을 연결할 때 접속사 than을 씁니다.

[24-1-1] rather than  than  접속사
「A tather than B」의 구문으로 사용될 때 tather than는 A와 B를 비교하는 접속사입니다. A와 같은 비교 대상 낱말이나 구가 없으면 tather than은 전치사입니다.

<본문예제>
[12] So, it just makes me feel a bit bad rather than actually making me sick.
[설명] 이 월(=文章)는 「A rather than B」의 글짜임으로 이 때의 rather than은 접속사입니다.


25. 의문부사
의문부사는 의문문을 만드는데, where, when, why, how 따위가 있습니다.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을 만듭니다.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충·어[補語, complement] 따위가 됩니다.

(25-1) where  의문부사
의문부사 where는 '어디인가?'의 뜻을 갖는 의문문 즉, 직접의문문과 간접의문문을 만듭니다.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이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이 됩니다.

[25-1-1] 명사[대명사]  where  의문부사
의문사 whare가마디[節, clause] 안에서 명사나 대명사로 쓰여 주어나 목적어가 되기도 합니다.

<본문예제>
[18] In this programme we're going to find out about what it's like living with an allergy and where in the world has the highest rate of allergies.
[설명] 『where in the world has ~』의 의문사 whare는 대명사로 쓰여 주어가 되고 있습니다. whare는 의문사로 명사절을 이끌며 이 절은 전치사 《about》의 목적어가 되어 있습니다.




26. 마디[節, clause]
《주어 + 동사》를 갖고 있으면서 문장의 구성 요소로 쓰이는 것을 종속절(節, Clause)이라고 합니다. 마디[節, clause]는 절의 우리 말입니다. 마디[節, clause]는 구성된 모습으로 that절, if절, whether절, 관계사절, 등위절, 의문사절 따위로 말하기도 하고, 품사 쓰임새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26-1) if 명사절  마디[節, clause]
if접속사는 명사절을 이끕니다. 흔히 yes/No 꼴의 의문문을 간접의문문으로 바꿀 때 접속사 if를 씁니다.

[26-1-1] 목적어  if 명사절  마디[節, clause]
접속사 if가 이끄는 명사절이 문장에서 목적어의 노릇을 합니다.

<본문예제>
[27] Now, Beth, you're allergic to dairy, but imagine if you had over 50 allergies.
[설명] 『if you had ~』는 접속사 if가 종속절로 명사절을 이끕니다. 문장성분은 목적어입니다.



pdf 파일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https://softca.tistory.com/3139을 클릭하세요.


이 블로그에는 [BBC 6분 영어와 관련하여 매주 다음과 같은 글들이 게시 됩니다





[끝]

 

300x250